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 분석

        성효주 대구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2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 요소는 어떠한가?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2학년 교과서의 장애 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1·2학년 교과서의 장애인관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교과서 총 16권으로 국어 6권, 수학 4권, 통합교과 4권, 안전한 생활 2권이며 교과서에 수록된 지문 및 삽화, 장애 관련 용어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 요소는 장애 관련 삽화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과 장애 관련 인물은 매우 낮은 비중으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장애 관련 내용을 장애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지체장애가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고 건강장애, 지적장애의 순으로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 유형이 지체장애에 편중되어 있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발달지체는 한 번도 다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이 학교에서 실제로 접하는 장애 유형과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장애 유형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장애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의료적 모형과 사회적 모형으로 분류한 결과 의료적 모형 29회, 사회적 모형 16회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의료적 관점으로 장애인을 묘사하는 경우가 더 많으나 장애인의 주체적인 삶을 보여주는 사회적 관점에서의 묘사도 제시하여 점차 긍정적인 장애인관을 형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편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들을 수정·보완하여 앞으로 편찬될 교과서에는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심어주기 위해 장애 관련 삽화뿐만 아니라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과 장애 관련 인물에 대해서도 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에서 실제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장애 유형이 묘사되어 장애 이해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s of revised education courses in textbooks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The specific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what is the disability-related contents in revised textbooks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Secondly, what is the disability type in revised textbooks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Thirdly, what is the view of disability found in revised textbooks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The total of 16 revised textbook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were selected for the subject of study: six textbooks for language arts, four textbooks for mathematics, four textbooks for the integrated subject and two textbooks for the safe life. The text, illustration, and terminology related to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s of disability-related contents, which included revised textbooks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were found the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took the highest proportion while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wed very low quantities. Secondly, when the type of disability which appeared in revised textbooks for 1th and 2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in 2015 was analyzed, as for the frequency of th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physical disabilities was largest, followed by health impairments, mental retardation. But the type of disability presented too much only for physical disabilities and any contents related to blindness impairments, deafness, emotional/behavioral disabilities, autistic disorders, communication disorders, learning disabilities, developmental retardation were not suggested, so as well as non-disabled students to schools actually getting in touch with the types of disability and possible know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ypes. Thirdly, when the medical model and social model were classified along the way in which a disability, the results showed medical models 29 times of and social models 16 times. Still is often depic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s a medical point of view, but examples of cases which show the independent life of disabled people are included variously, which indicate a positive perspective about disabled people. So textbooks the disabled is published with a positive direction can be traced. By creating a correction was found in the study problems, textbooks to be published in the future should deal with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illustrations related to disabilit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correct awareness of disabilities. Furthermore, school at the scene that can actually be in touch with various types of disability will be described, so that textbooks should be used as base data for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기록물의 패싯 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통령기록물을 중심으로

        성효주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odern Archives, interest in the finding aids that assist the guidance of a records to find has been increasing along with the interest and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in user-oriented services increased. In particular, discussions on the finding aids in various aspects to improve efficiency of searching.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president has the status of the national Chief Executive agency as well as the center of n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having the presidential system, the value of Presidential Records as a historical document is very high. So, the process of developing a finding aids to be utilized better in its utilization can be considered indispensable. In this study, want to suggest various "Facet" as a wa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finding aids centered on the Presidential Records. Facet means the aspect of any element, in the broad sense, represents a conceptual categorization, and in a narrow sense, to distinguish dissimilar concepts from each other in particular areas, to group similar concepts, and to categorize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by making a general term into representative term. For this, firstly the change process of finding aids to support user search in a variety of semantic-based, thesaurus, facet, and semantic web have been examined. And focused on the foreign National Archives, NARA in the United States, TNA in United Kingdom, NAA in Australia, and Presidential(Prime Minister's) Archives by each country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ir search options to derive face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Records. In addition, analyzed each Title of Presidential Records in the country, the used terms of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users, and the search options of Presidential Archives Portal. So various facet elements(draft) were derived for efficient search on Presidential Records through such analysis of various aspects, it proposed a plan for serving in online based on that. This can not only provide access on the search results from a variety of aspects, but it also shows various utilization plans of facets to help to rapid access to the information suited to the needs of the users within the vast amounts of search results. That such not taking careful analysis on a large amount of Presidential Records itself, and that seems to be lacking that it has been configured the facet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Presidential Records, can be said to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work to look at the details of more records in order to apply actually will be additionally required to carry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n that it looks at search options of relevant institutions when configuring the facet, and that it suggest that it can consider the way through the processes such as records' names and user log analysis of records held by institutions. Also by providing a variety of search options through the facets and narrowing the results, that the Recorders make use of a lot of facets as a tool that can give guidance to the records that users are ultimately intend to search is to willingly expected. 현대의 아카이브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찾고자 하는 기록물로의 안내를 지원해 주는 검색도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측면에서 검색도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대통령중심제인 우리나라에서의 대통령은 행정수반인 동시에 국가대표기관으로서의 지위를 가지므로 대통령관련 기록물(Presidential Records)은 사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하여 그 활용에 있어서도 보다 잘 활용될 수 있도록 검색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은 필수불가결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물을 중심으로 검색도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패싯(Facet)"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패싯이란 어떤 요소의 측면을 의미하는데, 넓은 의미에서는 개념적인 범주화를 나타내며, 좁은 의미에서는 특정 영역에서 유사하지 않은 개념들을 서로 구분하고 유사한 개념들을 그룹화시켜 일반적인 용어를 대표어로 하여 계층구조를 가지고 범주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양한 의미기반의 이용자검색을 지원하기 위해 검색도구의 변화과정, 시소러스, 패싯, 시맨틱 웹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통령기록물의 특징이 반영된 패싯을 도출하기 위해 외국의 국가 기록관(National Archives)인 미국의 NARA, 영국의 TNA, 호주의 NAA 및 국가별 개별 대통령(수상) 기록관을 중심으로 검색옵션을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기록물 건명 분석, 대통령기록관 포털 이용자 사용용어 분석, 대통령기록관 포털의 검색옵션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측면의 분석을 통해 대통령기록물의 효율적 검색을 위한 패싯요소(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에서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검색결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대한 양의 검색결과 내에서 신속하게 이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패싯의 다양한 활용방안을 보여준다. 많은 양의 대통령기록물 자체를 세밀하게 분석하지 못한 점이나 대통령기록물이라는 특징이 드러나도록 패싯을 구성했다고 보기에는 부족해 보인다는 점 등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록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는 작업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패싯을 구성 할 때는 관련기관의 검색옵션들을 살펴보고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들의 기록명이나 이용자 로그 분석 등의 과정을 거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패싯을 통해서 다양한 검색 옵션을 제공하고 결과를 좁혀줌으로써, 이용자들을 궁극적으로 찾고자 의도했던 기록물로 안내해줄 수 있는 도구로 기록관들이 패싯을 많이 활용하기를 기대해 본다.

