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포털 검색서비스의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서문기(Suh, Moon-Gi)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논총 Vol.14 No.-

        이 글은 인터넷 검색시장의 구조 및 특성과 함께 검색엔진을 둘러싼 쟁점들을 살펴보고, 포털의 핵심기능인 검색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및 성과 지표를 개발, 측정함으로써 인터넷 정보의 생성, 유통, 확산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포털사이트의 서비스 수용과정과 수익모델 개발 등 마케팅 측면에서 접근하거나 사용자의 일반적인 활용 행태 등을 살펴보는데서 그치는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포털의 검색엔진에 대한 사용자의 구체적인 검색특성을 반영하여 웹 사용자의 실제적인 행위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접근할 것을 주장한다. 포털사이트 사용자들의 정보검색행위 및 검색결과의 만족도에 관한 인터넷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포털의 정보검색 및 여론형성을 중요한 기능이라고 보고 있으며 정보제공과 유통에 관련된 서비스 부문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환경모델에서는 사용자의 검색 주기와 수요 및 능력 등이 검색행위의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나고 있으며, 성과 연령 등 사회 인구학적 요소가 직업, 학력, 소득 등 사회 경제적 요소보다 검색행위에서 많은 편차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성과지표 차원에서는 검색 목적과 결과의 관련정도가 검색행위의 여타 성과지표보다 상대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보이며, 검색서비스의 평가기준으로는 선호도, 정확성, 관련성, 효율성 등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정보 개방 및 공유 시스템, 정보콘텐츠의 공공성 및 신뢰, 정보검색에 관한 교육, 그리고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정책적 협력방안이 검색서비스 개선에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ystematic and analytic framework of portal search engines whose use and power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Reviewing the background and some critical issue of search engines, the analysis attempts to identify major non-performance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including a set of criteria and measure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web user evaluation of search engines, through a online survey completed by a random sample of 1,029 individuals. This evaluation is based on the user’s actual experience in using a portal service and the user’s response to system features, interaction, search results and overall performance. The portal user model shows that non performance measures are much more realistic, including query cycle, needs, capacity while performance measures stresses the usefulness of contents as well as the measures of relevance defined as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user’s need and query results. As a feedback to search engine, the results suggest a portal user model that can be developed to measure port quality levels, giving some policy guidelines for system improvement, which generate useful insight for contents share, public goods, trust, norm, and social accountability.

      • KCI등재

        통일에서 통합으로: 한반도 갈등 해결의 단초를 찾아서

        서문기(Moon-Gi Suh)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4

        냉전 시기의 환경에서 체제경쟁과 압축적 성장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던 구조적 한계로부터 국가발전을 넘어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을 추구하게 된 발전단계를 거치면서 통일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선행 연구들은 통일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설계나 통일 이후의 통합에 대한 대안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은 채 주로 이념적 범주에 초점을 두는 경향을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반도 분단 갈등을 최소화하고 조정하기 위해서 사회발전의 관점에서 사회통합을 둘러싼 쟁점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이에 기초한 통합전략과 함의를 제시한다. 통일의 의미가 단순한 외연적인 특징만이 아니라 사회문화적 차원의 구조적인 특성을 포함한다면, 사회구성원이 공동의 규범과 가치를 내면화하고 생활양식을 습득함으로써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할 때 통일은 비로소 완성된다. 남북한 통일과정에서는 효과적인 정치적 합의제, 경제교역 활성화, 사회적 토대의 정합성 등 핵심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영역별 통합정책을 확장할 수 있는 역량을 구축해야 한다. 통일을 향한 노력에는 통일의 성공과 통일 이후의 실패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해야 하며 통일 이전의 준비에 대한 체계적인 밑그림을 포함한다. 누구를 위한 그리고 무엇을 위한 통일인가에 대한 사회발전의 문제의식이 담겨 있어야 하는 것이다. The discourse on the unification issue is necessary at the current stage of development, where the quality of life is pursued beyond national development, breaking away from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system competition and compressed growth in the Cold War of the last century. However, previous studies tend to focus mainly on the ideological arena without providing a systematic research design for the developmental process or alternatives for post-unifi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deals with the critical issues of social integration to minimize and reconcile the division conflic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resents an integration strategy and policy implications. If unification connot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t the sociocultural level, not just external characteristics, it can be only completed when members of society build a community by internalizing social norms and values and acquiring a lifestyle. It is pertinent to design the core mechanisms such as an effective political consensus building, economic trade, and social base, which extend integration capacity beyond the boundaries of local authority. Substantial efforts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 success and failure after unification, and prepare a systematic scheme before unification. It contains social awareness of development regarding unification for whose benefits and for what directions.

