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의 성격과 구조 -순환적 대화 수업 모형을 통한 시조교육-

        서명희 ( Seo My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7 No.-

        문학교육의 방법으로서 대화가 가지는 의미와 효용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진정한 대화의 본질을 구현하는 교수학습모형이 필요하다. 대화의 본질은 상호성과 순환성이다. 대화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이 동등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하며 본질적으로 종결되지 않고 다음 목소리를 기다리는 순환적 성격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문학교실에서의 대화가 교육 활동이기 위해서는 주체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문학교실에서 대화에 참여하는 주체는 학습자, 교사, 그리고 문학 작품이다. 이들은 각자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습득한 사회 문화적 배경, 사상과 제도의 영향 아래서 목소리를 낸다. 문학교실에서 대화를 통해 주체의 성장이 일어난다면 학습자의 성장뿐 아니라 교사의 성장, 문학 작품의 풍부화 과정 또한 함께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이 논문은 대화를 통해 시조교육이 구체적으로 전개되는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이러한 과정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보인다. 또한 대화의 개념과 본질에 대한 성찰과 실제 교육 내용의 검토를 통해 대화의 순환성을 구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의 수정된 모형인 순환적 대화수업의 모형을 제안한다. 논문에 제시된 시조 감상 교육의 실제는 월산대군의 시조를 제재로 하였으며 순환적 대화의 과정을 적용하였다. 학습자와 교사, 작품 모두가 상호 주체성을 가지고 대화하는 문학 수업의 결과 모든 주체는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 학습자는 작품 이해 능력을 기를 수 있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감상의 태도와 작품에 대한 탐구의 태도를 가지게 되며, 문화적으로 폭과 깊이가 확장된 자아를 형성할 수 있다. 교사 또한 독자로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고 발견하는 경험을 할 수 있고 자신이 가르치는 학습자의 위치와 수준, 성격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또한 문학 작품은 문학 교실에서 새롭게 의미 부여되고 더욱 풍부하고 현재적인 의미를 획득하면서 생명을 얻게 된다. For dialogue to be useful as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teaching-learning models must realize its essence of reciprocity and circularity. All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must speak out, conversations should be circulated without ending, and we must promote the growth of the subject through dialogue in the literature classroom. In this type of a classroom, the subjects that participate in conversation are learners, teachers, and literary works, each of which has their own voice; the growth of learners and teachers and the process of enriching literary works occurs together. This thesis introduces the concrete contents of Sijo education through circular dialogue, and proposes a modified model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realize such a circularity. The Sijo education presented here was based on the Sijo of Wolsandaegun, to which the process of circular dialogue was applied. By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enre of Sijo, students stopped seeing works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people; thus, they were able to fully appreciate this work and provide further interpret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versation with students, teachers gained a new sense of problem and experienced a new reading of the work. The work came to be given a rich meaning in the classroom. A new interpretation of the work should be given not only within a group of researchers but also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춘향 이미지 융합 교육 내용 연구 - 문학과 미술에 표현된 춘향을 중심으로 -

        서명희 ( Seo Myeong-hee ),송미숙 ( Song Mi-su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3

        이미지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은 학습자들이 시대에 대처하는 이해와 표현의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정전 반열의 문학작품 속 이미지는 사회, 문화적인 시대성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춘향은 한국인들이 모두 알고 있는 고전문학 작품의 등장인물이면서 시기별, 상황별로 다양하게 재생산되고 재향유되며 풍부한 생산성을 보여주는 문화콘텐츠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춘향전>과 <춘향상>에 표현된 춘향 이미지를 분석하여 <춘향전> 이본들과 <춘향상> 도상이 춘향에 대한 이미지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그 이미지가 향유자들의 요구를 반영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사회문화적 관계 속에서 그 중 어떤 특정한 이미지가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고착화되었는지를 탐색한다. 이러한 분석은 문학과 미술의 영역에서 표현되어 온 춘향의 이미지에 대한 이해 교육의 내용이 된다. 문학과 미술의 융합 교육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과 미술 영역 양쪽에서 형성되어 온 춘향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면서 각각의 특성과 영향 관계를 고려하며 깊이 있게 춘향 이미지를 이해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표현교육은 문학과 미술을 넘나드는 표현을 통해 언어적, 시각적 표현에서의 창의성 발현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콘텐츠 개발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이끌것이다. It is a time when images are more important than ever. Education should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mselves to cope with the times. The image of a person in a major literary work that most Koreans know has a cultural meaning. Chunhyang is a character in classical literature that all Koreans know. And Chunhyang is a cultural content that shows abundant productivity as it is reproduced and enjoyed in various way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images of Chunhyang that appeared in Chunhyangjeon and Chunhyangsang. Researchers investigated how the image of Chunhyang is expressed and changed in various works. This analysis is the content of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age of Chunhyang that has been expressed in literature and art. Convergenc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art allows learners to understand the image of Chunhyang in an integrated wa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each, and understanding the image of Chunhyang more deeply. In addition, expression education based on this will enable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in linguistic and visual expressions through expressions that cross literature and art, leading to the abilit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 KCI등재

