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내 ‘위안부’에 주목한 중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눈’

        셰린즈(Xie, Linzi) 중국문화연구학회 2018 중국문화연구 Vol.0 No.41

        중국 내 ‘위안부’ 생존자의 현황을 다룬 독립 다큐멘터리 『22(二十二)』(2015)는 중국에서 처음 정식 개봉한 ‘위안부’ 소재의 다큐멘터리이다. 당대 중국 구술사 다큐멘터리의 새로운 이정표로 자리매김 한 해당 작품은 중국 관객들이 더욱 객관적이고 전면적으로 ‘위안부’ 문제를 이해하는 새로운 창구가 되었다. ‘위안부’문제 에는 특수한 ‘정치적 함의’ 및 높은 ‘젠더적 감수성’이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여론에 의해 그려진 ‘위안부’의 이미지는 ‘민족 억압의 기호’ 혹은 ‘성폭력 피해자’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반면에 ‘위안부’ 생존자들의 개인적 주체성은 간과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술사 다큐멘터리는 서구와 제3세계에서 일정한 영향을 미쳐왔으나 오랜 기간 동안 중국 대중들의 시야에는 들어가지 못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22』는 ‘위안부’들의 ‘구술사’를 수집하여 ‘위안부’에 관한 기존 주류 담론들에 질의하는 동시에 많은 관객들에게 ‘구술사’ 장르 영화가 역사적 진실을 보존하는 데 장점이 있음을 보여줬다. 본 연구는 『22』에서 추출된 구술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분석 대상인 구술 내용에서 현지 사회에 뿌리박힌 ‘가부장적인’ 요소들이 반영 되었으며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여성들은 더욱 쉽게 성폭력에 취약해졌을 뿐만 아니라 성폭행을 당한 이후에도 정상적인 여성의 제자리로 돌아가기 힘들었다. 둘째, 『22』는 ‘위안부’에 관한 주류적인 담론을 도전할 때 비극진적이나 힘이 있는 방식을 채택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을 드러내는 동시에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중국에 체제와 맞서는 진정한 독립 영화가 없다’는 관점에 반박하고자 한다. Independent documentary Twenty Two(2015) is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survived comfort women in China. This is the first documentary on “comfort women” issue that has ever been screened publicly in China. It not only provides a new channel through which the Chinese audience can know “comfort women” issue more objectively and throughly, but also sets a new landmark for Chinese oral historical documentaries. The words “comfort women” incorporate specific “political connotation” as well as “gender sensitivity”. However, media representation and social discourse are inclined to stereotyping them as “symbols of ethnical oppression” or “victims of sexual violence”, ignoring the “individual subjectivity” of each of them. Besides, although oral historical documentaries exert considerable influence in the West as well as in Third World Countries, they’ve been staying out of the major Chinese audience perspective for quite a long time. In view of these two aspects, Twenty Two collects the oral histories provided by comfort women survivors, questions mainstream discourse on comfort women issue, and makes more people realized that oral historical documentaries excel in reserving the truth of the past. Following the analysis of some interview scripts extracted from Twenty Two, this research points out that certain patriarchal contextual factors that rooted in domestic society are reflected in the interviews. These factors not only make women more vulnerable to sexual violence, but also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return to the position of normal women after the injury. When Twenty Two is reconstructing the individual subjectivities of “comfort women”, it encourages the audience to cast reflexive perspective on “comfort women” discourse that has long located in the frame of nationalism. Such way of challenging the mainstream ideology is moderate but powerful. While demonstrating such viewpoint, this paper attempts to argue a previous study’s conclusion that asserted that “there’s no real independent cinema in China that challenges the mainstream”.

      • KCI등재

        ‘여성중심’ 드라마 소비를 통해 본 당대 중국의 계층 및 젠더의식

        셰린즈(Xie, Linzi)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3

        여성중심 드라마 〈환락송〉은 2016-2017년에 중국에서 큰 화제가 되었다. 주체적으로 직업적 성취를 이루며 살아가는 여성의 이야기를 보여주고자 한 드라마의 제작 취지와는 달리 작품에서 노골적으로 재현되어 있는 계층과 성차별에 대해 시청자들의 비판이 쏟아졌다. 〈환락송〉을 둘러싼 일련의 현상들은 현재 중국에서 작동하는 계급 및 젠더의 맥락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청자 토론 및 제작진 인터뷰를 통해 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환락송〉의 시청자들은 작품에서 재현된 사회 계층화에 대해 문제의식을 표출하고 있지만 동시에 모순적으로 계층에 대한 편견을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 미디어 재현에 의한 성공, 평등, 계층, 젠더와 관련된 담론은 〈환락송〉 해석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계층과 경제적 불평등을 성차별의 원인으로 인식함으로써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과 포스트페미니즘이 복잡하게 결합된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다. Women centered TV drama Ode to Joy became a hot issue in China from 2016 to 2017.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the drama reflected that how some contextual factors related to class and gender were functioning in comtemporary China. This research analyzed the audience’s discussion and the interview with the production team and drew conclusions as follow: When the audience was expressing their concern about social stratification represented in the drama their words betrayed their stereotypes about class. Social discourses about success, equality, class and gender based on media representation proved influential to the audience drama interpretation. The audience’s recognizing class discrimination and economic inequality as the reason for sexual discrimination reflected the overlap of “Marxist-feminism” and “post-feminism” in comtemporary China.

      • KCI등재

        대학 국제화의 진통: 한국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 간 소통 부재 및 갈등 관계를 중심으로

        민혜영,셰린즈,박지훈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plores how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of Korean universities. With a specific focus on a university in Seoul, We explored how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evaluate the global learning environment, the types of relationship and tension between them.Based on in-depth interviews, we reached three main findings. First, due to Korean students’ strong sense of solidarity, international students develop their own sense of in-group identity as a way to protect themselves. Second, Korean students largely prefer White students from Western countries while ignori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non-Western countries. Lastly, Korean students regarded international students as a barrier in their self-development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believe that Korean students deliberately exclude international students. 본 연구는 서울 소재 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 학생들과 외국인 유학생들이국제화된 교육환경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이들 간에 어떤 종류의 교류와 갈등양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국제화된 한국대학의 현주소를 논의한다. 연구결과 세 가지 현상이 발견되었다. 첫째, 지연, 학연에 따라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한국 학생들의 ‘끼리끼리 문화’가 문화적 배경이 유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집단의식을 강화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고 본인들만의 집단형성을 통해 차별적 관행에서 자기보호를 시도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 학생들은 ‘하얀 얼굴’의 서구권 출신 학생들에게는 우호적 인식을 보이면서 비서구권학생들에게는 배타적인 인식을 보였다. 셋째, 한국 학생들은 국내대학으로 공부하러온 외국인 유학생들을 발전의 장애물로 바라보는 경향을 보였고,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학생들을 배타적인 집단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