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능력이 부족한 여성한부모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 경험

        성정현(Jung-Huyn Sung),김지혜(Ji-Hy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중 근로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된 여성한부모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경험을 탐색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50대의 미성년자녀가 있는 수급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은 일을 통해 가계에 보탬이 되고 자녀에게 가난한 어머니로서의 이미지를 벗어나고자 수없이 시도하였으나 좋지 않은 건강과 일을 배우는데 드는 비용, 자녀양육부담, 그리고 근로능력판정상의 점수 등으로 본인의 계획을 관철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가난한 어머니로서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강화되고, 또 자녀에게 부적절한 훈육과 양육으로 투사되었다. 이는 공공부조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더 강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자격 평가 기준에 따른 좌절의 반복과 심신의 건강의 악화로 근로무능력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수급자로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결론에서 근로능력 판정제도와 관련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utilizing experience of public support service of the single mothers, who have been assessed as inability in aspect of labor.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e had in-depth interview five interviewees who had adolescent children or non-adult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from 20s to 50s. From the outcomes of this study, we figured out that they had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poor realities of life and to help the family budget through their work. However, they could not have plans to fulfill their aims, because of the unhealthy body conditions, the high working costs, the burdens for parenting or child-rearing, and the low levels of working abil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ir parenting stresses and depressions from their hard realities have been reinforced, and those psycho-emotional pressures have been projected to connect with the inappropriate disciplines and parenting or child-rearing. And it has been reinforced through utilizing public support service. Consequently, they have become chronic through the repeated disappointment and unhealthy psycho-emotional condition. In this study, we discussed and proposed the labor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which hav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fficient judgement systems for work inability.

      • KCI등재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성정현 ( Sung Junghyu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3 No.-

        본 연구는 남한 사회에서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낙인을 역사적 배경과 연관된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8명, 전문가 4명(2명은 탈북여성)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언어와 의사표현 등 소통의 어려움과 내국인으로의 불인정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종족 정체성(ethnic identity)의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선(先)경험과 잘못된 정보의 일반화, 오랜 분단의 역사와 공간적 거리감에서 초래된 종족성(ethnicity)의 부인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여성들은 부정적 인식과 차별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외로움을 해소하고 적응하기 위해 그들만의 공동체를 구축하였으며, 이것은 정서적·도구적 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내 구성원간의 갈등, 후원금과 자원배분의 문제, 공동체 경험의 부재, 북한체제에서 겪은 불신과 호상비판의 일상, 신변노출의 문제, 자유와 인권에 대한 몰이해 등으로 갈등과 해체의 위기를 경험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남북한 교류를 위한 모임과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women`s experiences of negative perception, discrimination and ``ethnicized stigma``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8 women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4 profession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most of them experienced negative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caused by language,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differences of ways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they experienced the disapproval as the native perception and confusion of ethnic identity. Several participants in this study try to build or organize their communities to give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for them. However, in these processes, they experience emotional conflicts and crises feelings of disorganization of their communities because of they didn`t have experience to involve communities, and didn`t have ideas of membership and their roles. And they were learned to criticize with each other in North Korea. They worry about their families` safety in North Korea. For this reason, they can`t have trustful personal relationships among Koreans including people escaped from North Korea in South Korea. They want to participate in Korean`s community activities, and learn to adjust to everyday lives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based up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y practical implications or solutions for North Korean defector`s welfare would be suggested.

