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 인식을 둘러싼 담론 투쟁

        서영표(Seo, Youngpyo)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2

        기후변화는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절체절명의 위기이다. 기후학자들은 많은 연구들을 통해 시급하고 근본적인 대응이 없다면 파국에 이를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위기는 점점 예측하기 힘든 기후패턴과 기후재난을 통해 일상에서도 체험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완화하려는 대응은 지지부진하다. 생태적 위기에 대한 공포에 조응하는 대책이 마련되고 있지 못하다. 이 논문의 주제는 사회 전반에 퍼져 있는 기후변화에 대한 두려움과는 달리 미적지근한 상태에 있는 기후변화 대응의 원인을 진단하는 것이다. 진단의 방식은 기후변화를 둘러싼 담론 지형을 해부하는 것이다. 현재의 기후변화 대응은 협소하게 정의된 과학주의적 태도, 경제학적 논리, 기술적 조정, 전문가주의의 담론에 갇혀 있다는 주장으로부터 위기를 새로운 자본축적의 기회로 삼으려는 태도만이 실현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는 과정을 분석할 것이다. 기후변화 회의론을 구성적 외부로 삼아 스스로를 정당화하고, 기후 파국론을 비합리적인 태도로 몰아감으로써 스스로의 입장을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제시하는 자본주의 녹색화 전략이 가지는 한계를 논파할 것이다. 여기서 실현 불가능한 유토피아로 낙인찍혀 주변으로 밀려나 있는 비판적 기회론, 즉 기후위기를 자본주의 극복의 계기로 삼으려는 입장을 대안으로 제시할 것이다. The crisis of climate change is an urgent challenge that the world has to cope with in 21st century. The scholars dealing with the climate change are warning that, without an immediate response at the fundamental level, our world cannot but encounter a catastrophe. The climate change has been already experienced in everyday lives through unpredictable weather and climate-related disasters. The effort to respond to it has been very slow. There has been no countermeasure corresponding to the fear of ecological crisis felt in everyday lives. The them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y the reponses to the climate change have been just reluctantly discussed irregardless of the widely spread fear of the climate change. I explore it through analyzing a discourse formation around the climate change. The paper would argue that the unsatisfactory responses are due to ‘scientistic attitude’, ‘logic of economics’, ‘technical fix’, and ‘professionalism’, which are internalized into our personality and disseminated all over our society. These ideologies make only acceptable and feasible the position that tries to use the crisis as a moment for a another cycle of capitalist accumulation. This position can justify itself through comparing with climate catastrophism, and stigmatizing the latter as irrational. This ideological justification must be criticized. Further, in order to develop this critical analysis, we should put in its proper place the critical ecologies that endeavor to use the climate change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existing capitalist system, though being marginalized for the present.

      • KCI등재

        도시적인 것, 그리고 인권?

        서영표(Youngpyo Seo)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2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9 No.4

