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곤달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서동연 ( Dongyeon Seo,),천원영 ( Wonyoung Cheon ),김영화 ( Younghwa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Ligularia stenocephala (L. stenocephala) extract.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55.950 mg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 stenocephala were evaluated by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a reducing power test.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approximately 90% and 70%, respectively.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258.833 mg TE/g residue. The anti-adipogenic activity of L. stenocephala extract was examined in 3T3-L1 cells.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3T3-L1 cells were treated both with and without the extract. L. stenocephala extract suppressed the lipid accumul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3T3-L1 cells. The L. stenocephala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γ (PPARγ) and adipocyte protein 2 (aP2) proteins, compared with control adipocy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stenocephala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n anti-obesity agent.

      • KCI등재

        공간디자인과 제품디자인 간의 감성적 영향 관계

        서동연(Seo Dongye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공간의 디자인은 인간의 지각을 통하여 경험되는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의미를 가진다. 인간 지각을 통하여 소통되는 공간과의 상호작용은 시대에 걸쳐 공간의 디자인의 변화를 이끌어 오고 있다. 기능적 기준에 가치를 집중하였던 모던디자인들로부터 감성적 기준을 가치에 포함시키는 현대디자인의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이다. 기능적 가치 기준과 아울러 공간 디자인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인간의 감성은 디자인과 인간의 인지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다. 디자인의 역사를 통하여 목격할 수 있는 각 시대의 특징적 디자인들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디자인들의 진화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간의 감성적 영향관계라는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디자인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감성이 여러 디자인간의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여 활성화되고 있음을 판단하는 간단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건축의 디자인에 대한 감성의 형성이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다른 디자인과의 상호작용에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특정 디자인의 변화가 다른 분야 디자인들의 변화를 초래하는 진화의 요인이 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공간 디자인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디자인들은 감성의 환경적 특성과 시간적 특성을 공유하는 상호작용의 순환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Cognitive interaction with environment has brought the change of space design in the stream of time. Contemporary design gives more weight to emotional approaches than ever as the focus of design value has moved to the emotion from the function. A simple experiment in this study is to find out fundamental principle of emotion that makes the change of design. To find the clues how emotion works in our cognitive process can help understand the evolution of design.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emotional memories of space design are related to other kind of design. It is presumed that the emotional memories are changed and reconstituted by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 and that the area sharing the emotional memories exists in our thinking.

      • KCI등재

        공간 디자인에 대한 감성연상 매개로써 언어와 시각이미지 특성

        서동연(Seo Dongye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디자인에 대한 현대적 가치의 변화에 의하여 최근에는 감성적 차원의 요구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감성은 주관적이고 모호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성의 요인들과 그에 대한 반응을 계량적 으로 측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감성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감성공학 분야에서는 인간의 감성반응을 일정한 정보의 형태로 치환하여 디자인에 대한 심리적 상태를 예측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성공학에서 사용되는 언어표현에 대하여 감성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시각이미지와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공간 디자인에 의해 유발되는 감성의 형태는 인간 사고의 인지체계 내에서 언어적 형태가 아닌 이미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bridge the gap between verbal expression and human emotions. There are many studies on non-verbal methods as EEG GSR MRI EMG and so on to analyse human emotion. It means that the distortion or transition can be exists between verbal expression and human emo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s related to sociolinguistics linguistic expression of human thoughts are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ontexts as cultural area and ethnical environment. At that the adjectives as the media transferring the emotion have their own inarticulation. In this study language is compared to pictures as the communication media of emotion.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responses using different media displays different results. The pictures as the visual media show more consistent results than languages. And the pictures are easier to be chosen by testee than the adjectives. It can be inferred from the results of experiment that emotion exists in the form of visual images and that the visual images are activated by association process in the emotional memory.

      • KCI등재

        오크라 씨 기름의 기능성 성분 함량 및 생리활성 평가

        서동연,전아영,신의철,이준수,황인국,김영화,Seo, Dongyeon,Jeon, Ahyeong,Shin, Eui-Cheol,Lee, Junsoo,Hwang, In Guk,Kim, Younghwa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5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and the biological activity of okra seed oil. Okra seed oil consisted mainly of linoleic acid (44.2%). The content of total phytosterols was 2.180 mg/g oil, with β-sitosterol being the highest (1.756 mg/g oil). The vitamin E content was 1.278 mg/g oil; the content of α-tocopherol was higher than γ-tocopherol.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2.463 mg gallic acid equivalent/g and 1.602 mg cathechin equivalent/g, respectivel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15.297% and 22.265%, respectively, and the reducing power was 4.524 mg gallic acid equivalent/g. The okra seed oil inhibited 77.692% of the α-glucosidase activity.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okra seed oil had a considerable amount of phytochemicals and exhibited biologic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kra seed oil is a potential natural therapeutic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s.

