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 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질적 사례 기술 연구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1 교육인류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업 관찰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업의 근본적인 개선을 모색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안으로서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그것은 어떤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어떤 과제를 해결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수업 관찰 방법은 대체로 관찰자의 관점에 의해서 사전에 만들어진 범주에 따라서 이루어짐으로써 수업을 충실히 이해하는 데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한된 이해를 결과로 이루어지는 수업 개선의 노력에도 실효를 거두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질적인 수업 관찰방법이 모색되기도 하지만,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관점을 고려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다. 이 방법은 관찰자로 하여금 수업을 학생의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수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전환시키고, 교사로 하여금 그러한 전환된 관점에서 자신의 수업을 성찰하고, 학생에게 적합한 수업의 방법을 스스로 모색해 갈 수 있는 역량을 형성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교사들 사이의 대화를 활성화함으로써 학교의 문화를 전환해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nother way to improve the classroom lessons in Korea. Late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improve classroom lessons by implementing teacher`s ability improvement measurements including classroom lesson ability measurements. But this produces many negative side effects such as the credibility issues of the result of the measurements and conflicts among teachers.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look for alternative ways, especially in classroom lesson observation method. The observation methods to classroom lesson known to us in general have observer watch classroom lesson from his or her own viewpoint within pre-determined categories. Above all, most of the observation methods do not let the observer see the student`s experiences in classroom lessons. So, there is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and missed prescription for classroom lessons. Checklist observation method used in the classroom lesson ability measurement is a typical case of such a problem. "Classroom lesson understanding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is a classroom lesson observation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method enables the observer to look into the pupil`s experience in a classroom lesson from a pupil`s viewpoint, and converts his or her viewpoint applied to see a classroom lesson from teacher`s to pupil`s. And this method help the teacher-observer reflect his or her classroom lesson, and develop the ability to find out the proper way to improve his or her classroom lesson by himself of herself. Through this process, the method can spark conversation among teachers, and transform the culture of silence into culture of conversation in Korean schools.

      • KCI등재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 탐색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2

        인간은 되어있는 존재임과 동시에 되어가는 존재다. 따라서 우리는 인간을 두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가운데 교육학이 주목하는 것은 인간의 되어가는 측면이다. 우리는 인간의 되어가는 측면을 이해함으로써 되어있는 측면까지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교육인류학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 초점을 어디에 두는가에 따라 "인류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Anthropology of Education)"과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Educology of Anthropos)"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글에서 연구자는 인류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이 교육을 어떻게 파악하는지, 그것이 인간을 이해하는 데 어떤 제한 점이 있는지 등을 검토했다. 그리고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는 교육을 어떤 것으로 파악하는지, 그런 관점으로 볼 때 인간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인간의 되어감을 교육학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할 때 어떤 연구방법이 필요하며, 그런 이해의 작업은 우리의 실제적인 삶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Man is not only a being but also becoming. This enables us to understand man through both aspects. The science of education focuses on the becoming aspect. When we understand the becoming aspect we can understand the being aspect better too. Anthropology of Education and Educology of Anthropos understand humans through the becoming aspect. But there are some radical differences between them. Anthropology of Education regards education as a cultural transmission process only. In this point of view, we cannot understand precisely all the human becoming process. This is because, human becoming does not only go through the cultural transmission process, but also through the culture diffusion process or acculturation process. Educology of Anthropos regards education as a form of life in which human reflects upon the existing culture and renovates it. In this point of view, we are able to understand the human becoming process as an education, and not the Pedagogics but the Educology we can set up. The Educology of Anthropos understands the becoming aspect of humans in relation to a culture. But, to set up the Educology of Anthropos as a science, we have to make a provision for its own research method. I have suggested briefly a educ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e study of Educology of Anthropos. In my opinion, the Educology of Anthropos has just started. But it can contribute to improve Korean dark school and our everyday life.