      • 한국 노동자의 장시간 노동과 건강 영향

        성효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장시간 노동은 노동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망과도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장기 결근 혹은 퇴직으로 인한 노동력의 손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킨다. 한국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지만, OECD 가입국가 평균인 1,734 시간과 비교하여 한국 노동자는 연평균 259 시간 더 일하고 있으며, 주당 49시간 이상 일하는 노동자는 2019년기준 23.1%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여 장시간 노동을 하는 국가이다. 기존 한국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다양한 인구집단에서 다양한 건강결과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그러나 여태까지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하기 위한 알로스테시스 과부하와 같은 병전(pre-morbid)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포괄적인 건강지표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주로 성인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장시간 노동과 건강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나 장시간 노동이 빈번한 전문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연구는 국가대표성이 있는 자료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를 사용하여 전일제 임금근로자의 노동시간에 따라 알로스테시스 과부하 위험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7)의 전일에 임금근로자 3,468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주당 노동시간은 40-52시간을 대조군으로 하여 15-39, 40-52, 53-68, 69 시간 이상의 네 개의 범주형으로 나누었다. 알로스테시스 과부하 점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 변수는 염증관련 지표로는 C반응단백(CRP)과 백혈구(WBC), 심혈관계 관련 지표로는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리드, 고밀도 지질단백질의 다섯 개 항목을, 대사관련 지표로는 당화혈색소, 비만도, 혈중 크레아틴, 공복혈당, 허리둘레의 다섯 개 항목을 활용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일 관련 변수를 보정한 결과 40-52시간 노동하는 전일제 임금근로자에 비하여 69시간 이상 일하는 노동자 집단이 1.21 (95% CI: 1.02, 1.44)로 유병률 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그리고 15-39시간 집단에서 0.85배(95% CI: 0.76, 0.99)만큼 마지널한 통계적 유의성을 지닌 결과를 나타냈다. 만성질환자 및 암환자를 제외한 전일제 임금노동자를 한정한 결과에서도 40-52시간 노동하는 전일제 임금근로자에 비하여 69시간 이상 근무하는 집단에서 1.40 (95% CI: 1.10, 1.80)의 유병률 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남성과 여성의 층화 분석을 하였을 때 남성과 여성에서 그 결과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두번째 연구에서는 2014년 한국 전공의 근무환경조사에 응답한 전공의 집단에서 노동시간의 차이에 따라 근골격계 통증의 유병률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한국 전공의는 1,077명이었다. 주당 노동시간은 60시간 미만, 60-79, 80-99, 100시간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지난 3개월 간의 근골격계 통증(상지통, 하지통, 요통)은 통증 없음,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통증, 업무에 지장을 주는 통증의 세 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장시간의 근무시간과 근골격계 통증 간의 관계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 전공의들의 평균 근로 시간은 주당 85.6시간으로 나타났다. 주 60시간 미만 근무하는 전공의들과 비교하여, 주 100시간 이상 근무하는 전공의들은 일에 지장을 주는 상지통 (PR:1.77, 95% CI: 1.37, 2.30)과 일에 지장을 주는 요통(PR:2.15, 95% CI: 1.51, 3.06)의 유병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하지통의 분석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자를 대상으로 장시간 노동과 알로스테시스 과부하와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전공의의 극단적인 장시간 노동과 근골격계 통증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는 건강에 미치는 장시간 노동의 노동시간 분류에 대한 논의와 장시간 노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