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포유돈사료내 탄수화물 공급 및 에너지 수준에 따른모돈 및 자돈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손경승,한영근,홍종욱,권오석,민병준,조진호,진영걸,김인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5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bohydrate ingredients and energy level on production in lactating sow diets. Twenty lactating sows(3-4th parturition)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treatments. Treatments were 1) CH(Corn-SBM based diet containing high energy 3,400kcal, ME/kg), 2) CL(Corn-SBM based diet containing low energy 3,200kcal, ME/kg), 3) TH(Tapioca-SBM based diet containing high energy 3,400kcal, ME/kg), 4) TL (Tapioca-SBM based diet containing low energy 3,200kcal, ME/kg). Each treatment has five sows. All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backfat thickness at the time of parturition and weaning and also their differences. In the feed intak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P>0.05), but high energy level of diet tended to show higher results than low energy level of diet. In the start of experiment, the weight of each lit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the weaning time of 21d, TH treatment showed higher average daily gain in the litter weight than CL and TL treatments (P<0.05). In average daily gain of each litter weight from parturition to weaning, TH treatment was higher than CL and TL treatments (P<0.05). All treatments occurred returning to estru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Apparent N digestibility of TH treatment was higher than CH and CL treatments (P<0.05), and TL treatment was higher than CL treatment (P<0.05). In intake of digestible N, TH and TL treatments showed higher results than CL treatment (P<0.05). In dry matter of fecal excretion, CH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 and TL treatments (P<0.05). In N content of fecal excretion, CH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compared to TH and TL treatments (P<0.05), and CL treatment was higher N content of fecal excretion than TH treatment (P<0.05). 본 시험은 포유돈 사료내 옥수수 및 타피오카 원료와 에너지 수준에 따른 모돈 및 자돈의 생산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영양소 요구량이 비슷한 3-4산차의 포유돈 20두를 선발하여 각 처리당 5두, 즉 CH처리구(옥수수-대두박, 3,400 kcal 대사에너지) 5두, CL처리구(옥수수-대두박 3,200 kcal 대사에너지) 5두, TH처리구(타피오카-대두박, 3,400 kcal 대사에너지) 5두, TL처리구(타피오카-대두박, 3,200 kcal 대사에너지) 5두를 배치 하였다. 각 처리구간의 분만시와 이유시의 등지방 두께 및 그 차이에서 유의성이 없었다(p>0.05). 사료섭취량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고에너지의 처리구가 저에너지 처리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개시시의 한복당 무게에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유시기인 21일에서의 복별 체중에서는 TH처리구가 CL 및 TL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p<0.05). 분만에서 이유까지의 각 처리구간 복별 증체량에서도 TH처리구가 CL 및 TL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발정재귀는 모든 처리구에서 일어났으며 발정재귀일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p>0.05). 외관상 질소의 소화율에서는 TH처리구가 CH처리구와 CL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소화율을 보였다(p<0.05). TL처리구는 CL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가소화 질소의 섭취량에서는 TH처리구와 TL처리구가 CL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분변내 건물의 함량은 CH처리구가 TH 및 TL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분변내 질소의 함량에서는 CH처리구가 TH 와 TL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p<0.05), CL처리구는 TH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 KCI등재후보

        허브제품(Animunin Powder$^{?}$)의 급여가 산란계의 계란품질과 혈액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손경승,권오석,민병준,조진호,진영걸,김인호,김흥수,Shon K. S.,Kwon O. S.,Min B. J.,Cho J. H.,Chen Y. J.,Kim I. H.,Kim H. S.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4