      • KCI등재

        국내산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

        천원영,서동연,김영화,Cheon, Wonyoung,Seo, Dongyeon,Kim, Younghwa 한국식품영양학회 201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d hepatocyte protective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cultivated in Korea. The contents of the total polyphenol of the extract was 271.5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residue.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extract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1133.23 m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g residue and 721.68 mg TEAC/g residue, respectively. The hepatocyte protective effect of guava leaf extract was examined in HepG2 cells. Against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the viability of HepG2 cells were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leaf extract. In addition, guava leaf extract led to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in HepG2 cells. The leaf extract increased the activity of glutathione (GSH),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gainst oxidative stres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uava leaves might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natural antioxidant and a hepatoprotective material.

      • KCI등재

        국내에서 소비되는 풋고추의 기능성 영양성분 함량 및 항산화 효과

        김나은(Naeun Kim),서동연(Dongyeon Seo),천원영(Wonyoung Cheon),최용민(Youngmin Choi),이준수(Junsoo Lee),김영화(Younghwa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섭취하는 풋고추 5종에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평가하였다. 풋고추의 비타민 B1 및 비타민 B2의 함량은 청양고추에서 생체중량 100 g당 0.156±0.004 mg 및 0.125±0.003 mg으로 가장 높았으며, 나이아신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퍼펙토고추가 0.246±0.022 mg 및 63.339±0.456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가지고추가 7.480±0.870 mg of GAE/g of residue로 가장 높았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양고추에서 3.323±0.101 mg of CE/g of residue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capsaicinoids 함량은 다른 품종에 비해 청양고추에서 생체중량 100g당 15.792±0.203 m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가지고추가 14.010±1.369 μg/100 g 생체중량으로 풋고추 중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가지고추는 다른 품종의 풋고추보다 가장 높은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고, 환원력 또한 가지고추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로부터 5가지 풋고추에 함유된 기능성 영양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알 수 있었으며, 천연항산화 소재로써의 이용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bioactive nutritional compound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green peppers consumed in Korea. The five varieties of Korean green peppers (Asak pepper, Cheongyang pepper, Dangjo pepper, Gaji pepper, and Peopekto pepper) were used.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B1 and B2 in Cheongyang pepper were 0.156±0.004 mg/100 g and 0.125±0.003 mg/100 g,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niacin and vitamin C in Peopekto pepper were 0.246±0.022 mg/100 g and 63.339±0.456 mg/100 g,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s and anthocyanin were observed in Gaji pepper (7.480±0.870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g of residue and 14.010±1.369 μg/100 g,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s and capsaicinoids in Cheongyang pepper were 3.323±0.101mg of catechin equivalent/g of residue and 15.792±0.203 mg/100 g,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free radical in Gaji pepper were 84.18% and 73.28%,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ighest reducing power was observed in Gaji pepper (74.985± 2.105 mg/g residue).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peppers are potential nutritional and antioxidant sources.

      • KCI등재

        장소형성요소로 본 인천광역시 유휴공장 재생 방안 사례 연구

        채창우 ( Changwoo Chae ),서동연 ( Dongyeon Se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산업 발전의 주역이었던 공장들이 유휴 상태로 전환되면서 용도의 변경을 통해 도시 공간과 지역 사회 재활성화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공장이 지역 재생을 위한 거점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장소 개념을 도입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유휴공장 중 재생된 3곳과 아직 유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3곳, 총 6곳의 대상지를 선정하였고, 재생된 3곳(주안철강공장, 조양방직공장, 코스모화학공장)을 대상으로 장소형성 요소가 도입된 방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장소 형성 요소는 선행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해 공간환경요소와 활용요소, 의미요소로 분류하였다. 공간환경 요소는 주변 입지와 교통과 같은 광역적 맥락과 공장 구조물의 미시적 맥락으로 구분하였으며, 활용 요소는 인간의 점유를 의미하며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이 리모델링된 3개의 공장에서 나타난 방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인천광역시 내에 재생된 유휴공장들은 광역적 공간환경 요소들을 볼 때, 교통접근성이 양호한 공장단지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지만, 실질적으로 공장과 함께 있는 주거지와 문화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주변 시설들의 성격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미시적 공간환경 요소에서는 기존의 공장 구조물이 갖고 있는 물적 특성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개조된 부분을 이와 대조시키려는 전략, 활용 요소에서는 카페와 전시라는 문화 상업시설이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결론) 다양한 장소 요소들은 상호관계를 통해 고유성을 부여한다. 현재 공장의 구조물을 최대한 보존하려는 전략과 균질한 문화 상업공간은 서로 다른 광역적 맥락을 갖는 3개의 유휴 공간에 어느 정도 균질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들은 매우 매력적인 공간으로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광역적 맥락의 공간환경 요소가 더욱 적극적으로 개입할 때 이 지역의 재생을 이끄는 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factories have been converted into idle buildings, they have begun to play a major role in the revitalization of urba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that can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idle factories become a base for regeneration with the Idea of the place. There are 6 sites of idle factories which were 3 regenerated and 3 remained, and the study analyzed 3 regenerated sites. In conclusion, this analysis confirme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focus. (Method) The determinant factors of the place are set up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utilization, and sense by re-extracting the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 such as place marketing and placemaking based on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the place.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a broad context such as surrounding location and traffic infrastructure and the micro context of factory structures. The utilization is a program that includes the meaning formed from human/cultural factor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human beings. Finally applied these factors to regenerated idle factories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those places. (Results) The idle factories regener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have commonalities in that they are located in the factory area with good traffic accessibility when they look at the wide-area physical environment,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facilities that can be culturally linked to the residential area with the idle factories. In a factory structures environment factors, 3 sites have a common condition which as preserving the existing structures or facilities and make a contrast with new materials of an extension and modification part. In the activity factors, a program of the idle factories is converted to cultural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cafes and exhibitions. That makes commonalities of regeneration result and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context to be weak. (Conclusions) The determinant factors of place give uniqueness through mutual relations. Currently, the strategy to preserve the structure of the factory as much as possible and a converted program like a cultural commercial space create some homogeneity in three idle spaces with different broad contexts. Although they are actively used as very attractive spaces, There is a weakness in identity from other regenerated factories. If they using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f the broader context more actively, they could be an anchor facility for the regeneration of this area.

