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퓰리즘은 반(反)민주적인가? 라클라우(E. Laclau)의 구성주의적 포퓰리즘 이론과 민주적 혁신

        서유경 ( Suh You-kyung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최근 한국 정치학계를 뜨겁게 달군 두 가지 연구 주제는 단연 ‘민주적 혁신’과 ‘포퓰리즘’이다. 양 주제의 연구자들에 의해 자주 언급되지만 아직 제대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주제가 바로 후기구조주의적 구성주의 정치이론가인 E. 라클라우의 독창적인 포퓰리즘 접근 방식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주적 혁신과 포퓰리즘의 연계성을 탐색하는 것으로 출발하여 포퓰리즘의 정체성과 ‘텅 빈 기표’의 은유를 설명하고 이어서 라클라우의 구성주의적 포퓰리즘 이론을 검토한다. 라클라우에게 포퓰리즘은 ‘인민’의 구성양식이며, 포퓰리스트 이성은 ‘인민’의 구성원리로 각각 정의된다. 글의 결론에서는 앞선 논의 사항들과 최근의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경험에 근거해 작금의 민주적 혁신 기제들은 라클라우식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제도정치 속으로 포섭함으로써 ‘숙의적’ 포퓰리즘의 등장을 지원한다고 주장한다. Of late, ‘democratic innovations’ and ‘populism’ have been two research themes hotly debated among the S. Korean political scientists. Ernesto Laclau, a post-structural constructivist political theorist has hardly failed to be mentioned by them even though not a single research has yet been carried out on his exceptional approach to populism. Hence, this paper tries to do it by tapping on the possible connection between democratic innovations and populism, discussing the identity of populism as a political concept and the metaphor of the ‘empty signifier’, and then examining Laclau’s constructivist theory of populism. For Laclau, populism is defined as the way of constructing ‘a people’ and the populist reason as a logic of constructing a people,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is, on the bases of both those prior discussions and our recent experience of the public deliberation regarding the Shin-Kori 5 & 6 Neclear Power Plants, argued that democratic innovations appear to lend support to the emergence of ‘deliberative’ populism by bringing Laclauvian constuctivist approaches into the institutionalized politics today.

      • KCI등재

        5·18 민중항쟁과 시민 주도적 자치공동체

        서유경(Suh You-Kyung) 21세기정치학회 2014 21세기 정치학회보 Vol.24 No.3

        Today, it has been almost 35 years since the 5·18 Democratic Uprising took place in 1980 and many of the countrymen including myself still live feeling fundamentally indebted to those democracy defenders who selflessly sacrificed their lives onto the altar of the Korea’s democracy. In this regard, I propose to take this rare occasion to reflect upon the politico-philosophical aspects of the 5·18 incident from the theoretical standpoint of Hannah Arendt, one of the most original political philosophers in the 20th century. My main argumen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the “absolute community,” which is Prof. Choi Jeong Wun’s intuitive concept category, can be adequately explained by the vocabulary of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nd/or theory regardless of his denial of such a possibility. In my view, the political philosophy and theory of Hannah Arendt appears to posit a fresh possibility of opening up a newer and richer discourse of the 5·18 Democratic Uprising; secondly, in retrospect, the May 1980 Gwangju could be considered as the very spot where the political moment or “the Arendtian moment” or a fleeting possibility of aesthetic transcendence has come to realization in our subconsciousness; and, lastly, explaining the 5·18 absolute community in terms of some Western political theory may help render its spirit incorporated into the entire world history of democratic movement as well as the history of humankind. In so doing, however, we can undoubtedly pay a meaningful tribute to the noble sacrifices of Gwangju citizens in the cause of our country’s democrac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버틀러(J. Butler)의 "수행성 정치" 이론의 정치학적 공헌과 한계