      • KCI등재

        사회적 폭력경험과 자아존중감이 북한이탈여성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성정현(Jung-Hyeun Sung),김지혜(Ji-Hy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는 직장과 학교 등 사회적 장면에서 경험한 폭력 경험과 자아존중감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2017)의 북한이탈여성의 폭력피해실태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폭력 경험 실태를 알아보고, 사회적 폭력 경험과 자아존중감, 자살 생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 폭력 경험은 자살 생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자살 생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사회적 폭력 경험이 있는 경우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크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살 생각을 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의 사회적 폭력 예방,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olence experience and self-esteem experienced in social scenes such as work and school on suicidal thoughts. For this purpose, I use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2017)’s data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violence victims. To this e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erience of social violence among North Korean refugee women had a positive effect on suicidal thoughts, and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suicide-related features. This means that if you have experienced social violence, you a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thinking, and the higher your self-esteem is, the less likely your suicidal thinking is.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were proposed to prevent social violence, and to improve physical/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 KCI등재후보

        계약적 윤리관이 세무대리서비스의 질과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정현 ( Sung Jung Hyun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6 세무회계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계약적 윤리관이 세무대리서비스의 질 하위요인들을 매개변수로 하여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약적 윤리관은 비용요인, 고객접점서비스 요인, 기능적 요인, 시간요인, 기술적 요인의 순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객만족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무대리서비스의 질 하위요인들은 고객접점서비스 요인, 비용요인, 기능적요인, 시간요인의 순으로 고객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적 요인은 고객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약적 윤리관은 고객접점서비스, 비용, 및 기능적 요인을 매개변수로 하여 고객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무대리서비스 제공시 고객접점 직원들이 계약적 윤리관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면, 이는 세무대리서비스의 질을 높여 고객만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ractual ethics effect on the tax agency services factors and customer`s satisfaction. Also to estimate mediation effect of the tax agency services factors.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shows that contractual ethic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but significantly effect on the tax agency services factors. And the tax agency services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service encounter factor, cost factor, functional factor and time factor. Unlike results of existing precedent study,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echnical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Sobel test results, tax agency services factors have mediation effect between contractual ethics and customer`s satisfaction.

      • KCI등재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성정현 ( Jung Hyun Sung ),김지혜 ( Ji Haye Kim ),신원우 ( Won Woo Sh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는 현재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대안학교에서 수학하고 있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대안학교에 참여한 동기 혹은 계기 대안학교에서의 경험 진로계획 , , 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 5월 20일부터 6월 20일까지 미혼모자시설에서 운영하는 대안학교 두 곳의 참가자 6명과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면접대상자는 현재 대안학교에 출석하고 있는 15세부터 19세까지의 미혼모들이다. 면접은 인 구사회학적 특징과 미혼모가 된 과정, 경험, 그리고 대안학교에 진학한 동기, 경험, 애로점이나 제안사항 등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미혼모와 미혼부중에는 부모의 사별, 별거, 불화, 무관심 등과 같은 부정적인 사건을 경험한 경우가 많았으나 임신 전 학교생활에 대해서는 원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참여하게 된 동기는 학업지속을 통해 가족의 기대에 부응하고 스스로도 새로운 출발점을 찾기 위함이었다. 또 가족과 본인 모두 최소한 고등학교 졸업 학력은 소지해야 취업이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면접참가자의 절반은 출산후 원적학교로 복귀하기를 원했다. 대부분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학교당국과 불화를 겪고 있었으며, 대안학교는 이 상황에서 일종의 완충지대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의 수업과 관련하여, 교육내용과 교사에 대해 만족하지만 수업시간이 짧은 점, 고등학생의 경우 실업고와 인문고를 구분하지 않고 통합교육을 진행하는 점에 대해서는 단점으로 꼽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결과를 청소년 미혼모의 교육권의 측면에서 논의하고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unmarried mother`s alternative schooling.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unmarried mothers attending in alternative schools. By using the qualitative methods, we could find several results as follows.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re studying in alternative schools to act up their parents` expectations and to make a new starting opportunity in their life. They and their parents think a certificate as an essential requirement to have a job and to live as independent person. But they have several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public schools. The responses from schools depend on their perceptions to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Several schools reject their return to school, but the other schools accept their students` situations and make support systems for their tests and achievements. In these cases,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have plan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chools after departing the facilities. The alternative school`s professionals make a buffing role between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and the public school teachers in difficult situations as above. We discuss the results with reference to the unmarried adolescent mother`s educational rights.