      • KCI등재

        교육인류학과 교육의 실천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교육의 과정에서 학생과 교사가 겪는 소외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교육인류학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이 무엇인지, 그것을 어떤 방법으로 연구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육인류학은 인간의 다양한 삶의 장면에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는 교육을 문화와 관련지어 탐구하고자 한다. 이 때 교육은 기존의 자신을 부정하며 새로운 자신으로 태어나는 과정이라고 본다. 교육인류학자가 이러한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교육인류학자는 그 방법으로 타인의 교육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신 역시 기존의 자신을 부정하며 새로운 자신으로 태어난다. 즉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 속에서 연구 대상과 연구 과정이 일치한다. 나는 지금까지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교육인류학의 연구 방법을 안내했다. 현장 교사들은 그 방법으로 학생의 교육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그 학생이 어떻게 새로운 것을 알아가는지 알게 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자신이 학생들을 일방적으로 판단해왔음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자기중심적으로 이루어져왔던 교육적 실천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게 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일상 속에서도 주변의 타인을 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애쓰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교사들은 학생뿐만 아니라 주변의 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이런 점에서 교육인류학은 우리나라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lienation that students and teachers feel in Korean school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target and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o find the way. Anthropology of education presupposes that education is the process of rebirth. Anthropology of education posits that education exists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culture and geography. Anthropology of education researchers have developed certain research methods to study education. They in turn are reborn by studying how others undergo their education. In thos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corresponds to the research subject. I have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o school teachers. Studying the education of their students with this method, the teachers understood how their students learned new knowledge, and found that they judged their students arbitrarily. After the research process, the teachers tried to correct their egocentric practice of education. Furthermore, they tried to understand their neighbors from others` viewpoints. With these efforts, they established new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and neighbors. Considering these results, anthropology of education can be a way to change Korean school education and Korean society.

      • KCI등재

        우리 반 훈이는 수업에서 어떻게 소외되는가?

        서근원 ( Ghun Won Suh ),변수정 ( Soo Jeong Byu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4 교육인류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대도시 공단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 ‘``훈이``’가 학교에서 어떻게 왜 소외되는지를 성찰적 질적연구를 통해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훈이‘가 학교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모습 속에서 교육소외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교육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2년 5월 29일부터 9월 20일까지 훈이의 학교생활을 관찰 기록하고, 그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훈이는 이른바 “학습부진 학생”이다. 그래서 담임교사는 훈이가 수업에서 하는 모든 일에 무기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예상한대로 훈이는 학교 생활 속에서 다양한 모습의 소외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 대표적인 경우가 멍하니 자신의 책상 끝을 바라보고 앉아있는 것이다. 그러나 드물지만 교사나 교과서 또는 친구가 하는 모습을 유심히 바라보고, 그것을 작은 몸짓으로 따라해 보고, 자기의 의견을 말하거나 주장하는 모습 등도 보였다. 이것은 담임교사가 미처 예상하지 못한 모습이었다. 훈이는 수업상황을 ‘복잡한 것’과 ‘복잡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고, 그에 따라서 다르게 행동하고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훈이가 수업의 장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가 훈이의 이러한 인식 특성을 고려하여 훈이가 능동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시도해 볼 수 있는 것을 학습의 과제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교사로 하여금 훈이의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수업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우리나라 학교의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and the reason of alienation in a Korean elementary school lesson. For this purpose, we did the qualitative case study of "Hoon," a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elementary school where he was in is located in an industrial complex district in one of the big cities in Korea. From May 29th to September 20th, 2012, we observed his everyday life in school and analyzed observation record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we found:"Hoon" is an "under-achieving student." His teacher expected that he would always be in a state of helplessness. As expected, he showed signs of various types of alienation in his school life. In many situations he just looked at the edge of his table. But he was not alienated all the time. Sometimes he kept his eyes on his teacher, his book, and the behavior of his classmates. And he imitated their gestures timidly, told his opinion in tiny voice. The later is what his teacher didn`t expect. He classified the classroom lesson situation as "complicated" and "non-complicated." He a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his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to have Hoon not be alienated in classroom lessons, teachers have to provide Hoon learning tasks that he can be interested in and let him try actively. Along with this, we have to improve the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not to disturb teachers to have classroom less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oon-like" students.