        서유경 ( You Kyung Suh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9 No.2

        이 글의 목적은 쥬디스 버틀러의 ``수행성 정치(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이론이 우리의 민주주의 정치 및 그것을 탐구하는 정치학에 기여하는 바와 그것의 이론적 한계를 밝히는 것이다. 문화적 구성주의, 비주권적 언어행위와 언어주체, 그리고 언어의 행위대리와 수행성이라는 세 가지 이론적 전제를 가지고 있는 그녀의 수행성 정치 이론은 성적 소수자뿐 아니라 모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치이론, 즉 ``정체성의 정치`` 혹은 ``차이의 정치``의 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후자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녀는 기존의 젠더구조에 입각한 규범 및 관행들이 사회 내 성적 소수자들에게 인간다운 삶을 향유하기 어렵게 하는 제 조건들을 부과한다는 비판적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는데, 이것은 그녀로 하여금 ``우리가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인 문제를 탐구하도록 이끌었다. 수행성 정치이론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이론적 기획의 일환이었다. 성격상 버틀러의 이론은 차이의 정치학 패러다임으로서 문화적 소수자 집단이 보편적 인권의 이름으로 자신들의 시민적·정치적 권리를 정당하게 요구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요즘처럼 다문화주의적 정치풍토에서 그것의 이론적 유용성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나아가 그것은 문화적 소수자 집단이 기존의 담론체계에 가담하는 논쟁적 민주주의 즉 그녀의 용어상 "급진적 민주주의"의 정치적 이상을 제시하는데, 이는 정치이론적 차원에서 참여민주주의 논의의 외연 확장을 의미한다. 그러나 버틀러의 수행성 정치가 표면상 강력한 정치적 실천성을 담보하는 이론으로 보일지라도 그녀가 수행성이라는 추상적 개념범주에 과도하게 실천적 희망을 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정치이론적 약점으로 지적된다. 이는 버틀러의 이론이 인정투쟁 양상에 집중함으로써 부의 재분배를 둘러싼 보다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갈등양상과 타협적 해결방식의 정치적 효과를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버틀러의 수행성 정치이론의 과제는 그것의 실천적 지향과 달리 하나의 규범이론으로서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Judith Butler`s theory called ``the politics of the performativity.`` In my view her theory based on her three theoretical premises, that is cultural constructivism, non-sovereign speech-act and linguistic subject, and linguistic agency and performativity can be categorized into a political theory either of politics of recognition or of difference, taking sides with the sexually marginalized, socially disadvantaged, and/or excluded. Yet it is argued in this paper that it appears to be the latter. Butler`s basic problematic is that social norms, conventions, and practices impose a set of conditions that deny social minorities a livable life. In this connection she asked ``What should we do to enable them to have a livable life and how?`` and her theory of performativity precisely is an answer to the question. As a politics of difference paradigm her theory not only offers much support to the current multicultural social practices, bu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to those cultural minorities who rightfully demand fuller civil and political rights under the cover of universal human rights claims. Butler claims that her theory is meant to bring an ideal of "radical democracy" embracing all cultural contentions into reality. From my point of view, however, her most valued contribution is extension of our understanding of participatory democracy in both theory and practice. Nevertheless her theory is not without limitations. It is widely criticized that unlike her theory displaying a level of strong practicality at least ostensibly, it is in fact a normative theory which usually misses out a link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or one thing, she has invested too much hope in her pivotal but abstract concept, performativity, which is assumed to have no definite and identifiable subject in action.

      • KCI등재

        아렌트 정치-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레비나스 ‘타자(the Other)’ 개념의 문제

        서유경(SUH You-Ky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7 정치사상연구 Vol.13 No.1

        본고는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1975)와 엠마뉴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1906~1995)의 윤리학적 시각을 비교론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평가하려는 목적에서 집필한 논문이다. 아렌트와 레비나스는 인간 삶에 있어 ‘타자(the Other)’의 문제, 즉 인간의 윤리 문제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그들은 타자 개념에 대한 이해와 접근방식에 있어 상당한 차이점을 노정한다. 필자는 이 점에 주목하여 그들이 각자 이해한 ‘타자’ 개념을 비교ㆍ평가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레비나스의 철학적 윤리학과 아렌트의 정치적 윤리학의 차이를 밝혀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본고는 아렌트의 정치적 평등의 윤리학 관점에서 레비나스의 철학적 타자 윤리학의 한계를 세 가지-1. ‘타자’ 개념의 전제성, 2. 비정치적인 일방적 소통의 내재적 한계, 3. 타자윤리학의 도덕주의(Moralism) -로 요약ㆍ제시하고, 모든 인간 공동체의 사실적 진리로서 존재하는 인간 다수성(human plurality)이 구성하는 평등의 조건을 간과하기 때문에 이론적인 약점을 지니게 되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and assess the ethical point of view of both Hannah Arendt (1906-1995) and Emmanuel Levinas (1906-1995)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oth philosophers have a research objective in common, that is, their special interest in the concept of the Other or the problem of human ethics. On the other hand, their approaches differ dramatically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handling the concept of the Other. With these in mind, I take a step further to illuminate the actual differences between Levinas's philosophical ethics and Atendt's political ethics. Having done the comparison work, I conclude that Levinas's ethical theory tends to have the following 3 theoretical problems -1. the tyranny of 'the Other' in his theoretical framework 2. the limited nature of the one-sided communication between the Other and me(us), and 3. the moralism of Levinas's ethics of the Other, and they appear to constitute a theoretical weakness vis-a-vis Arendt's ethics of political equality, which is based on her concept of human plurality.

