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연구로의 질적 전환: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를 사례로

        서근원,이미종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youth identity studies from quantitative things to qualitative ones in the field of psychology and to determine what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es properly, including youth identity studies. According to Erickson (1968), Identity is a psychological social phenomenon that has properties of uniqueness, sameness, and persistence. Most of psychologists regarded identity as a reality in the individual’s mind and tried to explain the rules of identity by scientific research method. But the method could not make them comprehend the unique identities of individuals. For this reason, some psychologists have recently been trying to redefine concept of identity as a narrative recently. And they are trying to research the identity by narrative research method. It is an appropriate attempt to study identity as a psychological social phenomenon presented by Erickson. But they do not draw an entire picture of participant's unique identity because of their scientific research approach. This means that still there have not yet been any established methods suitable for researching narrative identity. To adequately study the identity as narr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with research subjects. Narrative identity inquiry can be an appropriate alternative. The transitional way to qualitative research is in field, not in book. 본 연구는 심리학 분야에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정체성의 개념과 연구 방법이 양적인 것으로부터 질적인 것으로 전환되어 가는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청소년 정체성 연구를 비롯하여 여타 분야의 질적연구가 적절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릭슨(Erickson, 1968)에 따르면 정체성은 심리사회적 현상으로서 고유성, 동일성, 지속성의 속성을 가진다. 심리학계에서는 그러한 정체성이 개인의 내면에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간주하고, 그것을 과학적인 연구 방법에 의해서 법칙적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각 개인의 고유한 정체성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런 이유에서 근래에 이르러서 일부 연구자들이 정체성을 내러티브로서 재정의하고,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 방법으로 정체성을 연구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것은 에릭슨이 제시한 심리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정체성을 연구하는 데 적절한 시도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내러티브로서의 정체성을 과학적인 논리를 기반으로 연구함으로써 각 개인의 정체성을 충실하게 밝혀내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다. 내러티브 정체성 연구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내러티브로서의 정체성을 적절히 연구하려면 연구 방법이 연구 대상에 일관되어야 한다. 내러티브 정체성 탐구가 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질적연구로의 전환은 언어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질적연구는 글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몸으로 깨닫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사의 딜레마와 수업의 의미

        서근원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아시아교육연구 Vol.6 No.2

        Nowadays, a teacher in Korean is regarded as a laborer and a sacred man at the same time. This implies that there are two aspects in teaching. In Korea, teachers are required to follow the curriculum operating system which regulates the contents, methods, and procedures of teaching. But the system is not applicable to each classroom situation. In this situation, if a teacher follows the system thoroughly, many of his students could not learn the subjects adequately. So teachers try to find out the way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follow the system and help their students learn the subjects at the same time. And this leads them to many different dilemmas. There are four kinds of dilemmas teachers meet in teaching: functional, structural,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dilemma.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dilemmas are the ones external, and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dilemmas are the ones internal. As teachers try to help their students learn the subjects more, they meet internal dilemmas. And, as they meet the internal dilemmas, they come to realize their own limits and search for a new capability. So, the internal dilemmas, or more specifically the ontological dilemma should be accepted as representing teacher's mode of being or the existential state of teacher. In this point of view, the teaching is an activity which is engaged in not only for the students but for the teachers themselves. And the teacher's own mode of being make people regard him as a sacred man. However, nowadays more and more people regard him as a laborer. This indicates that the school curriculum operating system has become rigid. So, if we want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allow teachers to meet the internal dilemmas by making the system more flexible. This is also the way in which we can help the student learn the subjects better. 오늘날 교사는 학교수업의 상황에서 기능적 딜레마, 구조적 딜레마, 인식론적 딜레마, 존재론적 딜레마를 경험한다. 이 가운데 기능적 딜레마와 구조적 딜레마는 수업을 외적으로 둘러싸고 있는 학교제도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외적 딜레마라고 할 수 있으며, 인식론적 딜레마와 존재론적 딜레마는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행위 그 자체로부터 비롯된다는 점에서 내적 딜레마라고 할 수 있다. 수업의 과정에서 교사는 학생의 학습을 고려하면 할수록 존재론적 딜레마를 경험하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를 자각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나간다. 그것은 교사의 존재양식이며, 실존이다. 이 점을 고려하면, 수업은 표면상으로는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일이지만, 그 이면에서는 교사가 자신의 한계를 자각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열어가는 과정이다. 바로 이 후자의 모습으로 인해서 우리는 교사를 성직자로서 대하고, 다른 노동자와 다르게 행동하기를 기대하고 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교사에 대한 성직자로서의 기대가 점차 약해지는 것은 교사가 수업의 장면에서 노동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운영체제를 유연하게 바꿈으로써 교사로 하여금 수업의 장면에서 내적인 딜레마를 경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을 충실히 고려하는 길이기도 하다.

