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와 혈중 아포지방단백 A-1과의 관련성

        서현애 ( Hyun Ae Seo ),최연경 ( Yeon Kyung Choi ),전재한 ( Jae Han Jeon ),이정은 ( Jung Eun Lee ),정지윤 ( Ji Yun Jeong ),문성수 ( Seong Su Moon ),이인규 ( In Kyu Lee ),김보완 ( Bo Wan Kim ),김정국 ( Jung Guk Kim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6

        연구배경: 제2형 당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제2형 당뇨병환자의 사망률은 매우 높다. 관상동맥 석회화는 심혈관질환의 예측인자로 알려져 있고 관상동맥 석회화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줄임으로써 제2형 당뇨병환자의 주요 사망원인인 심혈관질환은 예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상동맥 석회화의 위험인자, 그 중 혈중 지질 및 아포지방단백에 주목하여 관상동맥 칼슘수치와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을 방문한 제2형 당뇨병환자 254명(남자 113명, 여자 141명)을 대상으로 multi detector-row computed tomography (MDCT)를 이용하여 관상동맥 칼슘수치를 측정하였다. 키, 몸무게, 혈압, 당화혈색소, C-peptide, 혈중지질, 아포지방단백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Agatston 수치는 아포지방단백 A-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남자, 여자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남 P=0.015, 여 P=0.007). 나이와 성별을 통제변수로 하여 보정한 결과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22). Agatston 수치를 독립변수로 하여 혈중 지질, 아포지방단백과의 연관성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살펴보았을 때 아포지방단백 A-1은 독립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인자였다(β coefficient=-0.047, 95% CI=-0.072 to -0.021, P<0.001). 결론: 본 연구 결과 아포지방단백 A-1은 관상동맥 칼슘수치와 독립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포지방단백 A-1은 관상동맥 석회화를 예측하는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s increasing annually and patient mortality is high.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s a predictor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rdiovascular events, which are the main cause of death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ay be preventable by addressing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lipid profiles, and apolipoprotein levels. Methods: We calculated the coronary calcium scores (CCS) of 254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113 males, 141 females) via multi-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MDCT). Height, body weight, blood pressure, HbA1c, c-peptide, lipid profile and apolipoprotein were assessed concurrently. Resul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gatston score and apolipoprotein A-1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in both males and females (males P=0.015, females P=0.021).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atston score and apolipoprotein A-1 was retained for the entire patient sample after adjustments for age and sex (P=0.022).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ylses with the Agatston score as the dependent variable indicate that apolipoprotein A-1 is a independent predictor (β coefficient=-0.047, 95%CI=-0.072~-0.021, P<0.001)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apolipoprotein A-1 is a useful independent indicator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Korean Diabetes J 33:485-493, 2009)

      • SCOPUSKCI등재

        폐경 후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대퇴골 골밀도와 혈중 렙틴 농도와의 연관성

        전재한 ( Jae Han Jeon ),최연경 ( Yeun Kyung Choi ),서현애 ( Hyun Ae Seo ),이정은 ( Jung Eun Lee ),정지윤 ( Ji Yun Jeong ),문성수 ( Seong Su Moon ),이주영 ( Ju Young Lee ),김정국 ( Jung Guk Kim ),김보완 ( Bo Wan Kim ),이인규 ( In K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5

        연구배경: 인체에서 렙틴 농도와 골밀도는 체지방량과 양의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져 있다. 반면, 렙틴과 골밀도 사이의 관계는 특히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그 결과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다. 이에, 폐경 후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렙틴과 골밀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제2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은 60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DXA를 이용하여 요추(L1-L4)와 대퇴 근위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당화혈색소, 렙틴, 일회뇨에서의 알부민-크레아티닌 비(ACR)을 측정하였다. 결과: 나이와 체지방량 및 공복 인슐린 농도로 보정한 편상관 분석에서 혈중 렙틴 농도는 대퇴 경부(r=-0.308, P=0.020) 대퇴 전자(r=-0.303, P=0.025) 및 총 대퇴골(r=-0.290, P=0.032)의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 선형 분석에서도 대퇴골의 각 부위는 혈중 렙틴 농도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폐경 후 제2형 당뇨병 여성에서 대퇴골 골밀도가 혈중 렙틴 농도와 음의 상관성을 보일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들을 보이고 있어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Serum leptin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are widely assum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dy fat mass.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oc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BMD, but the results are inconsistent,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Methods: A total of 60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included in the present study. The BMDs of lumbar spines (L1 to L4) and proximal femurs (trochanter, neck, and total) were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XA), and biochemical markers including leptin, HbA1c, C-peptide and urine albumin-creatinine ratio (ACR) were measured for each patient. Results: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leptin and BMD of femoral neck, trochanter, and total femur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documented in a model adjusted for age, body fat mass, and fasting insulin level (r=-0.308, P=0.020 and r=-0.303, P=0.025 and r=-0.290, P=0.032 respectivel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vealing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leptin and BMD of the femoral neck (β=-0.369), trochanter (β=-0.324), and total femur (β=-0.31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femoral BMD. In addition, leptin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BMD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33:421-431, 2009)

      • KCI등재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와 관상동맥 석회화와의 관련성

        이주영 ( Ju Young Lee ),최연경 ( Yeon Kyung Choi ),서현애 ( Hyun Ae Seo ),전재한 ( Jae Han Jeon ),이정은 ( Jung Eun Lee ),문성수 ( Seong Su Moon ),김정국 ( Jung Guk Kim ),김보완 ( Bo Wan Kim ),이인규 ( In Kyu Lee ) 대한당뇨병학회 200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3 No.4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환자에게 주된 사망원인인 관상동맥질환에서 죽상경화증의 진행은 칼슘 축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관상동맥 전산화 단층촬영술을 통해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미세알부민뇨는 심혈관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제2형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미세알부민뇨와 관상동맥 석회화 정도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다중박편 나선형 전산화 단층촬영술을 시행한 제2형 당뇨병환자 155명을 대상으로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에 따른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및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외에 나이, 당뇨병 유병기간, Apo A1, Log hs-CRP가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령을 보정한 뒤에도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는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결론: 요 알부민 크레아티닌 비는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관상동맥 석회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심혈관질환의 고위험군 환자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혈중 석회화 관련 수치의 발굴 및 혈관합병증의 공통된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Background: Atherosclerosi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in type 2 diabetic patients, is closely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calcium deposition. The coronary calcifications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coronary calcium scoring computed tomography (CT). And microalbuminuria is known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So,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urinary albumin to creatinine ratio (UACR) and coronary calcification score (CC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Among type 2 diabetic patients who underwent the multidetector CT scanning for the evaluation of CC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December 2007 and May 2008, 155 subjects were included. CCS, demographic and laboratory data were assessed. Results: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s were identified in 90 patients (51%) and mean, median CCS was 205.8±476.9, 8.74 (0, 132.0). 60 subjects revealed UACR greater than 30 ug/mg. With the UACR increment, CCS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P<0.001). Age, duration of diabetes, serum Apo A1 level, serum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 were also associated with CCS. However, after adjusting for age, UACR and CC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P=0.002). Conclusion: Increased UACR is associated with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early evaluating the presence of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these patients. (Korean Diabetes J 33:289-298, 2009)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