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발달장애인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 고찰

        성명진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5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과 다양한 지원체계를 위한 모색 하고자하는 상황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기 위한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인과 자기결정에 대한 다양한 맥락적 이해를 알아보 고, 한국과 미국에서 연구 개발된 자기결정 프로그램 문헌을 통해 앞으로 필요한 지원을 다 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화적 맥락에 따른 한국적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 째, 생애주기에 따른 전환과정에서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지원 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넘어서 다학문적 융 합을 통한 삶의 지원이 보장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발달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 화가 요구된다.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자기결정권을 발달장애인이 권리로서 이행하기 위한 방 법으로 프로그램 형식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내용을 통해 향후 자기결정 프로 그램 개발과정의 방향성을 참조할 수 있다.

      • KCI등재

        東アジア3か国語における代用表記について−「障碍・障害」及び「咯血・喀血」を中心に−

        성명진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日本硏究 Vol.0 No.73

        Formerly isomorphic synonyms in the Korean,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s, Kango now often have different usages/meanings due to the language policies of their respective countries. This article examines the individuality of Kango replacement in each language, and diachronically examines the words ‘Shōgai 障碍/障害’ and ‘Kakketsu 咯血/喀血’. It is well-known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障碍 as a Buddhist term in Chinese classics, as well as a newer meaning: ‘to disturb/prevent’, were introduced to Korean and Japanese. Its usage as a medical term does not appear in Chinese until 1908 and it is not until a half century later that this usage appear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ts modern Chinese meaning: ‘defect’, has not impacted the other two languages. Meanwhile, in Japan, a new form, 障害, has replaced 障碍, appearing due to the shift of Kanji pronunciation from Go on 呉音 to Kan on 漢音. This form was also introduced to Chinese and Korean, and has been used as a synonym of the original word, but only when it represents the meaning ‘to disturb/prevent’. In Korea, as with technical terms in many fields, 障碍 and 障害 cannot be used as synonyms. Both ‘咯血’ and ‘喀血’ have been used to represent a type of physical illness since the 14th century, and the general public in all three countries tend to acknowledge them as different forms of one word. However, in China 咯血 became the standard medical term, whereas 喀血 became standard in Korea and Japan. The present research shows that the different usages of 咯 and 喀 in Chinese and Japanese led to the different forms being chosen as standard. It also indicates that 3 different forms in Hangul, ‘gak hyeol’, ‘rak hyeol’ ‘gaek hyeol’, were used in Korea due to the borrowing of multiple pronunciations of the Chinese character 咯, but ‘gaek hyeol’ is becoming the dominant term ever since the standard form was announced in the “Medical Glossary 5th edition”. 일찍이 한중일 3개 국어에서 동형동의어로서 공유되었던 한자어 중에는 현대 각국에서 실시된 언어 정책의 영향을 받아 자국 언어 독자적인 의미 혹은 용법을 가지게 된 것들이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이들 한자어의 변천 과정과 각각의 언어에 나타나는 독자성에 주목하여 ‘장애(障碍)/장해(障害)’와 ‘각혈(咯血)/객혈(喀血)’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障碍’의 경우, 중국 고전에서 불교 용어로 사용되었던 한자어의 의미 전이에 따라 종교적 의미와 함께 일상어로서의 의미 ‘방해하다’도 이른 시기에 한일 양국어에 전래된 것을 확인하였다. 의학 전문 용어로서의 용례는 1908년에 발간된 중국어 번역문에 보이는 것이 이른 편인데, 한일 양국의 문헌에 이러한 용법이 보이는 것은 반세기가 지난 후인 점과 현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의미 ‘고장’은 한일 양국어에 영향을 주지 않은 점도 지적하였다. 한편 일본에서는 한자음의 대체에 따라 대용표기인 ‘障害’가 생겨났는데, 이 새로운 한자어는 한중 양국어에 차용되어 일상어로서 ‘障碍’와 병용 되는 한편, 한국의 경우 여러 전문 분야에서 두 한자어가 각기 다른 의미와 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점을 실례를 통하여 고증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咯血’과 ‘喀血’이 일종의 신체 질환을 나타내는 한자어로서 오랜 시간 병용 되어 왔지만, 중국에서는 ‘咯血’, 한일 양국에서는 ‘喀血’이 의학 표준 용어로 지정됨에 따라 언어 간의 차이가 생겨난 점을 명확히 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咯’과 ‘喀’을 형태, 소리, 의미가 모두 상이한 한자로 지정한 언어 정책이 공포되어 출판물의 검열 기준이 된 데다 의학 표준 용어로서 ‘咯血’이 채택된 까닭에 이후 두 한자어가 ‘咯血’로 통합되어 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일본에서는 이들 두 한자가 ‘喀’으로 통합되는 과정에 있는 점과 ‘喀血’이 ‘咯血’의 대용표기로서 각종 언어 정책을 통해 일반 사회에 보급된 점, 의학 표준 용어로서도 ‘喀血’이 선택된 점을 지적하였다. 반면 한국의 경우는, 중국어에서 전래된 복수의 한자음의 영향을 받아 ‘객혈’, ‘각혈’, ‘낙혈’이 병용되는 시기가 있었던 것을 1920년부터 2009년 사이에 출판된 각종 사전의 수록 정보를 통해 확인한 후, 현재에는 의학계를 중심으로 ‘객혈’로 통일 되어가는 경향이 강한 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KCI등재