      • KCI등재

        학교 혁신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 해석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서근원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alternative paradigm for school innovation. Until now, the Korean government has carried out many school reform policies with unsatisfactory results.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examine the problems with the policies and find alternatives to achieve effective school reform.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literature on the cause of the miscarriage of the Korean government's school reform policies. The literature points out that the conservative teacher culture, a bureaucratic administration system, top-down administration, policy makers' lack of understanding of schools, and the change to a postmodern society were the reasons for the policies' miscarriage. The literature also points out that the professional and autonomous participation of teachers is the key to success of school reform policies. This means that the existing policies have not succeeded in promoting teachers' professional participation, and thus they could not achieve what they had expected. Furthermore, the policies were analyzed based on politico-technological paradigms.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move to an educo-interpretive paradigm. The educo-interpretive paradigm seeks to understand the teacher's perspective, and to examine school problems and look for the solution to the problems from the teachers' viewpoints.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를 혁신하는 데 필요한 대안적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본 연구자는 기존의 학교 개혁이 왜 충분히 성공하지 못했는지를 규명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했다. 그것을 바탕으로 기존의 학교 개혁 정책이 어떤 패러다임에 근거하고 있으며, 기존 학교 개혁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떤 대안적 패러다임이 필요한지 모색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기존의 학교 개혁 정책이 성공을 거두기 어려웠던 원인으로서 보수적인 교사문화, 관료적 행정체제, 상의하달식 개혁 추진 방식, 정책입안자의 학교에 대한 이해 부족, 탈근대사회로의 변화 등을 지적했다. 이와 함께 학교 개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적이고 자율적인 참여가 중요함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이러한 사실은 학교 개혁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교사의 참여와 역할이 화살의 촉과 같은 역할을 함을 뜻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학교 개혁 정책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지 못했다는 것은 교사의 전문적이고 자율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데 충분히 성공하지 못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그리고 그 까닭은 기존의 학교 개혁 정책들이 정치-공학적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하여 입안되고 추진된 것과 관련이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연구자나 행정가가 교사의 관점을 이해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교육-해석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서근원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2

        이 글은 교육의 장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역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교육인류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교육인류학의 탐구와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맞춤형 교육은 탈공정의 교육을 추구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교민(敎民)의 교육으로부터 회인(誨人)의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도다. 그런데 회인의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메논의 역설이 존재한다. 이 역설은 언어적인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듀이가 제시한 역설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한 경험의 과정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교원이 학생으로 하여금 역설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해서 교과의 안목을 새롭게 형성하도록 하려면, 학생의 기존 안목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고, 학생의 문제 해결 과정을 학생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가운데 적절히 지원하거나 조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일을 적절히 하는 데 필요한 탐구와 실천의 방법을 갖추어야 한다. 문화인류학자가 내부자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적용하는 참여관찰 방법과 레빈이 사회적 실천을 위해서 적용한 실천탐구 방법을 수정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한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탐구와 실천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학교 현장의 교원들이 교육인류학의 이러한 탐구와 실천의 방법을 익히게 되면 교원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다양한 학생들을 탐구하고 각각에 알맞은 회인의 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인류학자가 해야 하는 실천은 워크숍을 통해서 학교 현장의 교원들에게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의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다.

      • KCI등재

        질적연구 수행의 의미

        서근원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 Until now there are many qualitative researches and literatures introduc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Korea.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literature inquires the meaning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 It means that we have lost some important point of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I studied these three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awareness of the issue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which are known to us, and on what they study, and what are the main questions each of them? Second, what can we find out from the overview on the qualitative researches?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doing qualitative research, and what should we do to do qualitative research adequately. From the study, I found this out. Doing qualitative research is not only just to apply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to one's research, but also to accept the awareness of issue and theoretical perspective premised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at he selects. So, If a researcher want to do qualitative research adequately, he should better define the awareness of issue and perspective of him, and select an adequat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his issue and perspective, or devise his own. That is the proper way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본 연구는 질적연구의 수행하는 일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 우리나라 교육학계에는 질적연구 관련 연구물과 질적연구 관련 안내서가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의 의미를 탐구하는 연구물을 찾아보는 것은 쉽지 않다. 그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질적연구의 또 다른 측면을 소홀히 해왔음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자는 우리에게 지금까지 알려진 질적연구가 각각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떤 연구대상과 질문으로 구체화되는지, 각각의 질적연구를 통해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등을 검토하고, 그 결과에 근거해서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질적연구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했다. 검토 결과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알게 되었다. 질적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은 단순히 질적연구 기법을 적용하는 것만 아니라, 각각의 질적연구가 전제로 하고 있는 문제의식이나 이론적 관점을 함께 수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질적연구를 적절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자신의 문제의식과 이론적 관점을 명확히 하고, 그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거나 새롭게 모색해야 한다. 그렇게 했을 때 우리의 교육 현실을 충실히 이해하고 적절한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KCI등재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새로운 과거: 쿠르트 레빈의 'action-research'를 중심으로