      • KCI등재

        민간 한부모지원단체의 활동현황과 방향성 모색에 대한 연구

        성정현(Sung, JungHyeun),김희주(Kim, HeeJoo),장연진(Jang, Yeon Jin)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2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을 지원하는 민간단체들이 태동하게 된 배경과 활동 현황을 알아보고, 한부모가족을 지원하는 민간단체들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와 대안에 대한 당사자들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 대전에 소재한 총 10개의 민간의 한부모 지원단체 리더들과 심층 면접을 하였다.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접은 2019년 4월부터 8월 말까지 진행되었으며, 면접내용은 단체의 출범 시기와 목적, 회원수, 조직, 활동내용, 홍보방법, 예산, 과제, 비전 등 단체 현황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결과, 한부모단체가 태동하게 된 데에는 경제위기 이후 이혼 한부모가구의 급증과 심리사회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주요한 요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 단체들은 심리정서적 지지에 중점을 두었으나 이후 사회경제적 여건 개선을 위해 경제적 지원과 인식개선에 집중하였고, 이를 위해 단체들은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홍보전략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부모 지원단체들은 현재 부정적 인식과 인적·물적 자원 부족으로 활동의 제약을 경험하고 있으며, 운동과 복지 지원 간 정체성의 딜레마, 한부모라는 특성으로 인한 정책 배제로 정체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에 대해 단체는 프로젝트 예산을 확보하고 단체간 연대를 모색하며 재원확보 및 단체 비전 수립을 통한 특성화 등 다각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민간 한부모지원단체의 현황 및 나아갈 방향으로서의 복지 운동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the birth and current activities of NGOs supporting single parent families and to investigate workers’ perception of challenges and solutions in terms of providing services for single parent families.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0 leaders of support organizations for single parents and asked questions like establishment year, goals and missions, number of members, activities, budget, tasks and visions. This study found that private support organizations for single parents were established due to the rapid rise of single parent families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Korea who had serious psychosocial problems. In early days, these organizations had focused their services on psycho-emotional support, however they changed focus on economic support and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to help single parent families by using diverse promotion strategies. However, their organizations experienced barriers to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because of negative percept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in Korea and their lack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Moreover, the organizations faced identity dilemma between feminism movement and welfare assistance and hardly expanded their activities due to policy exclus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in Korea. In order to cope with their difficulties, participants sought multilateral alternatives, such as securing project funding, building social networks with other organizations and specializing their programs by establishing a vision statement. In conclusion, researchers discussed welfare movement of private support organizations for single parent families as future direction.