      • KCI등재

        삶의 질의 공간구조화 과정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서문기(Moongi Suh) 한국인구학회 1997 한국인구학 Vol.20 No.2

        시회발전에 관한 기존이론의 분석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이 글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사회적 결과로서 삶의 질의 과정에 대해 그 인과구조를 조망함으로써 정치경제적 요소보다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합리적 선택이론의 명제를 제시한다. 이울러 근대의 지배적 담론이었던 시간과 역사에 가려져 있던 공간을 사회적 관계의 산물이자 동시에 사회적 과정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인 대상으로 접근한다. 곧 삶의 질 자체가 공간적으로 생산되며, 복지국가의 실현 역시 그것이 실현될 수 있는 열린 사회의 공간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분석의 초점은 부분적으로 국가구조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국가로부터의 자율성을 기반으로 하는 발전경로의 역사적인 흐름과 성격을 파악하는 데 두고 있다. 또한 국가권력과 시민시회 세력 간의 힘의 역학관계를 바탕으로 성장위주의 발전전략으로부터 삶의 질을 찾아가는 사회적 변동에 관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사회발전의 의미를 재성찰하고 앞으로의 발전과정에 대해 조심스럽게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시민사회가 국가권력과의 대응관계에서 어떻게 그 성격을 변화시켜 왔으며 또 삶의 질을 둘러싼 사회적 조건은 어떻게 형성해 왔는가를 보여준다. 특히 국가의 성장위주의 경제정책과 억압적 사회정책은 역설적으로 경제성장의 주체인 사회적 공간의 인내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회변동의 틀을 마련해 준다. 더욱이 극가권력의 질적으로 상이한 측면을 반영한 질적 분석에 따르면, 국가중심적 이론은 국가의 적극직인 경제개입과 사회통제를 강조함으로써 시회의 다른 영역을 등한시함과 동시에 삶의 질을 위한 사회적 조건을 규명하는 데 한계를 지님으로써 그 이론적 내용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반대로 노동 및 환경운동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민사회의 성립과 공고화과정은 한국에서 복지국가의 형상과 삶의 질을 위한 실질적 노력을 제고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지탱가능한 사회발전에 대한 이론적 전망은 공공-민간부문의 협력체계에 입각한 국가재정의 견고성에 의해 삶의 질의 사회적 공간을 제공, 확산하는 데 달려 있으며, 유럽의 경우에서와 같이 과도한 복지지향의 사회정책과 형평성의 원리는 동시에 견제됨을 요구한다. 이러한 성장과 분배의 양립가능성을 조절하는 균형점으로서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발전과정과 사회정의와 관련하여 다른 역사적ㆍ문화적 조건 위에서 그 일반화의 수준을 검토하는 작업을 미래의 탐구영역으로 남겨놓고 있다. Going beyond the previous formulations of development theories, the present paper explores the effects other than political economy on quality of life in a rapidly developing country. The major analysis takes up the historical trend and nature' of the developmental transformation that is partially a consequences of state structures and partially autonomous from it in South Korea. Also, it diagnoses developmental pathways for the future track by constructing a baseline model for state transition on the basis of power game betwee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in the country. The results of the historical analysis show that civil society has been transformed in the course of confrontation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state and nationalist social movement. The distinction between developmental(or bureaucratic authoritarian) and democratic state is presented to show that these are two qualitatively different aspects of state power, requiring separate analytical treatment. Furthermore, the state-centric approach which emphasizes the active role of the state at the sacrifice of societal fabric-constraining social conditions for quality of life-appears to be modified. On the contrary, the impact of civil society is transmitt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via labor and ecological movement for quality of life, which is critical to the formation of the welfare state in the country. The prospe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lies in providing and expanding quality of life in terms of the financial feasibility of the state through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abstaining from drastic and radical commitment to welfare services as is the case with the European declines in welfare stat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in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settings of developing countries to estimate a theory of quality of life and social justice.

      • KCI등재후보

        근대화이론의 이해와 성찰

        서문기(Moon-Gi Suh)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논총 Vol.16 No.-

