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국어 교과서 토론 논제의 적절성 고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토론 논제의 변화 양상과 학교급별 토론 논제의 계열성을 중심으로-

        서영진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bate proposition presented in the debate units of Korean textbook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 debate uni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5 debate proposition presented in the debate unit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58 textbooks of ‘Korean’ and ‘Speech and Composi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analyzed whether the requirements of the debate proposition were met, the type of the debate proposition, the topic area of the debate proposition, and the domain of the debate proposition. As a result, there were some debate proposition that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a debate proposition. Overall, the frequency of use of policy proposition was very high.The sequence of debate proposition was not sufficiently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the topic areas of the debate proposition considering the rang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learners. And, this study suggested expanding the domain of debate proposition in the order of school, local community, and national/social domains, as well as to selecting the type of debate propositio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argument.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에 제시된 논제의 적절성을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논제의 변화 양상과 학교급별 논제의 계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따른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화법과 작문’ 교과서 총 58권의 토론 단원에 제시된 논제 총 175건을 수집하고, 논제의 요건 충족 여부, 논제의 유형, 논제의 주제 분야, 논제의 영역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서 토론 논제에서 변화 지향성 요건과 평서형 긍정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는 2015 개정 교과서에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정책 논제의 활용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논제의 주제 분야 다양성이나 논제의 영역 확장성에 비추어 볼 때, 학교급에 따른 계열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한 상태였다. 이에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자들의 배경지식과 경험 범위를 고려하여 주제 분야의 다양성을 확장하기, 논제의 영역을 학교 영역, 지역 공동체 영역, 국가․사회 전반의 영역 순으로 확장하기, 논제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사고력과 논증의 강도를 고려하여 논제의 유형 선택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일반화학 교재에 나타난 엔트로피 정의와 설명의 고찰

        서영진,채희권,Seo, Young-Jin,Chae, Hee K. 대한화학회 2009 대한화학회지 Vol.53 No.1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로 채택하는 일반화학 교재를 포함한 미국에서 출판된 총 12 종의 일반화학 교재들에 있는 ‘엔트로피’의 정의와 설명방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같은 저자들이 저술한 교재의 판 별 변화를 살펴본 통시적 분석이며 다른 부분은 세 가지 영역 (엔 트로피 정의와 설명방법에 쓰인 무질서, 엔트로피 정의와 설명방법에 Microstates의 수 도입, 통계학적 엔 트로피와 열역학적 엔트로피를 배울 때의 오개념 가능성)으로 살펴본 내용적 분석이다. 연구 결과, 엔트로 피를 무질서의 정도라고 정의하는 것은 지양되었고, Microstates의 수를 이용한 설명 방법으로 대체 되었 다. 또한, 두 가지 다른 엔트로피가 존재한다고 믿는 오개념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주의점을 기술한 교재도 발견되었다. 엔트로피 설명방법의 이러한 변화를 새로운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교사들을 재교육하는 것은 우리나라 화학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일이다. In this study, entropy definition and explanation in twelv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published in USA including what Korean universities select are analyzed. Analysis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diachronic analysis which focuses on the change between editions of same authors and the other is contents analysis composed of three sections‐ disorder in entropy definition and explanation, microstates number in entropy definition and explanation, possibility of alternative conception in learning statistical entropy and thermal entropy. As a result, the definition that entropy is the measure of disorder is denied and explanation using microstates number is introduced. Also, caution for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conception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entropies is found. Reflecting the change in entropy explanation on new chemistry curriculum and reeducating teachers are meaningful on improvement of Korean chemistry education.

      • KCI등재SCOPUS
      • KCI등재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Leaf Yield and Pyranocurmarine Accumulation in Angelica gigas Nakai

        서영진,김종수,박기춘,박충근,안영섭,차선우,강윤주 한국토양비료학회 201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8 No.5

        Angelica gigas Nakai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herbal medicines and is known to have many pharmaceutical effects including an anti-oxidant, anti-cancer et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 effect of fertilization on leaf yield, production of dry-matter and accumulation of pyranocurmarine compounds such as decursin (DE) and decursinol angelate (DA) in Angelica gigas Nakai. Effect of fertilization was determined from response surface regression equation composing of 2 by 3 factorial arrangement of urea, sodium dihyd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chloride. Yield of leaf in Angelica gigas Nakai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100 days after transplanting. Production of leaf also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nitrogen fertilization. Model of regression equation showed that leaf production depended upon nitrogen (Pr>|t| : 0.087, 0.256 and 0.079). Also, statistical results between nitrogen application level and production of dry-matter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p<0.05) and contents of dry-matter was highest in 10 kg 10a-1 treatment on 24 Sep. Active compound isolated and purified from leaf and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was identified as DE and DA by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photometry (GC-MS). Concentration of DA as prevalent compound in leaf was highest on 20 Aug. but decreased on 24 Sep. Amount of DE and DA accumulated in Angelica gigas Nakai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growth stages and nitrogen level. The result of our investigation imply that nitrogen fertiliz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production of leaf and accumulation of pyranocurmarine in Angelica gigas Nakai as a medicinal/food materials.

      • KCI등재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 병진, 진동 그리고 회전 운동

        서영진,최진권,채희권,Seo, Young-Jin,Choi, Jin-Kwon,Chae, Hee-K.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6

        이 연구에서는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오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교재 분석 및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화학 교재는 간단한 모형과 기본적인 개념 설명을 통해 기체 분자 운동을 다루고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일 뿐 아니라 회전 운동에서 무게 중심에 대한 언급이 없는 교재가 상당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물리화학 교재는 주로 분광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고 심화된 내용을 다양한 모형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조사한 모든 교재에서 회전 운동의 무게 중심을 언급했다. 한편, 예비 교사들은 기체 분자의 운동 방식에 대한 이해 정도 및 자신감이 상당히 낮았으며, 많은 오개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예비 화학 교사들이 자신의 선개념에 근거한 직관 및 교재에서 제시한 시각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textbook analysis and a conceptual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misconception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in understanding motions of molecular gase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many of th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not only introduce motions of molecular gases by explaining basic conceptions and using simple models, but also omit the explanation on center of mass when dealing with rotational motion. The physical chemistry textbooks, however, mainly approach motions of molecular gases in terms of spectroscopy and use various models to explain more intensified concepts, referring the center of mass in rotational motions. Meanwhil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confidence and understanding in the motions of molecular gases were very low and pre-service teachers also had many misconceptions about them. We believe this is because they had a tendency to depend largely on their intuition based on the pre-conceptions and the visual materials in th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