      • KCI등재

        교육열의 의미에 관한 한 해석 -사회적 상황의 변화와 관련해서-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8 교육인류학연구 Vol.11 No.1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발생하고 있는 교육열 현상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교육열 현상을 각각 한 가지 의미로 해석하고 논의를 전개했다. 그렇지만, 190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에서 전개되어 온 교육열 현상을 사회적 상황과 관련해서 살펴보면, 교육열 현상은 시기에 따라서 서로 다른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육열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사적 욕망을 실현하거나 국가의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 근대적인 사회체제를 근대적인 사회체제로 전환하기도 하고, 근대적인 사회체제를 정착시키기도 하고, 새로운 체제로 전환시켜 가기도 한다. 그에 따라서 교육열 현상의 의미도 달라진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교육열은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상황을 변화시키기도 하며, 사회 변화의 주요한 동인 가운데 하나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열이 발휘되고 확산되어가는 정도와 유형은 그 사회체제의 특성이나 사회의 유형을 알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unique education fever phenomenon in Korea. Most of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ducation fever phenomenon has one solid meaning. But, when we look at the education fever phenomenon in relation to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we find that it has various meanings. Education fever phenomenon does not only support private desires and national economic growth, but it can also change the premodern social system into a modern social system, fix and expand the modern social system, and change the modern social system into another. Considering these social situations, the meanings of education fever can vary. We can say that education fever not only reflects the social situation but also constructs it. It is one of the causes of social change. And the degree and types of education fever expansion can be an indicator of a social system`s characteristic or the type of a society.

      • KCI등재후보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5 교육인류학연구 Vol.8 No.2

        근래에 이르러서 많은 사람들이 다원화되고 조직화된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소외 문제를 공동체를 통해서 극복하려고 한다. 대안학교를 비롯한 교육공동체 운동도 그 중 하나다. 그러나 이런 시도들은 대부분 기대하는 결과를 맺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 가운데 하나는 그들이 공통적으로 공동체를 동질적인 사람들에 의해서 구성된 별도의 실체로서 인식하기 때문이다. 산들초등학교 사례에 따르면, 공동체(共同體,community)는 사람들 사이의 동질성에 기초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이질성에 기초해서 구성되고,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결회체(結會體, society)와 함께 집단의 한 측면으로서 존재한다. 결회체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자신을 중심으로 타자를 대할 때, 즉 닫힌 관계를 유지할 때 형성되고, 공동체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타자를 지향하는 방식으로 타자를 대할 때, 즉 열린 관계를 유지할 때 형성된다. 공동체에서 개인들은 자신과 다른 타자를 이해함으로써 열린 관계를 맺으며, 그로 인해서 서로가 주체로서 공존하는 가운데 변화하고 유대감을 느낀다. 그 점에서 열린 관계는 바로 ``교육``이고, ``공동체``는 ``교육 공동체``이다. 이러한 결회체와 공동체는 한 사회가 유지되는 데 모두 필요하다. 사회에서 구성원들은 결회체의 측면으로 인해서 소외되지만 안정적으로 생존할 수 있으며, 공동체의 측면으로 인해서 공존할 수 있지만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사회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은 양면적인 것이다.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들은 둘 중 한 측면이 우세할 때 위기를 경험하고, 그 위기로 인해서 존재가 위태로워질 때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최근 들어서 공동체를 실현하거나 대안교육을 모색하는 움직임 등은 적절하진 않지만 모두 우리 사회에서 약화된 공동체의 측면, 즉 교육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점에 비추어 보면, 다원화되고 조직화된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를 회복하고 소외를 극복하는 길은 기존의 사회와는 별도의 공동체 집단을 구성하거나 대안학교를 만드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로 하여금 타자들과 열린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기회와 장소를 충실하고 풍부하게 제공하는 데에 있다. 예를 들면, 학생들로 하여금 학문의 결과를 더 잘 기억하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학문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기존의 학교를 개선하는 것이다. 학문은 세계를 이해함으로써 세계와 열린 관계를 맺는 것을 본연의 일로 삼기 때문이다. Now we Korean live in a huge pluralized and organized group, in which most of people experience alienation and wish to live as a subject with neighbours. And somebody try to solve the problem of alienation and to exist by making a separate community group. Alternative school and educational community movements are on the same line. But they do not solve the problem. This results from the inadequate concept of community that community is a real separate group and composed on the base of the sameness of a community members. In the case of the Sahndle elementary school, community is not composed on the base of the sameness of the members but the difference, and is not a real separate group but an aspect of a group. People experience society when they meet others self-oriented way, and experience community when meet others other-oriented way. The fore one forms a closed relationship and the late one forms a open relationship. When the members understand each other they compose an open relationship and exist as a subject, and become another selves and feel common tie each other. This means that open relationship is an ``education``, and ``community`` is an ``educational community``. In the human world, the society and community is necessary in order to keep the human world go on. In the aspect of society man can survive stable, though he is alienated. In the aspect of community man can not be free from insecurity, though he can exist. In this sense, man and the human world is bilateral. If one of these sides is weak or preponderant, man and human world becomes alienated or lose stability, and falls into the crisis of being. So man tries to recover balance between them. The community movement or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is the effort to recover the weaken community aspect, that is, education in Korea. In this point of view, the way to recover community in the huge pluralized and organized group is not to make a separate community group or make an alternative school, but to provide people with the profound chance and place to form an open relationship each other. Improving schools in that students do science by themselves rather than remember the result of science merely is one of the ways.

