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탐구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패턴 분석

        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탐구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다양한 수업방식과 교수 실천에 있어 실제 교실 상황을 분석하는 일은 주로 발문이나 언어적 의사소통 연구에 치중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실증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수업 관찰 프로토콜(RTOP)과 행동 분석 프로그램(Observer XT)을 활용하였고, 현직 교사 3명의 실제 수업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와 학생의 RTOP 분석에서 상호작용 척도 측정결과에서 상호작용 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탐구수업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하위 요소 중 정보제공 및 설명시 제스처를 사용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수업에서 교사가 중심일 때 보다 학생 중심으로 진행될 때, 교사와 학생의 친밀한 거리, 학생 개개인과의 눈 맞춤 비율이 늘어났고, 학생들의 질문과 요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행동 패턴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 영상에서는 학생들을 평가 하거나 피드백 하는 빈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중요한 정보 제공 시 모두 목소리에 적절한 변화를 주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나갈 것이라고 볼 때,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은 단순한 학생들의 참여의 여부와 활동 의미를 두기보다는 상호작용 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아동들에게 의미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which is emphasized in new educational demands,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quiry classes. Methods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analysis of actual classroom situations i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practices has mainly focused on questionnaires and verbal communication studies. We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 data on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o this end, the inquiry class observation protocol (RTOP) and behavior analysis program (Observer XT) were used, and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ctual class footage of three incumbent teachers. Results In the inquiry class where the interaction scale was the highest in the RTOP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atio of using gestures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explanation among the sub-elemen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also high. When the class was student-centered rather than teacher-centered, the close distanc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nd the ratio of eye contact with each student increased, and the behavioral pattern of responding directly to the students questions and demands was prominent. In the classroom video of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evaluating or giving feedback to students was rarely seen, and it was found that all important information was emphasized by changing the voice appropriat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will be more emphasized and continuously expanded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future classes that are expected to change in the future,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emphasized in the new educational demands depends on whether or not students simply participate. It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for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use it well in interaction, rather than placing the meaning of activities with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

        정진욱(Jung, JInwook),성경환(Sung, kyunghwan),장영수(Jang, Yongsu),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특히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간의 관계에서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5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투입했으며 이들 중 불성실한 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220부를 가지고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성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들이 모두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본생활습관이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영향을 미칠 때, 학습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일부 관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asic life-habit,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life habits between learning attitud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otal 23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se of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2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life habits, learning attitud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identified as suitable, and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others. Second, learning attitude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when the basic life habits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asic life-habit,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에 관한 연구

        박희진(Park heejin),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한 좋은 수업에 관한 개념적 구조와 그 공감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K대학교 초등교육과 재학생 66명과 면담 및 설문을 통해 50개의 최종진술문들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범주화하여 평정한 뒤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교사는 좋은 수업의 개념을 ‘교사-학습자’ 주체와 ‘전달-구성’ 관점의 2가지 차원과 ‘교과 내용 전달을 위해 잘 구조화된 수업’, ‘일상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역량을 키워주는 수업’, ‘학생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키워주는 수업’, ‘학생을 고려하고, 존중하는 학생중심 수업’, ‘교사와 학생 간 소통이 활발한 수업’, ‘학생의 학습을 위해 교사의 적절한 지원이 있는 수업’, ‘학생의 학습을 위해 교사가 준비하고 노력한 수업’의 7개 군집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공감도 또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에서의 좋은 수업의 특성 및 좋은 수업 실천을 위한 이해를 돕고, 초등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conceptual factors and awareness of ‘Good Teaching’ which is recogniz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66 students of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of K University extracted 50 final statements through interview and survey. Then it was categorized the statements and formed a concept mapping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It turned out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 ‘Good Teaching’ as two perspectives; ‘teacher-learner’ and ‘results delivery-construction process’ and as seven clusters; ‘well-constructed teaching for curriculum content’, ‘teaching for Preparing students for social adaptation’, ‘teaching for various capacity needed’, ‘student oriented teaching with considering and respecting’, ‘teaching with active communication’, ‘teaching with an adequate support and feedback from a teacher’, ‘teaching with a model and an effort of a teacher’ with a very high level of awareness. This study will offer basic data and suggest positive direction to the quality and understanding of ‘good teaching’.

      • KCI등재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비교

        장영수(Jang, Yongsu),정진욱(Jung, Jinwook),유명희(Ryu, Myounghee),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주요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중 통합운영학교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다가오는 미래사회 변화와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사회의 저출산 고령화와 학령인구 감소는 사회 환경 및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정책 환경변화를 야기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 통합에 대한 부분이다. 현 통합운영학교 정책은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교육재정 배분의 문제, 학교급의 자율성 보장의 문제,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직원 운영 등 여러 가지 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교원 수급 조정, 교원 양성, 자격, 임용 제도의 정비, 학교 시설 제도 및 운영,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등에 다양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주요 시도교육청은 이러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초·중등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 교무실 및 행정실을 통합하거나, 학교 시설 및 물리적 공간을 통합하는 학교가 다수였다. 반면 교원의 배치 및 업무 분할은 개별 운영하는 학교가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 교과 영역 보다는 비교과 영역, 학생 공식 행사 및 동아리 운영에서 일부 통합 운영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하여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현재 운영 중인 통합운영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과 교육과정, 교직원관리, 학교 행정 및 회계 관리, 교육시설, 통합운영학교 관련 법령 및 제도 등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operated by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to seek policy suggestions to respond to new educational demands followed by upcoming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policy environments. Low birthrate and aging in the future society and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chang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ause various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s. Among various educational measures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what matters the most is to integrate schools due to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especially that of children,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plans for this. The current policy of integrated schools is causing several controversies on the issue of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study, distribution of education finance, the autonomy at the school level,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chools and the operation of teachers. It needs various system supplements on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training teachers, qualifications, organiz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n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educational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solving,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re operating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which according to the analysis, was mostly operated by integrating teaching and administrative offices or school facilities and physical space in school. The placement and division of duties of teachers, on the other hand, were operated individually by lots of schools.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some were integrated operation in extracurricular areas, student official events and club management, rather than in subject areas. Like thi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problems and improvements such as efficient oper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in faculty, school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laws and institutions of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by discussing current issues on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