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한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 문헌적 고찰

        서권수,김선재,권주현,장재승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2017 대한구강악안면임프란트학회지 Vol.21 No.1

        Accurate impression is essential factor for prosthesis fabrication. Various impression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generate a definitive cast that will ensure the accurate clinical fit of implant fixed complete dental prosthesis. Intraoral scanners can take implant impressions using light beam without impression material or individual tray which were used by conventional technique. Also, digital implant impression can eliminate the distortion of impression material, infection, selection of tray and reduce the patients’ discomfort. Purpose of this study was taking the efficient digital impressions through knowing the characteristic and principle of various intraoral scanners. At 1986, Mormannn et al. developed the CEREC (Chairside Economical Restoration of Esthetic Ceramics, Sirona, Bensheim, Germany) system which was used to make inlay milling the feldspathic porcelain at chairside and this was beginning of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instruments at dentistry. There are many characteristic and limits of digital impression using intraoral scanner. Each intraoral scanner has specific instructions and principles. Obtaining digital impression using intraoral scanner with attention, it may express better result, reduce the time and cost than conventional impression technique. And it is considered to deliver satisfactory prosthesis to patients.

      • KCI등재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변인별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서권수(Gwon-su Seo),서혜애(Hae-Ae Seo)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교육청 영재교육기관에서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 가운데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9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서혜애, 박경희, 2005)’의 설문조사지를 우편 및 e-mail로 실시하였으며,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기간에 걸쳐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사변인별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 수준은 영재교육기관, 영재교육경력, 영재교육비율, 최종학력, 연수이수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교육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변인에 따른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구성요소별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원 교사가 영재학급에 비해 과학교육학지식(PCK) 및 교육맥락지식(ECK)이 높았으며,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과학지식(SMK)이 높게 나타났다. 영재교육경력 5년차에 5개 구성요소들이 균형 있게 확보되었으나 3, 4년 차에는 인식수준이 낮아졌다. 석사 및 박사학위 교사들은 학사에 비해 과학교육학지식(PCK)과 영재교육학지식(GPK)이 높았으며 연수이시수간이 61-180시간일 때 과학지식(SMK)이 181시간 이상일 때 과학교육학지식(PCK), 과학영재교육과정지식(SCK), 영재교육학지식(GPK), 교육맥락지식(ECK)이 높았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level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suggest directions for establishing their professionalism effectively. The research subject includes 9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under a given Education Office. As for methodology,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Seo & Park, 2005)’ was employed and administered via mail and e-mail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their perception levels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career of gifted education, ratio of gifted education vs general education career, highest degree earned, and hours of in-service training for gifted educ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gender and career in general education.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ments of their perception level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PCK) and educational context knowledge (ECK) were higher in gifted education center than gifted class;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SMK) were higher in male teachers than female teachers; all elements of SMK, PCK,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SCK),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GPK), and ECK were highest at the fifth year of gifted education career; PCK and GPK were higher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 than bachelor degree earned teachers; SMK was higher at 61-180 hours and PCK, SCK, GPK, and ECK were higher at over 181 hour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an the other hours.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서권수(Seo, Gwon-su),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의성은, 영재교육에서 핵심적으로 강조하는 교육방향이며,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창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성과도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교육청 소속 영재교사들 중 의도적으로 표집한 93명(전체 524명 중 17.7%)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편 및 e-mail로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개방형 설문문항에 응답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주요 항목들을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성 구성요소의 주요 범주에는, 발산적 사고 요소에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유용성, 유연성, 합리성이, 정의적 행위에는 개인이 몰입하거나 호기심을 나타내는 내적 방향과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것, 이타적으로 기여하는 것,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 결과적 행위에 사고하는 것, 실천적으로 만들거나 발명하는 것,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연결적 행위에는 기존에 없던 것을 독립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의 독립 발현과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는 것의 연결 발현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교사들은 창의성을 발산적 사고 요소의 새로움, 개인적 차원의 몰입, 나아가 사회적 맥락의 가치 등을 포함하여 균형 있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 교사들은 주로 영재교육원 소속이며 최종학력이 석·박사, 영재교육 연수를 심화 이상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향후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Creativity is a key educational direction emphasized in gifted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will vary depending on how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perceive creativity. In this study, among gifted teachers belonging to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5, 93 teachers (17.7% of the total 524) were intentionally sampled and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subject respond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by mail and e-mai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and categories of creativity, the main categories of creativity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ivergent thinking elements, affective behaviors, performing behaviors, and connecting behaviors. The components of divergent thinking include originality, fluency, sophistication, usefulness, and flexibility. The components of affective behaviors include that an individual has inside directions to show task commitment or curiosity, or outside directions to cooperate with others, contribute altruistically, and pursue social values. The components of performing behaviors include thinking, making and inventing, and solving problems while the components of connecting behaviors include creating new and noble things and reorganizing existing things. It was found that some teachers have a balanced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cluding novelty of divergent thinking elements, thinking or making behaviors, and even the value of social context. Teachers who perceive creativity in a balanced way mainly belong to the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findings about perceptions of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uture.

      • KCI등재

        디지털 인상법과 전통적 인상법의 정확도 비교: 체계적 고찰

        김경록,서권수,김선재,Kim, Kyoung-Rok,Seo, Kweonsoo,Kim, Sunjai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3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 및 인상의 정확성에 관한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구강 내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법이 전통적인 인상법을 대체할 만한 정확도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997년 8월 1일부터 2017년 7월 31일까지 출판된 영어로 쓰여진 연구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상법의 정확성에 대한 문헌을 MEDLINE/PubMed 전자 검색 및 수기탐색을 시행하였다. 조건에 따라 선택된 연구의 데이터를 스프레드 시트에 2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총 35개의 연구가 선택되었고, 26개의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성을 비교하였고 9개의 연구는 보철물 없이 스캔 데이터를 통해 인상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보철물을 이용해 인상법의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결론: 본 고찰에 따르면 자연치열에서 디지털 인상법으로 단일관이나 근원심으로 길이가 짧은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충분히 신뢰할만한 하다. 그러나 디지털 인상법으로 길이가 긴 보철물을 제작하는 것은 연구가 적어 아직 한계가 있다.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에 있어서 구내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법으로 전통적인 인상법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아직 어렵다. Purpose: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s literatures on the suitability of prostheses and accuracy of obtained impressions to see if digital impressions using intraoral scanners can replace traditional impressions. Materials and methods: A MEDLINE/PubMed search and manual search was performed for studies written in English about accuracy of digital impression published in dental journals from August 1, 1997, to July 31, 2017. Depending on criteria, the data for the selected articles were independently organized into standardized spreadsheets by 2 reviewers. Results: Among the total 35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re were 26 studies comparing the suitability of prostheses, and 9 studies comparing the accuracy of impressions through scan data without prostheses. Most studies used prostheses to compare the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s. Conclusion: This review suggests that making single crown or mesio-distally short prostheses with digital impressions is clinically reliable in natural teeth. However, there is still a limit to making mesio-distally long prostheses with digital impressions from the lack of related studies. Digital impression cannot fully replace traditional impressions in implant prostheses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