      • KCI등재

        이혼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경험

        성정현(JungHyu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이혼을 경험한 여성 한부모들의 자립 경험을 탐색하여 한부모들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미 자립을 한 10명의 이혼여성을 대상으로 자립 및 적응 경험을 심층면접 하였다. 연구결과, 참가자들은 이혼 당시 배우자에 대한 배신감과 실망감, 우울 등의 심리 · 정서적 어려움과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경제적 문제, 주거 빈곤을 경험하였으며, 이런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임시직을 경험하고 지속적인 정보탐색 및 고등교육 과정의 이수, 자격증 취득 등 경력을 개발하는 노력을 하였고 자녀와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이 과정에서 정서적으로는 이혼을 수용하고 자녀와 전배우자 간 관계를 재정립했으며, 생활과 자녀관계에 대해서는 자아통제력을 행사하였다. 또 원가족의 승인과 한부모 자조모임, 지역사회지지 망을 확보하였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장기 계획과 목표를 수립하여 매진하는 삶을 삼으로써 희망과 기대를 놓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자립 및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life experience of divorced mothers’ self-independence and to search for ways of helping their self-independence in social welfare practices.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divorced mothers about life experience of psycho-social and economic spheres, child care, job experience,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ingle mothers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tress of depression, feeling of reject and betrayal, difficulties in child care, and so on. They had experienced of various jobs to cope with economic difficulties. After divorce, they had explored informations and support resources to receive help for their children, and they endeavored to acquire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s. They accepted their divorces in themselves and they rebuilt relationships with ex-husband, excised perceptions of self-control in finances and child discipline spheres. And they established of mid-to long-term life goals, and did not abandon their dreams and visions in despite of their poor qua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the ways of social welfare practices to help and support single mothers’ self-independence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part of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정현(Jung-Hyu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외상사건을 경험한 탈북여성들이 남한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남한에서의 부정적 경험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트라우마의 재현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는 5명의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과 서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참여자들은 굶주림, 투옥, (성)폭력, 인신매매, 가족관계의 단절, 죽음의 목격 등 극단적 사건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과거 기억의 회상과 회피, 악몽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상후 스트레스를 겪는 상황에서 이들은 남한에서 차별과 부당한 대우, 낙인, 적과의 동침 상황, 끝나지 않는 빈곤, 용서불가, 그리고 자살의도 등과 같은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을 겪고 있었다. 이런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 경험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남한 입국에 대한 후회와 분노,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철회와 무희망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부정적 정서의 근간에는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편견이 자리 잡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사회적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취업 및 고용지속을 위한 장기적인 서비스 등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이나 민간기관과의 연계망을 확보하고, PTSD 및 그 외상경험의 재현에 대한 사례관리를 해야 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experience of trauma caused by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stigma from South Korean. For this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are used. The participants are five wome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y were from 20s to 50s. From the outcomes of this study, I find out that they had experienced to put in prison, to let arrest to let human traffic, and sexual or physical assault. Now they have PTSD(Post Trauma Stress Symptom) of nightmare related with past trauma, avoid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imilar situations, and retrospection and memorization of negative experiences. In that situation, they also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 caused b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ir suffering in South Korea. And almost of them suffer from poor situation economically and physically. Participants regret their entry to South Korea and perceive that their hope has gone. And they have anger of Koreans discrimination and stigma and they feel suicide impulse after experiencing very difficult situation. These negative experiences affect their PTSD and make reemergence of trauma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I proposed the practical suggestions which have affected decreasing the PTSD.

      • 사업체에 고용된 여성장애인의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성정현(Sung Jung-Hyeun),이영미(Lee Young-M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4 비판사회정책 Vol.- No.18

        본 연구는 사업체에 고용된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직무실태 및 특성과 만족도를 알아보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고용의 활성화 및 고용안정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과 연계를 맺고 있는 434개의 사업장을 통해 총 358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여성장애인은 대부분 소규모의 업체에 종사하고, 적은 수입과 대인관계, 자신이 능력, 업무 등과 같은 직장에서의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부는 성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장애인전용직장이나 보호작업장으로 이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직업에 종사한 기간이 5년 이상~10년 미만인 집단과 고용상태가 기타인 경우가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으며, 전문ㆍ관리직에 종사하는 여성장애인들과 애로점이 없거나 이직의사가 없는 경우가 직무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여성장애인들은 평균 3.37로 보통수준의 점수를 나타냈으나 그중 과업중요성은 평균 3.66으로 가장 높고, 기능의 다양성은 가장 낮게 나타나 직무의 단조로움 등이 애로점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고용된 여성장애인의 지속적 고용을 위해서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여성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고용상태에 있는 여성장애인의 발전을 위한 재직훈련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또한 직장에서의 차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근로감독의 강화와 고용상의 권익을 보호하는 제도가 마련되고, 물리적인 환경이 하루 속히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도 매우 크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women with disabled in Korea, and factors that predicts the degrees of their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8 disabled women who are employed in companies from allover the Korea. This study found that disabled women’s income is very low and they are employed in small size company. Most of them work in a manufacturing compani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lower level of skill variety was appeared to be serious problem regarding the job characteristics. Finally, using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a term of working, physical environmental consideration, negative perception and prejudice of disabled person, autonomy, feedback, and task ident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degree of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knowledge about disabled women’s job characteristics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related to promot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