        이 글은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도시에 대한 권리(right to the city)’에 관한 ‘우호적’ 비판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에 대한 권리’는 프랑스의 사회학자/철학자인 앙리 르페브르(Henry Lefe?bvre)가 제시한 개념이다. 그에 따르면 도시화의 부정적 모습에도 불구하고 도시는 창의적 상상과 진보의 공간이기도 하다. 도시는 밀접한 사회적 관계와 다양한 정체성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르페브르가 주장하는 도시에서의 정체성과 다양성은 시장주의에 의해서 유포되고 있는 이기적이고 경쟁적인 행위자들의 양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도시에서 역동적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유대가 창조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르페브르의 주장이 가지는 급진적 사회비판을 살려내기 위해서는 ‘도시’와 ‘권리’라는 추상적 담론 안에 그의 사상을 가두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글의 핵심 주장이다. 르페브르의 주장은 ‘도시’에 국한되지 않는 자본주의적 모순이 드러나는 공간적 형식으로서의 도시공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도시 문제는 ‘도시성’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생산, 재생산, 소비 그리고 정치가 도시라는 공간을 통해 드러나는 구체적인 경험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권리 개념에 대해서도 같은 맥락의 비판을 제기할 수 있다. 권리담론의 기초가 되는, 역사에서 수없이 나타났던 사회운동 중 대부분은 ‘권리’라는 추상적 ‘자격’을 위해 싸우지 않았으며, 삶 속에서 드러난 욕구와 필요가 억압적 체제와 부딪칠 때 생겨난 저항들이었다. 권리는 이렇듯 역동적인 힘이 더 이상 ‘봉기’의 힘으로 작동하지 못하도록 체제 안의 ‘구성’의 힘으로 치환하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주어진 체제안에서 허용된 ‘어떤’ 것을 주장(claim)할 수 있는 자격일 뿐인 것이다. 결국 권리의 체제가 허용하는 저항은 주어진 ‘권리’의 해석과 적용을 둘러싼 절차에 한정될 뿐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한계들을 논하고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needs) 개념에 근거한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friendly but critical comment on the debate on the rights to the city, which has recently been an important topic in this country. The rights to the city was suggested by Henri Lefebvre who was a French sociologist/philosopher. According to him, in spite of the negative impacts of urbanization, the cities have been spaces for creative imaginations and progressive movements, because the cities have been spaces within which diverse identities could interact and be intimately linked. Here the city that Lefe?bvre think of is not the one which imposes egoistic and competitive logic on its citizens. He argues that, in the city, there is possibility of the social bonds through which citizens could accept diversity and dynamics of social relations. However, this paper would argue that, in order to develop the radical side of Lefe?bvre’s thought, we should try not to confine it within the narrow and abstract discourse of the urban and the rights. In Lefe?bvre’s argument, the urban should be understood as the space in which capitalist contradictions that cannot be confined to the urban are expressed. The urban questions cannot be understood as urbanity but as concrete experiences of production, reproduction, consumption and politics in the urban space. The concept of the (human) rights could be criticized in a similar context. Historic social movements that had been the practical ground for the discourse of rights have never struggled for abstract eligibility called right, but fought against repressive regimes that had suppressed people’s needs and wants. In this sense, the rights might have played a role of displacing the moment of upheaval with the moment of constitution within institutional order. At best, the discourse of the rights is the rights to claim something within the existing order allowed by the dominant power. Eventually, the resistance that the regime allows cannot but be confined to the procedural disputes about how to interpret and apply the rights. This paper will explore these limits and defects of the discourse of the rights, and then would try to suggest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advocating social struggles and developing critical discourse of capitalism: the discourse of needs. It could be linked to the key ideas from Lefebvre.

      • KCI등재

        영국 노동당 13년 평가

        서영표(Seo, Youngpyo)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신노동당 13년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이론적 분 석이다. 보수당 정권의 유산, 대처리즘과 단절하고 신자유주 의적 유산을 청산했다는 공식적인 주장과는 달리 대처리즘 의 연장이자 완성이었다는 것이 이글의 핵심 주장이다. 보 수당 정부 시절보다는 늘어난 공공지출은 빈부격차를 줄이 는데 성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더 악화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여전히 국제적인 민주주의 지표들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고 있지만 신노동당 정부 하에 서 형식적, 절차적 민주주의마저도 크게 위협받고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제출되고 있다. 신노동당은 결코 신자유주의 와 단절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더욱 세련화된 방식으로 영 국사회에 안착화시켰다는 평가들도 들린다. 본문에서는 이 러한 주장의 근거를 꼼꼼히 따져봄으로써 신노동당 정부의 성격을 규명하고 지난 13년간(보수당 정부를 포함한다면 30 년간)의 영국 민주주의의 동학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This paper theoretically explores the New Labour government for 13 years. Despite its official success story, New Labour seems to failed to break with the legacy of Thatcherism. Compared with the Conservative government's, its expanded public expenditure did not succeed in dealing with poverty and social polarization. Many critics have argued that poverty and polarization has been worsened under New Labour government. Further, there has been some signs that even formal and procedural democracy itself has been eroded. Some left commentators claimed that New Labour has never broken with neo-liberalism, rather helped it take root in British society in a more sophisticated way. If neo-liberalism meant the re-privatization and re-commodification of public services docommodified by social democratic regime, the New Labour government strengthened them rather than slowed them down. Market logic has more strongly penetrated into public services and everyday life. Person security, education and even communal rituals has been commodified. Even the public policy-making process began to be dominated by market research style methods. In terms of environmental issues, cost-benefit analysis has been predominant, and in terms of educational polices, students(and their parents) have been regarded as consumers or customers. In order to support this argument, this paper analyze data and discuss them in theoretical ter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