        한자문화권에 대한 재검토 : 동아시아 3개 국어에 있어서의 한자의 표음성과 관련하여

        성명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5 한국문화연구 Vol.28 No.-

        It is a common misconception that it is easy for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o understand each other due to the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similarities that they sha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This way of thinking has led some to believe that these three countries should grouped together as one community (a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and to the proposal that Chinese characters should be standardized in these countries. As a result,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have been held with the purpose of determining the form, kind, and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that can be jointly used in these three countries. However, these meetings have proceeded without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linguistic significance of such a movement and about whether it is effective and meaningful to unify the forms of characters. They have also not considered the changes in meanings and usages of Chinese characters which have occurred in each country over time. This article discusses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s phonetic equivalents in modern China, the simplifi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a and Japan, changes in the usage of certain characters in Japanese due to the potentially negative impression they might give, and various kinds of attempts in Korea to improve understanding of Chinese/Japanese loanwords which are no longer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due to the exclusive use of Hangul. Understanding similarities in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is both important and beneficial for promoting deeper mutual exchanges among these countries. However, to truly understand and make use of these similar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comprehend the differences in how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used in each respective country. 동아시아 3개국을 하나의 공동체로 생각하고 국가 간의 문화적경제적학술적 교류를 증진하려고 하는 움직임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다. 그리고 그 배경 뒤에는 ‘한자’라는 문자를 매개로 한중일 세 나라가 공유해 온 언어와 사상, 문화적 유사성을 통하여 다른 나라들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상호 교류를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존재한다. 이들 세 나라를 통틀어 ‘한자문화권’이라고 일컫는 것은 바로 그 유사성 형성의 매개체인 한자의 역할과 영향력에 무게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를 증진시키는 방안으로 한중일 3개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자의 종류와 형태를 선정하고 그 숫자를 점차 확대해 나가자는 것을 취지로 하는 각종 국제회의가 개최되어 왔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한자 간략화의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추진되어 온 소리가 같은 한자를 이용한 바꾸어 쓰기나 각국에서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한자와 그 용법이 만들어낸 새로운 한자어, 동음이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한자 한자어의 변경 혹은 대체로 인한 변화를 간과한 채 한자의 형태만을 통일하려고 하는 시도가, 실제적으로 국가 간의 상호 교류 증진의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언어학적인 관점에서의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한자의 표음성과 관련한 한중일 각국의 독자적인 한자 사용 실태를 구체적인 예시를 통하여 검토하고, 지속 가능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설립과 발전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韓中日3か国における医学用語の現状

        成明珍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4 日本硏究 Vol.0 No.62

        Medical terms in Korea, China, and Japan have mainly been discussed with regards to how the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terms Japanese scholars created in the Edo era. This work examines the present state of these terms in each of these countries, looking at how they have been standardized, revised, and added to throughout history en route to their modern forms. In Korea, many medical terms were initially borrowed from the Japanese language, understanding of which depended on the written forms of Kanji characters. As the exclusive use of Hangul, a featural alphabet, became increasingly prominent, decreased understanding of medical terms became an important issue. A large number of medical terms have been proactively replaced by Korean language-specific words or widely known words of Chinese origin, resulting in decreased dependency on terms from the Japanese language. In contrast, various alterations to medical terms have been made in China, giving rise to many words and terms unique to China. For example, the readings of certain terms have been changed to avoid confusion of words which were originally homonyms, and the written forms of characters making up terms have been altered as connotations of characters have changed over time. While most discussions and revisions of medical terms in China concern standardization, understanding of terms has not been considered a major problem. In Japan, the spread of medical terms in society has been limited as many terms consist of Kanji characters with readings particular to medical contexts or abbreviated forms used only in medical fields. To resolve issues with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strategies such as paraphrasing and the addition of clarifying explanations have been proposed, but revisions of the terms themselves have not been observed. Grasping the present state of medical terms is important as terminology in Korea, China and Japan continues to evolve. Considering the issues in understanding and standardization of terms arising due to societal changes over time, and how they have been dealt with to date, the future direction of medical terms in these countries is of great interest.

      • KCI등재

        日中韓3言語における漢字·漢語の代用表記について

        成明珍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3 日本硏究 Vol.0 No.56

        かつて漢字という文字体系を共有し、数多くの同形の漢語を使用していた日中韓3言語には、漢字そのものの特質から自然発生した仮借や避諱という社会的慣習によって生まれた代用表記、近現代の各国で独自に行われた言語政策による書きかえなど、性格を異にする種々の代用表記が存在する。本稿では、様々な原因により発生し、また言語ごとに異なる方向に発展してきた漢字・漢語の書きかえを対象に、その成立背景や各国における変遷過程、その結果生み出された言語間の違いなどについて考察を行い、3言語において代用表記が持つ役割と意味について考えてみた。 古くから仮借を含む様々な簡略字体が俗字として通用されてきた中国では、漢字簡略化の有力な方法として同音の漢字による書きかえが再び注目され大いに活用された結果、現代中国で使用される漢字の筆画の簡略化・字形の規範化に一定の効果をもたらした。主に漢字という文字レベルで行われてきた中国の書きかえと異なり、日本においては、一般社会で使用される漢字の字種・字数の制限によって書き表せなくなった漢語の書きかえに焦点が当てられ、主に単語レベルの代用表記が行われてきた。一方、早くも表音化の道を選び、ハングル一本になりつつある韓国では、文字体系としての漢字使用に制限が行われたため、漢字そのものを別の漢字に書きかえることなどは行われず、漢字への依存度が高い日中両言語と大いに異なる様相を呈している。 当然のことながら、このような代用表記の出発点や方向性、対象、方法の違いは、言語ごとに異なる語形や言語別に意味・用法上の違いを持つ同形語、他言語に伝わり一定の影響を与えた新しい語形など、性格を異にする様々な代用表記を生み出したが、このような同音の漢字による書きかえは、今後も各国で独自に発展していき、3言語間の距離を遠ざける要因の一つとして働くことになると考えられ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