        혐오와 혐오 극복 서사로서의 <춘향전>

        서명희 ( Seo Myeong-he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이 논문은 <춘향전>이 혐오의 서사이자 혐오 극복의 서사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혐오는 사회적으로 매개되고 학습된 감정으로서 특정 집단에 대한 체계적인 차별과 배제의 근거가 되며, 한 사회는 혐오를 문화와 제도, 도덕과 법으로 체계화함으로써 해당 집단을 공동체 밖으로 밀어낸다. 춘향은 여성이자 기생의 딸이라는 특수한 신분으로, 이도령과 사랑을 시작하고 사랑을 이루어가는 과정에서도, 이별하고 버려지는 과정에서도, 새로 부임한 변사또에게 수청을 요구받고 거절했다는 이유로 폭력을 당하는 과정에서도, 심지어 그러한 폭력에서 구출되는 장면에서까지도 혐오의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춘향전>은 춘향이 전방위적 혐오의 시선과 투쟁하며 존엄한 인간으로서 혐오를 넘어서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담아낸 극복의 서사이며, 그러한 노력과 성취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완전히 혐오에서 벗어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는 좌절의 서사이기도 하다. This thesis attempted to clarify that “Chunhyangjeon” is a narrative of hate and overcoming hatred. Hatred is a socially mediated and learned emotion. It is the basis for systematic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gainst certain groups. Society pushes certain groups out of the community by organizing hate into culture, institutions, morals, and laws. Chunhyang is a woman and the daughter of a gisaeng. She is hated in her process of loving and parting with Lee Do-ryeong. She is hated in her process of experiencing violence for rejecting the request of the newly appointed Byeon Sato. Even when she is rescued from the violence, she is not free from the gaze of hatred. “Chunhyangjeon” is the story of Chunhyang fighting with the all-around gaze of hatred. This work is a narrative of overcoming hatred and becoming recognized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as a dignified human being. Additionally, it is a narrative of frustration that shows how difficult it is for her to escape completely from hatred despite such efforts and achievements.

      • KCI등재

        시를 이야기로 다시쓰기의 창의성 평가 연구(1) -평가의 실행과 결과를 중심으로-

        서명희 ( Myeong Hee Seo ),송지언 ( Ji Eon S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5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verbal creativity. The verbal creativity which is realized in a concrete text has intrinsically complex and context-dependent features. And these features make the evaluation of verbal creativity difficult rating at the low level of inter-rater reliability. Furthermore the action research on this issue has not carried out enough yet. To deal with the issu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the re-writing task which could stimulate the students`` verbal creativity. Students are asked to convert the part of a poem to associative narrative. Second we practiced two steps of expert evaluations. Through the preliminary evaluation 25 pieces of students works are selected. In main evaluation 12 experienced teachers who are teaching language in middle or high school participated as experts. Third we analyzed the evaluation result. Inter-rater reliability is improved by cronbach alpha coefficient(0.93). Standard deviation among scores that each students get from the teachers indicates the raters`` agreement and the subjectivity of creativity.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조에서 추구하는 한가로움의 양상과 교육적 의미

        서명희 ( Seo Myeong-he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7 No.-

        이 연구는 시조에서 추구하는 한가로움의 개념과 의미를 밝히고, 강호 시조의 한가로움이 현대의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어 ‘閑’, ‘閒’, ‘한가’를 포함하는 시조를 대상으로 한가로움의 조건과 의미역을 고찰하였다. 한가로움을 노래하는 시조들은 강호를 공간적 배경으로 하며, 화자가 고독하게 처하여 거문고와 책, 낚시를 즐기는 행위를 보여준다. 부귀와 공명이라는 세속의 가치를 거부하고 몸과 마음의 여유를 누리며 정서적 조화로움을 추구하고, 정신적 자유를 누리며 스스로의 삶에 자족하는 것이 한가로움의 개념이다. 현대 학습자들이 시조의 한가로움에 공감하기 어려워하는 것은 한가로움의 현대적 개념과 관련 있다. 현대인들에게 한가로움은 노동을 위한 재충전이며 소비 기회로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관념은 성취 중심의 가치관을 배경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현대의 학습자들에게 시조에서 추구하는 한가로움에 대한 학습은 삶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한가로움에 대한 관념을 일깨우고, 삶에 대한 자족감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and meaning of leisure pursued in sijo and to discus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uch leisure for modern learn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ditions and thematic roles of leisure by analyzing sijo that include the poetic dictions ‘閑ㆍ閒’, and ‘leisure’. Sijo that talk about leisure are based on the setting of rivers and lakes and describe the narrator enjoying geomungo, reading books, and fishing in solitude. The thematic roles of leisure include refusing wealth and fame, not giving oneself up to pleasures and entertainment, and being content with one’s own life. The reason for modern learners’ difficulty in empathizing with the leisure depicted in sijo is related to the modern concept of leisure. For modern people, leisure means resting from labor or having opportunities for consumption. These notions are grounded in achievement-centered values. For modern learners, learning about the type of leisure pursued in sijo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s the idea of leisure tha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on life and guides learners to think about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contentment in life.

      • KCI등재

        문학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접근 : 학교 제도 외부의 문학교육과 독자의 경험 -비인가 중등 대안학교 두 곳의 문학 수업을 중심으로-

        서명희 ( Myeong Hee Se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3 문학교육학 Vol.42 No.-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results of the literary education for adolescents at two alternative secondary schools (that is, schools outside of the regular public education system) and interpreted its mean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in charge of literature classes at Jecheon Gandhi School and Sungmisan School. The salient features of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literary education at these two schools were found to be as follows. First, they sought to illuminate real-life problems, not only those in literature. Second, topics were selected broadly and flexibly, and emphasis was put on learner activities. Thirdly, the teachers of these classes pursue an instructional approach involving integration with related courses. Learners in these classes achieved the following kinds of learning through their alternative literary education. First, they were able to enjoy literature in their every day life, and experienced the growth of a culture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m and their classmates. They also reflected on their own language culture, and were able to feel language more sensitively. The teachers, who were not literature majors, as well as the learners, experienced literary learning and grew together, as they acted as learning companions and seekers of knowledge respectively. Although alternative literary education has various limitations, it still carries lessons for the regular education system, due to its involvement with a literary culture assimilated from different aspects of life, instead of a complete focus on literature. It also raises an interesting question about the conception and meaning of the teacher`s role as that of a learning compa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