      • KCI등재

        교육인류학은 교육의 개선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서근원 ( Ghun Won Suh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6 교육인류학연구 Vol.19 No.1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은 공학적 교육의 개념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공학으로서의 교육은 학생을 사물화하고 소외되도록 한다. 또한 인간이 학교 밖의 다양한 삶의 장면에서 겪는 교육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개념과 문제 해결의 방법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인간은 살아가는 동안 다양한 삶의 장면에서 낯선 것을 만나고, 그것을 계기 삼아서 반성적으로 사고함으로써 세상을 새롭게 바라보고 실천하게 된다. 즉 인간은 낯선 것과 대화함으로써 변화해간다. 인간의 이러한 변화 모습을 교육이라고 정의하면, 우리는 인간이 다양한 삶의 장면에서 겪는 교육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교에서 학생들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교육의 개념으로 다양한 삶 속의 교육을 설명하는 일은 연구자 자신이 교육을 실천하는 일이며, 이러한 의미의 교육을 실천하는 일은 반드시 타인의 교육을 연구하는 일을 필요로 한다. 최근에 일부 교사들 사이에서 시도되고 있는 “아이의 눈으로” 접근 방법은 그러한 교육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한 가지 사례이다. Nowadays, Korean school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education as engineering. Education as engineering reificates students. And it alienates students from being of human. The concept of education as engineering can not explain the education that happens in everyday life.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to inquire on another concept of education and approach. A human being encounters many strangers during their lifetime, which affects his own thought. It makes them take on new perspectives of the world and new ways of life. Humans change themselves in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If we define this shape of change as education, we can explain the education that happens in everyday life, and we can prevent Korean students from alienation caused by seeing education as engineering. To explain the education that happens in everyday life based on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includes practicing this new concept, which requires conducting research on it. The approach of "pupil``s eye" tried by some Korean teachers is one case that explains practice of this new concept of education.

