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걸음걸이 속도와 인지기능의 연관성

        김춘옥(Choon-Ok Kim),이지원(Ji-Won Lee),임지애(Jee-Aee Im),강희철(Hee-Chul Kang),이승범(Seung-Bum Lee),서상훈(Sang-Hun Suh),이덕철(Duk-Chul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8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9 No.4

        연구배경: 치매에 대한 조기 증상으로 걸음걸이 속도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들이 있지만 아직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의 선행증상 중 하나인 걸음걸이 속도와 인지기능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거동 및 일상생활이 가능한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 인지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시켜 총 126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기본 문진과 혈액검사 및 우울은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인지기능은 KMM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걸음걸이 속도는 6 m의 직선거리를 걸을 때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m/s로 계산하였다. 결과: 대상자를 정상 인지기능군(KMMSE score>24, n=107)과 인지기능 저하군(KMMSE≤24, n=19)으로 나누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인지기능 저하군에서 걸음걸이 속도가 정상군에 비해 느리게 나타났다(P=0.620). 인지기능과 걸음걸이 속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r=0.204, P=0.022) 다른 혼란변수를 통제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걸음걸이 속도만이 KMMSE와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207, P=0.021). 결론: 다른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걸음걸이 속도만이 인지기능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걸음걸이 속도가 느릴수록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here is some evidence that gait abnormality precedes the diagnosis of dementia but it is not clarified that gait speed i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elderly. Methods: A total of 126 community dwelling healthy old people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blood pressure, weight and height, as well as drug history and behavioral habits.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Usual gait speed (m/s) over 6 m was measured.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ait speed between normal (KMMSE score>24) and cognitive impaired group (KMMSE score≤24), divided by MMSE score. However, i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gait spee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KMMSE score (r=0.204, P=0.022). After adjustment of confounders, gait speed contributed independently to KMMSE score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β=0.207, P=0.021). Conclusion: Gait speed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That is, slow gait speed could predict cognitive dys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