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위 대퇴골 내반 절골술

        서이락(Yi Rak Seo),나경욱(Kyung Wook Nha),하성식(Sung Sik Ha)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4

        원외 대퇴골 내반 절골술은 관절을 보존하면서 외측 구획의 체중 부하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외측 구획의 퇴행성 관절염과 외반슬이 동반된 경우 슬관절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염의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수술이다. 수술 시에는 환자의 나이와 체중 부하선의 측정 및 관절염의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위 대퇴골 내반 절골술의 적응증은 슬관절의 내측 구획과 대퇴 슬개 관절이 정상인 65세 이하의 환자, 외반 변형과 함께 외측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경우, 젊은 환자에서 외측 이단성 골연골염이 있는 경우, 선천성 외반슬인 경우, 외반슬이 있으면서 슬개골의 반복적인 탈구가 있는 경우이다. 수술의 금기증은 Kellgren-Lawrence classification 4단계 이상의 퇴행성 관절염이 있거나 염증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인 경우, 슬관절 내측의 관절염이 있는 경우, 굴곡 구축이 15°이상인 경우이다. 원위 대퇴골 내반 절골술을 통하여 빠른 통증 감소와 짧은 재활이 가능하며 젊고 활동적인 환자, 슬관절에 많은 하중에 가해지는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 closing wedge distal femoral osteotomy is a procedure to reduce pain and delay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arthritis of knee by moving the weight bearing line from the lateral compartment to the medial side while preserving the knee joint. Age, weight bearing line, and the degree of arthritis are the essential factors to be considered at the time of surgery. The indications for distal femoral osteotomy are as follows. All patients are aged less than 65 years old, normal medial compartment of the knee with normal patello femoral joint, valgus deformity with lateral degenerative arthritis, younger patients with lateral osteochondritis, congenital osteochondrosis, and recurrent patellar dislocation with genu valgum. The distal femoral osteotomy provides the advantages of rapid pain reduction and short rehabilitation in young and active patients and patients who are subjected to heavy loads on the knee.

      • KCI등재

        분절성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 증례 보고 -

        하성식 ( Sung-sik Ha ),홍기도 ( Ki-do Hong ),심재천 ( Jae-cheon Sim ),서이락 ( Yi-rak Seo ),남태석 ( Tae-seok Nam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3

        분절성 쇄골 골절은 매우 드물며, 그 치료 방법에 대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다. 분절성 쇄골 골절을 가진 환자에서 각각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예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예를 통해 좋은 결과를 얻었던 2예를 보고자 한다. 또한 문헌 고찰을 통해 유사한 경우의 치료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Segmental fractures of the clavicle are very rare. Therefore, to date, there has not been a clear, standardized method of management of segmental clavicle fractures. Herein, two patients with a segmental fracture are described: One patient was treated conservatively, while another patient was treated operatively. Both patients showed excellent results. We discuss the various management options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외상 없는 젊은 환자에서 반월상 연골의 돌출