        본 연구는 산란계에 Animunin Powder$^{(R)}$를 첨가 급여시 계란 품질, 혈액 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2주령 Hy-line Brown 270수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10일간의 적응기간 후,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처리구는 Animunin Powder$^{?}$의 첨가수준에 따라 1) Control(CON), 2) Control + $0.1\%$ Animunin Powder$^{(R)}$ (AM1), 3) Control + $0.2\%$ Animunin Powder$^{(R)}$ (AM2)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15반복 반복당 6수씩 임의배치하였다. 산란률은 4주 동안의 기간에서 AM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산란률을 보였으며(P<0.05), 8주 동안의 기간에서도 AM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산란률을 보였다(P<0.05). 난중에 있어서는 시험 기간동안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난황색은 8주에서 AM2 처리구가 대조구 및 AM1 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Haugh unit은 4주에서 AM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난각 강도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8주에서 AM2 처리구가 대조구 및 AM1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난각 두께는 전 기간에 걸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내 콜레스테롤에서는 Animunin Powder$^{(R)}$ 첨가한 시험구에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RBC 및 WBC에서는 허브의 첨가 수준에 따라서 혈액내 RBC및 WBC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Lymphocyte는 개시시와 종료시의 변화에서 AM1 처리구가 대조구와 AM2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주 및 8주에서 AM1 처리구가 건물의 소화율에서 대조구 및 AM1 처리구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에 Animunin Powder$^{(R)}$를 급여 시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nimunin Powder$^{?}$ on the egg quality characteristics, blood components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A total of two hundred seventy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treaments with fifteen replications for eight weeks. Dietary treaments included 1) Control (CON), 2) Control + $0.1\%$ Animunin Powder$^{?}$ (AM1), 3) Control + $0.2\%$ Animunin Powder$^{?}$ (AM2). During the period of 0~4weeks, the birds fed the AM1 diet had an improved egg production compared to the birds fed the CON (P<0.05). During the period of 4~8weeks the birds fed AM1 diet showed a statistically improved egg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 (P<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in the egg weight. During the period of $4\~8$ weeks the hens fed the AM2 diet had improved egg yolk color compared to the hens fed CON and AM1 diets (P<0.05). In the Haugh unit for the period of $0~4$$weeks, the AM2 treatment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the CON (P<0.05). Average egg shell break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rough the experiment period, but in the period of $4\~8$weeks the AM2 treatment tended to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 and AM1 treatment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shell thickness. In the serum cholesterol, the AM1 and AM2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 (P<0.05). The concentration of RBC and WBC in the AM treatments tended to increa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differences of lymphocytes between the end and initiation of the experiment, the hens fed the AM1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hens fed the CON and AM2 treatment (P<0.05). During the period of the experiment, the hens fed the AM1 diet were tended to show higher DM digestibility than the hens fed the CON and AM2 diet,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nclusion, dieatry fed of Animunin Powder$^{?}$ could improve egg production, egg yolk color, and haugh unit.

      • KCI등재

        돼지 사료내 황기와 건조양파분의 첨가가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효과

        손경승,홍종욱,권오석,민병준,조진호,진영걸,김인호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본 연구는 자돈 및 비육돈에 있어 황기 및 건조양파분 혼합물(AO ; Astragalus Membranaces and dried-onion meal complex)을 급여하였을 때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돈은 개시시 체중 11.44±13㎏ 3원 교잡종 자돈 60두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CON; basal diet), 기초사료에 AO를 0.2% 첨가한 구(AO0.2), 0.4%(AO0.4) 및 0.6%(AO0.6)로 구성하였다. 사양시험기간동안 AO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일당증체량(Linear effect, P = 0.01) 및 일당사료섭취량(Linear effect, P = 0.05)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 에 있어서는 AO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Linear effect, P =0.01) 및 질소(Linear effect, P = 0.01)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성돈은 개시시 체중 37.97±±0.54 ㎏ 3원 교잡종 육성돈 30두를 공시하였다. 일당증체량 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의 성장율이 20%(728 vs 871 g/day) 향상되었으며(P<0.05),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 효율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가 각각 15%(1896 vs 2183 g/day), 5%(0.38 vs 0.40) 더 높게 나타났다.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약제 처리구의 건물 및 질소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자돈 및 육성돈 사료내에 AO를 급여하면 성장능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xty [(Duroc x Yorkshire) × Landrace] nursery pigs(l1.44±0.13㎏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evaluated to know the effects of dietary Astragalus Membranaces and dried-onion meal complex(AO)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There were three pigs per pen and five pen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m-SBM based diet(CON; basal diet), 2) AO0.2(basal diet+0.2% AO), 3) AO0.4(basal diet+0.4% AO) and 4) AO0.6(basal diet+0.6% AO). ADO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O in the diets was increased(Linear effect, P = 0.01). DM and N digestibilities wer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O in the diets was increased(Linear effect, P = 0.01). Thirty [(Duroc × Yorkshire) × Landrace] growing pigs (37.97±0.54㎏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fed dietary treatments included I) com-SBM based diet(CON; basal diet) and 2) TRT(basal diet+0.3% AO). Pigs fed TRT diet were significantly(P<0.05) increased in ADO, ADFI and gain/feed compared to pigs fed CON diet. DM and N digestibilities of pigs fed TRT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CON diet(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feeding trial suggest that the dietary AO for nursery and growing pigs had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복합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성장능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김인호,손경승,홍종욱,권오석,민병준,이원백,박용하,이인선,한영근 한국가금학회 2004 韓國家禽學會誌 Vol.31 No.2

