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鄭斗源의 『朝天記地圖』에 나타난 대외인식 고찰

        서지원(Suh, Ji Wo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5 한국문학과 예술 Vol.17 No.-

        이글은 정두원의 사행기록인 『조천기지도』를중심으로 대외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정두원은 외직을 거쳐 1630년에 진위사 정사의 임무를 띠고 북경을 다녀왔다. 당시정두원의 기록은 이전 사신들이 진단한 북경의 상황과 상반되는 입장을 취하였는데, 이는 혼란스러웠을 명의 정치적 상황에 주목하기보다는 중화로서의 명의 제도나 실용적인 문물들에 대한 관심을 부각시키기 위한 목적 때문이었다. 정두원이 육로 노정에서 주목하여 관찰한 것은 중화의 상징과 제도 등이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문과 합격생에게 세워준 파문(欛門)이다. 그리고 청렴한 관리에 대한고사, 과거시험관이 인재를 선발할 때의 하늘에 대한 맹세문과 목민관 선발 과정에서의 공정함 등이다. 특히 과거시험관과 목민관에 대한 사례들은 당시 명의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조선의 과거제도와 목민관 선발에 있어서의 여러 폐단들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반면, 등주에서는 장례 현장을 목도하고, ‘주자가례’에 입각하여 명의 무너진 상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정두원은 사행 임무 외에도 민생을 위한 실생활의 정보와 국방력 강화를 위한 정보 수집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중국인의 의식주와 관련된 정보에서부터 국방력 향상에 필요한 선진적인 성곽제도나 문물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정보들은 실용주의적 성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난다는데 의미가 있다. 정두원은 조선 지식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중화밖의 지식인과 문명세계를 만났고, 이방의 문물을 도입하는 모험을 단행하였다. 이는 개인의 호기심 차원을 넘어 우국지정의 적극적인 실천인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Jeong Duwon’s foreign perception centering on his record of travel as an envoy 『JocheongiJido』. After taking several local government positions, Jeong Duwon visited Beijing having a mission of Jinwisa Jeongsa in 1630. On the basis of the records he left at that time, he took conflicting viewpoints from previous envoys’ diagnosis of Beijing. That was because of the purpose of his writing to criticize and make suggestions later by emphasizing his interest in Ming’s systems or practical civilizations as Sinocentralism rather than paying attention to Ming’s confused political situations. What Jeong Duwon observed mainly during his land travel route was symbols, systems and etc. of Sinocentralism. The most prominent thing is Pamun(欛門) that was established for successful candidates in liberal art fields. And there are also stories about upright officials, oath of examiners toward the sky when selecting competent persons, fairnes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Mokmingwan (governors), and etc. In particular, examples of examiners and governors were presented to point out and criticize several evils i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and selection of governors of Joseon and suggest countermeasures for them rather than to refect practical situations of Joseon in those days. On the contrary, in Deungju(登州), he saw funeral scenes and showed critical viewpoint about funeral rites that were out of courtesy on the basis of ‘Confucian ritualism’. In addition to his mission as an envoy, Jeong Duwon also showed great interest in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real life for people"s livelihood and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As specific examples, there are information related to Chines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interest in advanced castle system or civilization that is required for enhancing national defense. Such information can be said as interest based on pragmatism and is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it is expressed with specific behaviors. Jeong Duwon met Western intellectuals in space outside of Sinocentralism as the first intellectual of Joseon. And he executed adventure of introducing alien civilization therefrom. Such decision was active practice of patriotism surpassing personal curios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양가>에 나타난 歷史意識고찰 -高宗朝를 중심으로-

        서지원 ( Ji Won Suh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이 글은 고종 조를 중심으로 <한양가>에 나타난 話者의 역사의식을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왕조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읊은 <한양가>에는 國初부터 전 시기에 걸쳐서 성리학에 입각한 儒家的질서의식이 堅持되어 나타난다. 하지만 왕조 말기인 고종 조에 이르러 이러한 의식에 균열이 일어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 시기는 대원군과 명성황후의 勢道로 인한 대립뿐만이 아니라, 외세의 침입과 간섭에 적절하게 대처할 외교적 안목과 대안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화자는 왕실의 권력다툼이 反儒家的정치 行步로 나타났고, 이 때문에 亡國에 이르렀다는 책임론을 들어 강하게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화자가 이와 같이 비판한 근거는 『大學』의 八條目가운데 ‘修身’ㆍ‘齊家’ㆍ‘治國’ㆍ‘平天下’에 있다고 본다. 즉 ‘平天下’를 위해서는 治國이 잘 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고종 조에는 왕실에서부터 이러한 질서에 균열이 일어났고, ‘齊家’는 물론 ‘治國’에 이르지 못하고 오히려 나라를 잃게 되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author`s historical consciousnes in Hanyang`ga focussing on the times of Gojong. Hanyang`ga sings of the history of Chosun Dynasty and the sense of public order centering on the confucian view from the Sung confucianism. However, this consciousness started to break at the times of Gojong, the late Chosun Dynasty. As we know, at that period, Chosun Dynasty was lack of diplomatic skills and strategies to confront with the conflict between Daewongun and Myung Sung Queen or the invasion and intervention of other countries. Nevertheless, the author explains that the conflict of the powers in the royal family appeared in a political way of anti-confucianism and in the end this fact ruined the Dynasty. The bases of this assertion could be ``moderation of oneself``, ``controlling one`s home``, ``ruling one`s nation`` and ``peace for the whole world`` of the 8 principles in Deahak. As it is, for the peace of whole world, ruling the nation should go ahead. But at the times of Gojong, this order was broken from the royal family and got to lose their country in the end.