        심재천(Jae-Cheon Sim),전종현(Jong-Hyun Jeon),서이락(Yi-Rak Seo),박대원(Dae-Won Park),남태석(Tae-Seok Na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외상력이 없는 젊은 남자의 무릎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정상적인 반월상 연골의 크기, 돌출의 정도, 동반 변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을 제외한 타 부위의 동통을 주소로 정형외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연구 당시 슬관절 부위의 동통을 호소하지 않고, 슬관절 외상력이 없는 젊은 77명(91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21.6±1.1세(19-24세)였으며, 1.5Tesla magnetic resonance unit (Magneton Symphony; Siemens, Erlangen, Germany)을 이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반월상 연골의 크기, 돌출, 돌출률, 동반 변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관상면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평균 크기는 9.0±1.1 mm (7.1-11.9 mm), 돌출의 정도는 2.0±1.0 mm (0-4.4 mm), 반월상 연골 돌출률(돌출 크기/전체 크기×100)은 22.7%±11.5% (0%-53.7%)였다. 내측 반월상 연골의 돌출은 관상면과 시상면에서 각각 92.3%, 80.2%에서 관찰되었다. 관상면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의 평균 크기는 11.1±3.4 mm (7.3-22.9 mm), 돌출의 정도는 0.5±0.7 mm (0-2.5 mm), 반월상 연골 돌출률은 4.0%±6.7% (0%-26.3%)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의 돌출은 관상면에서 34.1%에서 관찰되며, 시상면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외상 없는 젊은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반월상 연골의 돌출은 흔히 관찰되며, 외측보다 내측에서 더 흔하게 관찰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ize and extrusion of the meniscus in young and non-traumatic knees, especially in Korean males. Materials and Methods: The participants (n=91 knees, 77 patients) were consecutive patients observed at an orthopedic outpatient clinic who had another problem unrelated to the knee joint. The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if they had a history of trauma and pain on the knee joint. The patients receive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 on the knee joint. The size, extrusion, and extrusion ratio of the meniscus on an MRI scan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21.6±1.1 years (range, 19-24 years). The mean size of the medial meniscus on the coronal plane was 9.0±1.1 mm (range, 7.1-11.9 mm). The extent of extrusion on the coronal plane was 2.0±1.0 mm (range, 0-4.4 mm). The extrusion ratio (extruded size/total size×100) of the medial meniscus on the coronal plane was 22.7%±11.5% (range, 0%-53.7%). The extent of extrusion on the sagittal plane was 1.6±1.1 mm (range, 0-4.0 mm). The extrusion ratio (extruded size/total×100) of the medial meniscus on the sagittal plane was 18.0%±11.9% (range, 0%-40.7%). The incidence of medial meniscal extrusion on the coronal and sagittal plane are 92.3% and 80.2%, respectively. The mean size of lateral meniscus on the coronal plane was 11.1±3.4 mm (range, 7.3- 22.9 mm). The extent of extrusion on the sagittal plane was 0.5±0.7 mm (range, 0-2.5 mm). The extrusion ratio of the lateral meniscus on the sagittal plane was 4.0%±6.7% (range, 0%-26.3%). The incidence of lateral meniscal extrusion on the coronal plane was 34.1%. No extrusion of the lateral meniscus was observed on the sagittal plane. Conclusion: In young and non-traumatic knees, the extrusion of meniscus was common, especially medial meniscus than lateral meniscus.

      • KCI등재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한 경피적 골수강내 금속핀 고정 수술법과 결과 보고

        하성식(Sung Sik Ha),심재천(Jae Chun Sim),성민철(Min Chul Sung),전종현(Jong Hyun Jeon),서이락(Yi Rak Se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1

        목적: 쇄골 간부 골절에서 경피적 골수강내 금속핀 고정술을 시행 후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쇄골 간부 골절로 내원한 환자 중 2004년 1월부터 2014년 6월까지 경피적 골수강내 금속핀 고정술을 시행한 13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개월(12-24개월)이었다. 기능적 평가로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와 Constant score, 임상적 평가로 쇄골의 단축, 수술 반흔의 길이, 수술 시간 및 Kang’s criteria에 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적 골유합 기간은 평균 11.6주(8-16주), DASH score는 평균 11.8점, Constant score는 평균 91.2점이었다. 임상적 결과로 쇄골의 단축은 평균 20 mm 이하였으며, 수술 반흔의 길이는 평균 1.2 cm (0.7-1.5 cm), 수술 시간은 평균 18분(10-35분)이었으며 Kang’s criteria를 기준으로 한 임상적 치료 결과는 우수 이상이 총 131예(97.0%)로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3예의 핀 전이, 그 중 2예에서 불유합이 관찰되었다. 결론: 쇄골 간부 골절에서 시도한 경피적 골수강내 금속핀 고정술은 유용한 수술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the clinical results from surgical treatment for clavicle shaft fracture by percutaneous intramedullary fixation with Steinmann pin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June 2014, the medical records of 135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intramedullary fixation with Steinmann pins were reviewed. The mean follow-up periods were 15 month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nd Constant score.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the shortened length of the clavicle, length of surgical wound, operation time and Kang’s criteria. Results: The mean bone union period was 11.6 weeks (8–16 weeks). The mean DASH score was 11.8. The mean Constant score was 91.2. The mean shortened length of the clavicle was less than 20 mm. The mean length of surgical wound was 1.2 cm (0.7–1.5 cm).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8 minutes (10–35 minutes). Using Kang’s criteria, 131 out of 135 patients (97.0%) showed good results. Complications included were 3 pin migrations and 2 non-unions. Conclusion: Percutaneous intramedullary fixation with Steinmann pins showed good results for treating clavicle shaft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