      • 다목적실용위성 3A호 Side-Slither 영상을 활용한 SNR 측정 알고리즘 개선

        서유경(Seo, You-Kyung),이동한(Lee, Dong-Han),최석원(Choi, Seok-Weon),진경욱(Jin, Kyong Wook),유대훈(Yoo, Dae-Hoon),정재헌(Jung, Jae-Heon),서두천(Seo, Doo-Chun)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3A호 Side-Slither 영상 내에서 균일한 영역 탐지를 통하여 추출된 최적의 샘플을 이용하여 신호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측정한다. DN 별 Local SNR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영상의 SNR 및 KOMPSAT-3A SNR 결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Side-slither 영상을 통하여 얻은 SNR 결정계수는 향후 일반촬영 모드 영상 SNR 측정 결과에 대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 한국 NGO의 정치적 역할 재규정

        서유경 ( You Kyung Suh ) 대한정치학회 2009 大韓政治學會報 Vol.16 No.3

        지금 한국의 시민운동과 시민단체가 기로에 서 있다. 지난 십 년 사이 우리 사회 내에서 시민운동과 시민단체에 대한 비판의 수위가 조금씩 높아져 왔다. 2001년 이후 NGO에 대한 신뢰도도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를 예의주시해 온 관련 전문가와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한국의 NGO와 시민운동이 지금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고 걱정한다.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이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두 가지다. 첫째, NGO는 국내정치 차원에서 공익을 다루는 이익집단, 즉 ``공익적 이익집단(public interest group)``의 자격으로서 다른 이익집단들과 마찬가지로 국가 내 정치과정에 선택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한다. 요컨대 ``정체성 정치``의 주체로서 NGO의 정치적 역할을 기대하게 된다. 다음으로, NGO는 지구시민사회 차원에서 가장 환영받는 비국가적 행위자로서 지구적 정치의제를 설정하고 실행에 옮기는 중요한 국제정치적 역할의 담지자다. 특히 글로벌 거버넌스 시대를 맞아 한국 NGO는 이제 지구촌으로 눈을 돌려 지구시민으로서의 정치적 역할을 담당해야 할 때다. There has increasingly been more criticism concerning the civic movement and civic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during the past decade. Proving this, the rating of credibility held by Korean citizens concerning Korean NGOs has gone down year by year. The reasons for it are specified to be (1) the civic movements without citizens, (2) the political biases upheld by the civic organizations, and (3) their power-mongering attitudes. Against this chilled atmosphere for the civic organizations, not only experts on the civic movements but the related activists of nationwide civic organizations tend to talk more directly about a crisis for the Korean NGOs and their present political roles in specific. Hence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how this crisis situation has brought about and if there is any plausible solutions to overcome it. And I conclude that the Korean NGOs will still be crucial to actualizing the constitutive democracy of South Korea in both domestic and global levels, but in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e old one in this era of global governa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NGO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탐색과 제언

        서유경(You-Kyung Suh) 한국NGO학회 2014 NGO연구 Vol.9 No.1

        지난 10여년 사이 NGO학을 둘러싼 주변 환경이 눈에 띄게 나빠졌다. 우리는 다음 두 가지 질문을 해 봐야 한다. 첫째, 한국의 성공적인 민주화 운동과 급격한 시민사회의 성장이라는 현대정치사적 특수성에서 발원한 ‘NGO학’의 한국적 유용성이 완전히 소진되었는가? 둘째, 한국의 ‘NGO학’이 한국적 특수성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학문적 보편성을 담보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는가? 이 글은 한국에서 NGO학의 유용성은 소진된 것이 아니라 2세대 시민 운동의 동력을 창출해야 할 변화의 시점에 있으며, 이제 NGO학은 그것의 형식과 내용을 재정비하여 보편적 학문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침 해외 유수한 대학들도 우리의 NGO학과 유사한 성격과 지향성을 보이는 다분과적 전공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시대적 요구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현재 제안 단계에 있는 가칭 ‘한국 NGO학-NGO섹터 협의체’의 창설과 그것의 본격적인 활동에 앞서 진지하게 검토해야 할 핵심문제로서 현재 한국의 NGO학과와 연계전공들이 설치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개선에 대한 실천적 방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NGO Studies has noticeably decreased in our society. As a result, some of its departments have changed their names into something else or merged with other departments not to mention the total abolishment of its departments. Those who still maintain their names are pondering on their next moves. At this juncture, the following two important questions need to be asked: first, has the usefulness of the NGO Studies grown out of the successful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rapid growth of civil society of S. Korea as well as its nuanced political history of late totally exhausted?; and, second, is there any possibility for the Korean NGO Studies to acquire an overarching academic universality beyond the Korean soil? The strong argument in this paper is that the usefulness of the NGO Studies has not exhausted but arrived at a turning point when it must create strength required for the 2nd civic movement by reshaping its forms and contents. In this connection, it is worth taking into account that many overseas universities are presently responding to the timely demands of the would-be students by providing various interdisciplinary curricula akin to the Korean NGO Studie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In conclusion, I propose that we create ‘The Korean Consortium for the NGO Studies-NGO Sector’ to take up the mission of making the curricula more sensitive to the current changes in demand for the NGO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