      • KCI등재

        연구논문 : 민간 기념물과 논쟁적 기억: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지원 ( Ji-won Suh ) 한국동남아학회 2015 동남아시아연구 Vol.25 No.3

        민주화 이후 인도네시아에 건립된 민간(unofficial, 비공식) 기념물에 관한 이 연구는 민간 기념물이 촉발할 수 있는 정치적 논쟁 또는 그 부재, 민간 기념물이 제시할 수 있는 대안적 가치 등을 살펴봄으로써 민간 기념물의 위상 및 관 주도 기념물과의 관계 설정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는 2009년 자카르타에 건립된 ‘1998년 5월 바늘 기념비’, 2013년 족자카르타 반툴에 건립된 수하르토 기념관, 2013년 동부자바 바투에서 문을 연 ‘무니르의 집’ 등 3건의 민간 기념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가가 과거의 고통을 외면하는 가운데 민간이 건립한 기념물에는 망각에 저항하면서 과거의 기억에 대한 사회적 논쟁을 생산·재생산하려는 대안적 의도가 있으며, 이러한 논쟁은 정치적 변화에 따라 설립자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갈 수도 있다. 그러나 민간이 건립하여 관리하는 기념물이라는 특성 때문에 이와 같은 논쟁적 기억을 촉발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기념물의 의도가 정치적으로 망각되거나 편향된 진실만을 옹호하는 정치적 양극화의 도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민간 기념물이 공식 기념사업을 이끌어내는 단초가 되어 공공성 획득에 성공할 경우 어느 정도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hed light on unofficial memorials - monuments and museums - and their relations with official memorials, focusing especially on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debates (or none) to be facilitated by such memorials and alternative meanings created by them. The three case studies from post-reformasi Indonesia are on 1) Prasasti Jarum Mei 1998 (May 1998 needle monument), built in Jakarta in 2009, 2) Museum Soeharto, built in Bantul, Yogyakarta in 2013, and 3) Omah Munir (Munir House), built in Batu, East Java in 2013. Where the state fails to engage the past, non-state actors build monuments and museums to resist forgetting, as well as to produce and reproduce social debates on the memories of the past, which may take unintended courses as the political circumstances change. However, it is not always the case that contentious memories - an indicator of healthy democracy - follow such memorialization initiatives, not least because they are built and managed by non-state actors with limited resources. Rather, the political meanings of such initiatives are often marginalized and forgotten; what is worse, they can be used as tools of political polarization, only supporting unbiased, partisan ‘truths.’ Such courses are likely to be avoided when unofficial initiatives eventually become successful with facilitating official memorialization projects and raising public concerns over the past.

      • KCI등재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 국가지질공원의 경관자원 개발

        서지원 ( Suh Ji Won ),성효현 ( Sung Hyo Hyun ) 한국지형학회 2016 한국지형학회지 Vol.23 No.4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new landscape resourc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12 geosites and to propose new geosites for the Busan national geopark. Three types of spatial database were developed: landscape resource database of Busan national geopark,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 database proposed by expert group, and database of Google Panoramio geo-tagged photos. From the results of overlay analysis on these three database, 41 new landscape resources were extracted in seven geosites, which are Nakdonggang estuary, Morundae, Songdo peninsula, Taejongdae, Geumjeongsan, Orbicular Gabbro, and Baegyangsan. In addition, through the kernel density analysis of the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database and Google Panoramio geo-tagged photos, seven new geosites of Busan national geopark can be proposed, which are southern part of the Gadeokdo, eastern part of the Gadeokdo, Jeoryeong coast, Baegunsan, Samgaksan, Haeundae, and Gijang co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