      • KCI등재

        사례분석을 통한 유수지 복합화 계획 방향 연구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유성윤 ( Yoo Sungyoon ),서동연 ( Seo Don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유수지는 지역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공간으로 복개를 통해 주차장을 조성하는 등 복합화를 시도해왔으며, 최근에는 건축물 건립 등 보다 적극적인 복합화를 추진하고 있다. 유수지는 본래 방재시설 기능을 유지하며, 미래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향후 필요시 확장의 가능성을 대비하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지만 사회적 수요에 맞춰 유수지를 공공 토지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면서 복합화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방재시설로서 유지를 위해 형성된 제도적 기준 안에서 지역 공공성에 대응하기 위한 유수지 복합화의 계획 경향을 분석하고, 유수지 복합화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합화 사례 9개를 대상으로 선행연구, 문헌조사, 법규검토를 통해 유수지의 개념, 복합 활용의 흐름, 제도적 여건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수지 복합 개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는 유수지의 입지 현황, 물리적 구조 현황, 도입 프로그램, 시설의 규모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유수지의 복합화 계획 특성이 나타나게 된 배경을 유수지의 제도적 조건과 함께 검토하였다. (결과) 유수지는 시대적 수요에 대응하여 건축 가능 용도의 허용 범위를 확장해왔지만, 실제 도입된 프로그램은 체육시설이 절대다수로 다소 획일화된 경향을 보인다. 사회적 수요에 대응해 공공기숙사 건립을 추진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무산되었는데, 이는 사회적 수요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요구를 면밀히 조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구조적으로 유수지 복합화 사례는 모두 부분 복개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상하부 레벨을 모두 사용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방재기능의 유지를 위해 기본적으로 상하부를 분리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점차 다변화하고 확대되는 사회적 요구를 제한된 규모 내에서 수용하기 위해서는 유수지 상하부 레벨을 유기적으로 사용하는 등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물리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수지 대부분은 하천과 인접해 수변 공간과 매개 공간으로서의 잠재력이 있지만, 현재는 간선도로 등으로 단절되어 있어 접근성의 강화를 위해 수변 공간과 연계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유수지의 방재 능력을 높이면서도 유휴지를 도시의 수요에 맞게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개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도적 기준, 지역사회와 주민들의 수요, 공간을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 개발 방안, 수변 공간과의 연계 방안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water reservoir is a space that can be potentially used as a local resource, and complexities have been attempted by creating a parking lot through cover; recently, more active complexes, such as building construction, are being pursued. Reservoirs maintain the original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function and prioritize preparing for future expansion in response to future climate change; however, the complex has progressed while trying to utilize the water reservoir as a public land resource in line with social demand.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planning trend of the mixed use of reservoirs to respond to local publicity within the institutional standards established for its maintenance as a disaster prevention facility an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mixed-use development of water reservoirs. (Method) We examined the concept of reservoir, flow of mixed-use,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through prior research, literature search, and legal review for nine cases. Through this, the location of the reservoir, physical structure, introduction program, and size of the facility, which are judged to have influenced the mixed-use development of the reservoi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background of the characteristics of mixed-use planning of the reservoir was reviewed along with the institutional reservoir conditions. (Results) The water reservoir has expanded the allowable range of possible uses for construction in response to social demands, but the introduced programs tend to be somewhat uniform. Public dormitory construction was promoted in response to social demand, but it failed due to opposition from resident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closely investigate and analyze not only social demand, but also the needs of residents. Structurally, all cases of mixed-use development use a partial cover method;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separated and utilized to maintain the disaster prevention function. However, to accommodate the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expanding social needs on a limited scale, it is necessary to find a physical improvement plan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such as organically using the upper and lower levels of the reservoir. In addition, most reservoirs are adjacent to rivers and have potential as waterfront spaces and intermediaries, but they are currently cut off by arterial roads.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utilize idle land to meet urban demands, while increasing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the reservoir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institutional standards, th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and residents, the physical development plan to use the space efficiently and organically within the limited standards, and the linkage with the waterfront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