        본 연구는 사료내 복합생균제의 첨가에 따른 육계의 성장률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2일령 Arbor Acre Broiler(♂) 288수를 공시하였고, 사양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인 1) 대조구(CON, basal diet), 2) DFM-1(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r reuteri), 3) DFM-2(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plantarum), 4) DFM-3(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 reuteri & Lactobacillu plantarum), 5) DFM-4(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Yeast), 6) DFM-5(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Bacillus subtilis)로 6개 처리로 하였다. 처리당 4반복 1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작 후 1주까지 생균제 처리구에서 증체량과 사료효율 등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5주의 기간에서는 생균제 첨가구에서 증체량이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 시험기간에 걸친 변화를 보면 생균제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구보다 증체량이 높은 경향을 보여 육계 사육기간의 초, 중반기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증체량과,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등에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DFM-3처리구는 DFM-1보다 성장능력이 낮았으며 DFM-2와 유사하였고, 효모와 Bacillus subtilis가 혼합된 DFM-4와 DFM-5처리구는 높은 성장능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특정생균제의 효과도 발견할 수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질소 소화율에서 생균제 처리구가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복합생균제의 첨가가 복합생균제간 또는 생균제 처리구와 대조구간에는 육계의 생산성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후기에 있어서 증체량 및 사료효율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direct-fed microbials(DFM)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two hundred eighty eight broiler chicken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six treaments with four replications and fed for five week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DFM-1(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reuteri), 3) DFM-2(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plantarum), 4) DFM-3(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5) DFM-4(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Yeast), 6) DFM-5(basal diet + 0.2% Enterococcus sp. & Lactobacillus reuteri & Lactobacillus plantarum & Bacillus subtilis). During the period of 1∼3weeks,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Gain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the later(3∼5weeks) and overall period(l∼ 5weeks), ADG and Feed/Gain tended to be improved in DFM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FM complexes and between control and DFM treatments. The broilers fed DFM-3 diet was showd poor growth performance compared to the broilers fed DFM-l diet and similar to the broilers fed DFM-2 die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treatments of DFM-4 diet added Yeast and DFM-5 added Bacillus subtilis were improved in ADG and Feed/gai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nd also there was no specific DFM treatments in experiment period. In digestibility, the broiler chicks fed DFM treatments tended to improve N digestibility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In conclusion, DFM tended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later stage of broiler.

      • KCI등재후보

        산란계에 Bacillus subtilis의 급여가 계란 품질, 혈액 성상 및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해진,유종상,권오석,민병준,손경승,조진호,진영걸,김인호,Kim H. J.,Woo J. S.,Kwon O. S.,Min B. J.,Shon K. S.,Jo J. H.,Chen Y. J.,Kim I. 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illus subtilis on the egg qualify, blood characteristics and fecal $NH_3-N$ in laying hens. A total of two hundred fifty two laying hen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treatments with seven replications for six weeks.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control; basal diet), 2) BS0.2(control + $0.2\%$ Bacillus subtilis) and 3) BS0.4 (control +$0.4\%$ Bacillus subtilis). For overall Period, hen-day egg production tended to increase by the Bacillus subtilis $0.4\%$ in the diets, bu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gg weight, egg shell breaking strength, egg shell thickness, Haugh Unit, yolk color unit and egg yolk index were not affected by treatments. Difference of egg weight and egg shell breaking strength in the BS0.2 treatment tended to increas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Difference of egg yolk index in laying hens fed Bacillus subtilis was increased (P<0.05). The concentrations of red blood cell (RBC) and white blood cell (WBC)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NH_3-N$ concentration in feces with BS0.4 treatment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control. In conclusion, dietary Bacillus subtilis could decrease fecal $NH_3-N$. 본 연구의 목적은 Bacillus subtilis를 산란계에 급여하였을 때 계란 품질, 혈액 성상 및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49 주령 Hy-line brown 산란계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로는 옥수수-대두박 기초 사료구(CON; control), 기초 사료구에 Bacillus subtilis를 $\0.2%$ (BS0.2: control + $0.2\%$ Bacillus subtilis)와 $0.4\%$ (BS0.4: control +$0.4\%$ Bacillus subtilis) 첨가한 구로 구성되었다. 총 6주간의 사양시험 기간동안, 산란율은 Bacillus subtilis를 $0.4\%$ 첨가한 처리구가 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난중, 난각 강도, 난각 두께, Haugh Unit, 난황색 그리고 난황계수도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난중과 난각 강도의 증가량은 Bacillus subtilis를 $\0.2%$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난황계수는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RBC와 WBC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Bacillus subtilis를 $0.4\%$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내 Bacillus subtilis의 첨가는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