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퇴골, 경골, 비골의 영양구멍에 대한 계측학적 연구

        이혜연(LEE Hye Yeon),김현숙(KIM Hyun Sook),서진석(SUH Jin Seok),정인혁(CHUNG IN Hyu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7 No.1

        간추림 부러진 뼈의 복구나 혈관을 동반한 뼈이식을 시행할 때 그 뼈에 영양을 공급하는 동액의 국소해부학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인의 다리뼈에서 영양동액이 뼈로 들어가는 영양 구멍에 대한 계측적 자료를 세우기 위하여 성안의 대퇴골 경골 비골 각 l00개를 대상으로 영양구맹의 수와 열린 방향을 조사하고 그 위지를 계측한 후 지수를 산출하였다 대퇴골의 영양구멍은 두개인 것이 53%였으며 양쪽 구맹 수가 동일한 표본이 57.1%였다. 이 구멍은 대부분 (973%) 위쪽(근위쪽)을 향해 열려 있었다. 대퇴골의 영양구맹은 거친선의 내측선에 있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양쪽의 위지는 서로 달랐다. 이 구명의 위지지수는 평균 46.4 土 10.7 이었다 경골의 영양구명은 대부분야 한개였으며 (91%) 모두 아래쪽을 향해 열려 있었다. 영양구병은 경골 수칙능선의 외측에 있는 것이 가창 많았으며 (743%) 양쪽의 위치는 서로 달랐다. 이 구맹의 위지지수는 평균 33.4 ± 47 이었다 비골의 영양구맹은 대부분이 한개였으며 (81%) 88.0% 가 아래쪽 (원위쪽)을 향해 열려 있었다. 영양구명의 위치는 비골의 뒷면에 있는 것이 가창 많았으며 향해 그 위지지수는 평균 47.9土 11.3이었다 대퇴골 영양구맹은 지름이 0.5mm 에서 10mm 미만인 것이 가장 많았고 (46.6%) 경골 영양구맹은 지름이 10mm 에서 15mm 미만인 것이 가창 많았으며 (53.2%) 비골 영양구명은 지름이 0.5mm 에서 10mn 이하인 것이 가장 많았다. (54.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