        이 글은 경제성장과 민주화라는 사회발전의 두 가지 기본 축을 중심으로 서구화를 발전모델로 설정하였던 근대화이론의 가능성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회발전의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글의 전반부에서는 근대화이론의 이론적 전통과 유산을 살펴보고, 사회발전의 작동 기제를 개념 및 분석틀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후반부에서는 근대화이론의 방법론적 가정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왜 사회발전모델로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진단하고 발전모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결과, 경제적 차원에서 출발하여 정치,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을 거듭해 온 근대화이론의 지형 이면에는 주어진 사회의 정서적 차원에 관한 작동기제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사회구성원의 공적 참여라는 본질적인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증 및 역사의 방법론적 통합이 중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사회 발전의 개념에서는 시간과 공간, 문화적인 한계를 해방시킬 수 있는 지형을 통해 연구주제를 확장하고, 발전의 종착역에 대한 왜곡된 함의를 제어함으로써 미래 발전에 대한 밑그림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함수관계에 대한 이론적 통찰은 사회발전의 새판 짜기(paradox)에서 경제성장 및 민주화에 대한 사회적 자원을 어떻게 주어진 사회의 정서적 맥락과 문화적 전통에 접목시키는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근대화이론의 비판적 성찰은 전통과 근대의 접점을 통해 풍부한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며 서구 발전 모형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역사변동에 대한 분석틀의 활용 및 확장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of modernization studies while more specialized aspects are treated in reflections on the framework of prerequisites of social development. The modernization approach calls for concrete concepts and systematic accounts, since it supposes that the history of modernized societies that traces out the road of development for the less developed societi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no longer announces to the world what inevitably will, or at least what ideally should, happen in the name of universality. The main argument here is that it would be easy to reject the concept out of hand as a classic example of historical determinism and to leave it at that, which can be regrettable. Although modernization is a critical step by means of which development will be pursued, a fresh appraisal of the given institutions and cultural contexts for the mechanism is required. If reconciliation systems fail, it will because of the blindness of the people to appreciate the mechanism of modernization which highlights transformation rather than transfer. The future of development will depend on its ability to find new and effective ways to balance the particularity through theoretical resourc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의 정부신뢰구조

        서문기(Suh Moon-Gi) 한국사회학회 2001 韓國社會學 Vol.35 No.5

        이 글에서는 정부신뢰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한국사회의 발전과 정올 조명함으로써 신뢰구조의 형성에 관한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 자체는 국가역활의 변화와 사회갈등의 추이를 중심으로 정부신뢰의 인과관계를 추적하고 있으며, 신뢰구조의 세 가지 차원인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은 결국 사회질서의 중요한 공공선의 문제로 상정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정부신뢰에 관한 한국사회의 가설군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집단의 이익을 조정 못하고 공적부담을 가중시킴으로써 공익실현을 위한 정핵실패 사례가 누적되어 사회의 발전가능성을 크게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역사적인 맥락에서 신뢰성에 관한 가장 중요한 구조적 조건으로는 국가역량과 사회갈등을 상정할 수 있으며, 경험적으로 양자간의 상호작용은 정부신뢰를 상당히 왜곡된 형태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과정에서 사회 각 부문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합의가 중요하며, 부문간의 약속이행의무의 실현여부가 신뢰의 범위 및 기능에 핵심적인 요소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공공 정책의 효율성이 정부신뢰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정부신뢰의 구축은 조직체 및 인적요소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정부혁신과 연계될 때 비로소 기대효과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발전의 역동성을 보여주는 한국의 경험을 다루는 작업이 향후 정부신뢰에 관한 이론적 유관적합성올 가늠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는 함의를 갖는다. Focusing on the decline of confidence in government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is study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governance in South Korea. Eschewing any essentialist argument about trust, the paper shows that the issue of trust as a solution of a particular type of risk is a decidedly linked to the capacity of the state and the nature of social conflicts. Using newly collected data to develop a theoretically framed account,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factors in explaining the variance in government performance sheds light on the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theories of trust. The results across each sector demonstrate that the mechanism for governance depends on the contrapuntal interplay among the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The paper presents a model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change the structure of trust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context of economic crisis and drastic political change. The first point is that reform is the tool used by some powerful groups to paradoxically limit the function of promise-keeping, which deteriorates the trust for government. The second point is that a framework to understand trust is an organizing lens that brings a conflict into better focus. The implication ends up with strong and robust support for the prediction that reform programs by the government are associated with institutional trust, public demand, and social respect.