      • KCI등재

        교육인류학의 연구 대상과 교육기술지

        서근원 ( Suh Ghun-w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3

        교육인류학은 교육을 연구한다. 교육인류학 연구는 교육을 기술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교육인류학이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정립되기 위해서는 교육기술지란 무엇이며, 교육기술지에는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또 그것은 어떻게 작성되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체계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한국의 교육인류학계에서는 이와 관련된 논의를 소홀히 했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자는 교육을 삶의 형식으로 정의하는 조용환(1999)의 주장을 토대로, 교육기술지가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내용이 무엇이며, 교육인류학 연구자가 그런 내용을 담아서 교육기술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제를 추가로 해결해야 하는지를 논의했다. 본 연구자의 논의 결과에 따르면 교육기술지의 핵심은 당사자가 낯선 것을 계기로 삼아서 기존의 문화를 변증법적으로 해석하여 실천하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이때 기존의 문화를 변증법적으로 해석하여 실천한다는 것은, 기존의 문화를 근거로 하여 낯선 것을 해석하여 실천하는 대신 낯선 것에 비추어서 기존의 문화와 성찰적으로 대화함으로써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가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인류학 연구자가 이와 같은 삶의 형식으로서의 교육을 기술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것을 연구할 수 있는 고유한 연구 방법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의 교육인류학계에는 그와 관련된 연구 방법은 체계적으로 소개되거나 논의된 적이 거의 없다. 따라서 교육인류학이 교육을 연구하고, 그 연구의 출발은 교육을 기술하는 일이라고 한다면, 이제부터라도 그 교육을 기술하는 데 적합한 연구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여 실천해야 할 것이다. 즉 우리 자신이 교육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변증법적인 해석과 실천의 삶을 살아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교육의 사례를 기술하고, 그것을 비교문화적으로 검토하여 한국 교육인류학 고유의 교육 이론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필요한 연구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nthropolgy of education studies education. The study starts from the description of education, which is educography. In order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study, Anthropology of education must go through a systematic discussion about the meaning and elements of description of education. But, until now the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has not paid enough attention on it. For these reasons, on the basis of Yong-whan Jo`s (1999) concept of education, I discussed the elements and task of educography in this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key of educography is dialectic interpretive and practice on an existing culture. Dialectic interpretive practice is triggered by the unfamiliar to an existing culture. Somebody who is faced with the unfamiliar to his existing culture re-interprets his existing culture on the basis of the unfamiliar. And he constructs new culture to the unfamiliar. That is the process of dialectic and interpretive practice. Educopraphy describes the process. To establish the Anthropology of Educ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we have to build a unique research method to study concrete dialectic interpretive practice of somebody somewhere. But research methods have rarely been introduced or discussed systematically. Anthropologists have to start an investigation for a unique method on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on dialectic interpretive practice. This means that Korean Anthropologists of Education have to live themselves a dialectic interpretive life. And we have to describe various cases of education and compare them to others to a construct unique theory on education.

      • KCI등재

        지역사회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용환,서근원 한국교육인류학회 2004 교육인류학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폐교의 위기에 처했다가 학부모들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새로운 학교로 다시 태어난 한 초등학교(가칭 산들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이다. 이 논문은 그들이 추구한 학교공동체가 어떤 성격의 것이며, 그러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교육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집중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학교 구성원들이 대안적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입장 차이를 유보한 채 결속하는 명시적 공동체와, 갈등사태에 직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교육적 성장을 이루어가는 암묵적 공동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교가 공식적으로 추진해 온 전경의 교육과, 구성원들 사이에 잠재적 체험의 과정으로 드러나는 배경의 교육을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여기서 우리는 학교공동체가 진정한 의미의 교육공동체가 되기 위해서는 획일적 동질성에 기초하여 구성원들을 소외시키는 일이 있어서는 아니 되며, 모든 구성원이 주체로서 대화에 참여하고 그를 통한 변증법적 성장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구체적 체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global-information age, humans are struggling to achieve balanced ways of living between those of modernist values, which have emphasized individual freedom and responsibility, and newly asked postmodern communal philosophies. It seems to be a task to construct a set of 'glocalized' communities. Constructing such a utopian community has long been a dream but never been fully realized, mostly because previous communal movements have been, in nature, prone to hegemonic disguises of either imperialist dictatorship or nationalist populism, They were not actually based on ordinary people's knowledge and participation. In this research, we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education in building such a harmonious humane community. Education is by definition a continuous dialogic endeavor to overcome the gap between ignorance and knowledge, the conflict between subjective agents and their social constraints. An ideal community here called 'educational community' is one in which People not only belong together but also become together.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everyone searches and supports a better co-existence. In order to be "educational", a community should be meaningful as well as functional for its every member. The present ethnographic case study has tried to discover and describe the culture of Sundle primary School and its surrounding community. The school under study has been continuously in a crisis to close for its population decrease from 1991. But a series of collective works done by parents, school staffs, and other community leaders has revived the school and its back-ground community. Now the school takes a vital role to (re)build an 'educational community' in a small valley town in central Korea. Researchers have observed Sundle Primary School and its community for almost two years. In the field, they have conducted both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ethnographic interviews to understand what makes such an educational community possible and how the people identify and solve the problems emerged in the process of their educational community building. They could find the Sundle people are very active to cure a "deep-seated disease" of Korean public schools.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alternativ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season camps, self-supportive evaluation meetings, community revitalization activities, and so on. Their focus was on finding out and establishing better educational relationships among concerned groups. As results, they could enjoy substantial success in achieving a widely awarded school as well as a visible educational community. Further research and data analyses are still on going by the resear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