        서근원 한국교육인류학회 2020 교육인류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Kurt Lewin (1890-1947), famous progenitor of action research and social psychology. He wa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social practitioner. This will help us find a way of performing it in Korean school situation. Lewin had tried to establish Psycholog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from philosophy or physiology by scientifically explaining human behavior. The Field Theory was his answer to his project. The field is a subjective inter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a person. The field constructs his life space and determines his behavior. On the basis of field theory, Lewin tried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iscrimination between social groups of Jews and Anglo or black and white. He suggests that the spiral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diagnosis is necessar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He called this as social practice or rational social management. The ke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is an action that is able to transform the behavior determined by the field of a person. It is the ne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person to comprehend his life space from his perspective. A comparative experiment will let us find out the proper action to change his behavior. Lewin called this process of inquiry as ‘action-research.’ The ‘action-research’ of Lewin is an inquiry exploring an action that can change existing behaviors that caus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in intergroup relationships into new behaviors. The primary purpose of his ‘action-research’ is to transform the behavior of practitioner. It is a means to change society. The social practice and ‘action-research’ of Lewin would be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chools. Viewing from a pupil’s perspective can be a case of Lewin’s ‘action-research’ for Korean school teachers. 이 연구는 흔히 실행연구로 번역되는 ‘action research’를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실천가인 레빈(Kurt Lewin, 1890-1947)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action research’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빈은 인간의 행동(behavior)을 과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을 철학이나 생리학으로부터 독립된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했다. 그 목적을 위해서 그는 장이론(field theory)을 개발했다. 장은 한 사람의 주변에 놓여있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이 그의 의식 속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한 사람의 주관적인 생활공간(life space)을 구성한다. 한 개인의 행동은 그가 어떤 장에 놓여있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레빈은 이러한 장이론을 바탕으로 집단 간 차별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집단 간 관계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획, 실행, 사실-발견의 나선적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사회적 실천 또는 합리적인 사회 관리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적 실천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에 의해서 구속되는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행위(action)이라고 불렀다. 그런 행위를 찾기 위해서는 장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당사자들을 관찰하고 면담하여 그들의 생활공간을 그들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 실험 등을 통해서 그들의 기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을 찾아야 한다. 레빈은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action-research’라고 불렀다. 레빈의 ‘action-research’는 집단 간 관계에서 차별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기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행위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그러기 위해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가의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실천가들의 행동을 변화함으로서 사회를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레빈의 이러한 사회적 실천과 그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action-research’는 현재 한국의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그들은 왜 서로 다른 교사가 되었을까?:사회화의 다양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서근원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ause of the variety of socialization on the case of the students of Bright Moon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study, I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ocialization. For this study I in-dept-interviewed 11 graduates who had studied in Bright Moon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from year 2001 to 2007. I analyzed the data by the method of content analysis. I found out the followings. Bright Moon University of Education is established to educ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of Korea. Being in the university, the students inquired what is good teacher, and they established different types of good teacher. Mr. Joe, Pestalozzi, Freire, and Socrates are them. It is not only because of the curriculum of Bright Moon University of Education, but also the students' motive for entrance into the university, their expectation to the university, and their reception to the curriculum. Difference of these factors cause them establish different types of good teacher. This fact means that the students of Bright Moon University of Education socialize himself/herself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socialization is not singular passive process, but multiple active process. And socialization is not only reproduction process, but construction process too.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ostmodern concept of socialization. 본 연구는 사회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원인을 한국의 밝은달교육대학교 학생들의 교사화 과정을 사례로 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사회화를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는 2001년부터 2007년 사이에 한국의 밝은달교육대학교에 재학한 경험이 있는 11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내용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밝은달교육대학교는 한국의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고 운영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밝은달교육대학교 학생들은 밝은달교육대학교에 재학하는 동안 “좋은 초등학교 교사”가 되어야 함을 인식하고,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서 노력한다. 그 결과 그들은 “김선생님형”, “페스탈로치형”, “프레이리형”, “소크라테스형”과 같은 서로 다른 교사상을 형성한다. 그들이 서로 다른 교사상을 형성하게 된 것은 밝은달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들의 입학 동기, 학교에 대한 기대, 그에 따른 교육과정의 상이한 수용 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런 사실에 비추어볼 때 사회화는 수동적이고 획일적인 과정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다양한 과정이며, 사회를 재생산하는 과정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사회를 구성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