      • KCI등재후보

        한국의 사회발전경로에 관한 이론적 소고

        서문기(Suh, Moon-Gi)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논총 Vol.18 No.-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과 행복을 전제로 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이 미래의 청사진이라면, 그 단초는 사회의 구조적 원리와 세계사적 흐름을 반영하여 사회발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차원이 함께 가는 새로운 통합모델에서 찾을 수 있다. 국가주도형 경제성장과 시민사회형 삶의 질이라는 발전양식의 갈림길에서 한국사회는 발전모델의 유용성과 효율성을 둘러싸고 여전히 뜨거운 논란의 중심에 서 있으며, 발전의 함수관계에 대한 분석틀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 글은 한국의 사회발전경로를 진단하고 향후 발전의 핵심요소로서 문화적 가치체계와 IT의 역할을 천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이념지향, (2) 분석수준, (3) 발전영역의 세 가지 차원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발전모델에서 문화적 가치체계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분석결과, 한국 사회발전의 원동력은 문화적 역동성과 독창성에 있으며 문화산업과 문화자본의 기반을 확립하고 세계화 및 정보화 과정을 통해 문화적 교류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로 한국사회의 발전경로는 IT 혁명에 의해 문화적 가치체계와 기술적 성격이 결합함으로써 미래 발전을 추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셋째로 문화상대주의 및 다원주의 관점을 수용하여 서구의 자(自)민족중심주의 틀에서 벗어나는 길이 향후 사회발전과정에서 중요한 토양이라고 할 수 있다. Although Korea has a resource-strapped experience with the devastation of the Korean War, the country has been regarded as a successful pathway from the periphery to the core via the semi-periphery in a very short time period. While this transformation contains not only economic growth but also democratiz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the compressed development raises some important questions: to what extent the Korean story can be accounted for? What really covers beneath the surface of the economic miracle? Much ink has been spilt in an effort to answer these provoking riddles by focusing on cultural residues and the role of IT as the driving engine of development. This study presents the basic matrix of three analytical dimensions in which developmental pathways can be revealed: ideology, analytical level, developmental arena. The power shift from state-sponsored growth to the quest for quality of life has taken the luster off the developmental model, though whether the previous model has outlived its effectiveness remains a matter of intense controversy. Despite the contrasting views, at the roots of Korean success story lie the dynamics of culture and its response to impacts of new IT development. A Korean culture that stresses creativity and hybrid ways of thinking, as well as its traditional catch up attitude, will be necessary for the country to pursue future development with the IT innovation.

      • KCI우수등재

        신기술혁신과 장기파동이론

        서문기(Moon-Gi Suh) 한국사회학회 2003 韓國社會學 Vol.37 No.6

        이 글의 목적은 콘트라티에프와 슘페터로 대변되는 장기파동이론의 시각을 검토하고 특히 신기술혁신에 초점을 두고서 이에 관한 한국사회의 유관적합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기존의 장기파동이론이 다소 결정론적인 시각에 머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데 그 이유는 사회제도적인 틀이라고 하는 좀더 광범위한 맥락을 연결하지 못한 채 기술혁신 자체만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에 내재한 다양성과 동태성에 기초하여 기술문제를 사회변동과의 관련 속에서 접근하게 하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신기술파동의 영향력은 크게 기술 및 경제적 차원과 사회제도적 차원의 하위 체계로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후자의 경우 자본과 노동 및 국가와 사회구성원의 관계에 기초한 사회적 맥락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기술경제적 차원과 사회제도적 차원의 변증법적 관계와 되돌림 과정은 장기파동이론에 관한 사회학적 방법론을 활용하는 하나의 예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장기파동은 누적적이고 다소 모순적인 차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과정으로 그 효과는 각 하위체계간의 정합성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신기술혁신에 따른 성과는 다음 단계의 파동에 대비해서 축적하는 것이 장기적 사회발전전략에서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is paper is written as a response to the milledigm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IT development, currently popular models. The work begins by exploring the nature of paradigm shif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larger debates on post-industrial society, and attempts to test the ambiguity of a new economy. Applying Kondratiev-Schumpeter theory of the long waves to IT industry in South Korea, the paper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he new wave can be analyzed based on two sub-system: the techno-economic and the socio-institutional. The latter seems to be more important via the social division of labor and the mode of development. The implic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 key resource in the advent of new society, is a brake on academic analysis and a lever to ways of thinking about the nature and processes of role and function in the new social milieu.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ebate needs to be refocused to analyze dynamic and diverse contexts, including social and infra structure over technological dimension, and therefore a range of different research agendas could be spawned.

      • KCI등재

        행정효율성에 관한 이론적 소고

        서문기(Moon Gi Suh)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9 사회과학연구논총 Vol.21 No.-

        본 연구에서는 블라우의 조직체 연구에 관한 두 가지의 이론적 명제에 기초하여 베이스라인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조직체의 크기가 구조적 분화에 의해 조직체의 행정효율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논리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직체의 크기와 구조적 분화가 관리계층의 비율에 미치는 효과를 설명하는 일련의 수학적 분석모형이 제시되며, 조직체의 구조적 특성과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한다. 분석결과는 조직체 크기 및 분화에 대한 지식을 통해서 관리계층의 비율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무작위방식에 의해 구성되는 조직체 크기의 범주에 의해 블라우의 이론적 명제가 타당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행정효율성에 대한 조직체 크기의 영향력은 부 방향의 직접효과와 정 방향의 매개효과를 함께 갖는 다항식에 의해 설명이 가능하다. 이러한 결과는 복합적인 조직체에서 관리계층의 비중과 역할이 어떻게 주어진 조직체의 효율성에 관한 잣대가 될 수 있으며, 조직체의 구조적 특성을 통해 계층관계 및 권력분포와 같은 쟁점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