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기대도와 실행도에 관한 학생의 인식

        성승민,여상인,Sung, Seung Min,Yeo, Sang-Ihn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7 초등과학교육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expectation and performance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advanced article, and conducted to 279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Scheff{\grave{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on the elementary teachers performance can not reach to those of their expect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me of the sub-domains of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s (gender, grade, and interest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ach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성승민,여상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est, task-commit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science learning.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of 18 questions(5 items of interest, 5 items of task-commitment, and 8 items of self-regulation ability) was conducted to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two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to investigate their interest, task-commit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rest, task-commitment and self-regul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institu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gifted education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re suggested.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흥미 5문항, 과제집착력 5문항, 자기조절능력 8문항씩 총18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영재교육원과 영재학급 초등 과학영재에게 사전과 사후에 투입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영재교육기관에 따라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이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영재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 과제집착력 및 자기조절능력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과학 성취 상황별 성취 정서 비교 분석

        성승민,김수미,여상인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1

        In this study, the achievement emotions of each science achievement situation perceiv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in general and gifted science cla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5 science gifted students of the G gifted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The achievement emotions scale for each science achievement situation used in this study was u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evious study sca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achievement emotions in science class and science learning,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chievement emotions in science test achievement situ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achievement emotions in science class,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test achievement situations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achievement emotions by science class, science learning, and science test in general and gifted science class perceiv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we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과학 성취 상황별 성취 정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G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165명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과학 성취 상황별 성취 정서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는 과학수업, 과학공부 성취 상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성취 정서가 있었고, 과학시험 성취 상황에서는 모든 성취 정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과학수업, 과학공부, 과학시험 성취 상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성취 정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과학수업, 과학공부, 과학시험별 성취 정서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과학교육 강의 과정에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자기 인식 변화 분석

        성승민,여상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科學敎育硏究誌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self-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s shown in science education lesson cou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nrolled in the second year at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scale of this study were derived and appli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scale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self-percep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improving. In shor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sub-domains such as professionalism development efforts, educational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tmosphere, assessment and science teaching prefer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ed contents in detail along with the combustion-related science lesson plan, Padlet, and post-test descriptive question responses, there were some good categories and some categories that needed to be supplemented.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for enhancing the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needs to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강의 과정에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자기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교육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 예비교사 25명이고, 선행연구의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의 검사 도구로 도출 및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자기 인식은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하위범주인 전문성 계발 노력,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환경 및 분위기, 평가와 과학수업 선호도에서 모두 사전·사후에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내용을 연소 관련 과학수업 지도안, Padlet 작성 내용, 사후 검사 서술형 문항 응답과 함께 세부적으로 살펴본 결과, 양호한 하위범주도 있었고, 일부 보완이 필요한 하위범주도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본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전문성에 대한 학생의 인식

        성승민,여상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8 초등과학교육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students about professionalism on th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through network analysis of keyword.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lated by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then analyzed by Gephi 0.9.2 program as a tool of the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p 5 words in betweenness centrality were ‘smart, experiment, fun, various, and student understanding’. There was some difference of perceptions of student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s(gender, grade and interest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catio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were suggested.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성찰과 동료평가에 나타난 주목하기(Noticing) 특성 분석

        성승민,여상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성찰과 동료평가에 나타난 주목하기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G 교육대학교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 50명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성찰과 동료평가에 나타난 주목하기특성 분석틀은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분석틀은 5개의 분석 차원(주체, 수업 단계, 주제, 초점, 견지)으로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성찰과 동료평가에서 주체, 수업 단계, 주제, 초점, 견지 분석 차원에 따라관심을 두는 구성요소 일부에서 차이를 보였다. 예비 초등교사는 과학수업 성찰과 동료평가에서 모두 탐구능력 함양이라는 초점에주목하며, 자신이 과학수업 지도안을 구성하고 과학수업 실연을 할 때는 어떤 탐구 활동으로 수업을 설계하는지에 대해 더 주목하고,동료교사의 입장에서는 어떤 수업자료를 활용해서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에 관심을 가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는 초등교사를 양성하고, 과학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서의 예비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오개념 및 초등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성승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7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misconception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lementary students’ misconceptions in various gases uni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nrolled in the second grade of university of education and 123 elementary students in five classes, who were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naire items used in this stud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science teacher’s guides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level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for various gas unit concepts differed depending on the item, and the predicted results and actual resul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frequency of misconceptions among elementary students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it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dentifying miscon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is important in terms of understanding concepts, linking curriculum, and designing lessons, and that the impact of elementary students’ misconceptions on science classes was more of a useful effect than an intrus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서의 예비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오개념 및 초등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교육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 25명과 초등학교 6학년으로 5개 학급에재학 중인 초등학생 123명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은 과학 교사용 지도서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 제시된 개념의 예비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 이해 수준은 문항에 따라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생 오개념 빈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예측 결과와 실제결과도 문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오개념 파악은 개념 이해, 교육과정 연계, 수업 설계 측면에서 중요하고, 초등학생의 오개념이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방해적 영향보다 유용한 영향이라는 인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