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돈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서광욱,민병로,최희철,이대원,Seo, K.W.,Min, B.R.,Choi, H.C.,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양돈농가의 사육규모별 양돈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의 돼지 1,000두 이상 사육농가 3,029호를 대상으로 돈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0두 이상을 사육하는 전업농가에서 7,229,892 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2,386.9두 이었다. 돈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 8월로 노후한 돈사가 많았으며 농가당 돈사면적은 $3,017.2\;m^2$이었다. 돈사의 건축형태는 윈치커튼돈사가 77.2%로 무창돈사 51.3%, 톱밥돈사 7.4, 고상식 4.6% 보다 많았으며 1,000~1,999두 사육 농가는 윈치커튼돈사가 80.6%로 무창돈사 43.6% 보다 많았으나 10,000두 이상의 대규모 농가는 무창돈사가 75.5%로 윈치커튼 돈사 56.6% 보다 많았다. 분뇨수거 형태는 슬러리 돈사가 72.3%로 스크레이퍼 돈사 38.5% 보다 많았으며 1,000~1,999두 사육농가의 슬러리돈사 72.3%에 비하여 10,000두 이상 사육농가는 슬러리가 83.3%로 대규모 농가에서 더 많았다. 지붕재질은 슬레이트 51.2%, 판넬 46.1%로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0,000 이상 사육농가는 슬레이트가 25.0%로 중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낮은 비율을 보였다. 돈사의 외벽체는 판넬이 41.9%로 가장 많았으며 블록 21.9%, 콘크리트 7.6%, 윈치커튼 6.3%, 벽돌 5.9% 이었다. 돈사의 환기방식은 자연환기 46.1%, 기계식 무창 44.1%, 자연환기+기계식 혼합형 53.1%로 자연환기보다는 기계식환기를 하는 농가가 많았다. 특히 규모가 클수록 기계식 무창의 비율은 69.8%로 소규모농가의 36.1%에 비하여 많았다. 돈사 시설의 사용년수는 급이라인 8.1년, 급수라인 8.3년, 전기시설 8.2년, 바닥재 9.0년으로 대부분 8년 이상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pig house facilities what are 3,029 houses hold over 1000 heads were surveyed by scale and province. Full-time farms hold over 1000 heads breed total 7,229,892 heads. And farms breed 2,386.9 heads averagely. Pig houses were constructed august 1995 averagely. Each of houses have $3,017.2\;m^2$ scale. The construction type of pig house was winch-curtain type 77.2% which was most popular, confined type 51.3%, litter type 7.4% and loft type 4.6%. The winch-curtain type was popular than windowless type in pig farms which have 1,000-1,999 heads. But pig house construction type which have more than over 10,000 heads was windowless type more than winch-curtain type. Manure removing type was slurry 72.3% and scraper 38.5% in farms which have 1,000-1,999 heads. Manure removing type was slurry 83.3% in farms which have over 10,000 heads. Proportion of roof type of pig house was slate 51.2%, panel 46.1%. But in middle or small farms, slate type was only 25.0%. Proportion of wall type of pig house was 41.9%, block 21.9%, concrete 7.6%, winch-curtain 6.3%, and bnck 5.9%. Ventilation type of pig house was natural winch 46.1%, mechanical windowless 69.8% and mixed type 53.1%. So, mechanical windowless type was popular than natural winch type. Especially the farm scale is bigger the mechanical widowless type was more. Utilization period of pig house was 8.1 years about automatic feeder, 8.3 years about waterer, 8.2 years about electric facilities and 9.0 years about floor material. Thus, almost of facilities were used at least 8 years.

      • KCI등재

        식도염 진단을 위한 영상 판별분석

        서광욱,이창우,김웅,이소연,이대원,Seo K. W.,Lee C. W.,Kim W.,Lee S. Y.,Lee D. W.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4 의공학회지 Vol.25 No.6

        디지털 내시경 영상에서 식도염 등의 이상부위를 검출하기 위하여 임상 영상의 색상과 텍스쳐 인자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판별분석에 의해 영상의 이상부위론 인식하 수 있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영상처리 인자들 중에서 어떠한 인자들이 정상과 이상 부위를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 인자가 되는지를 구명하였다. 이 특징 인자들을 이용하여 식도염의 중요한 진단기준이라 할 수 있는 미란 및 궤양에 대한 검출을 수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개의 영상 이미지를 사용하였으며 판별분석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때 보정단계와 검증단계의 성공률은 각각 92.8%와 92.4%를 나타내었다.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was developed and tested to detect abnormal parts, such as esophagitis, with the information on the color and the texture in a digital clinic endoscopic image by using discriminal analysis. In order to develope the algorithm, the critical parameters from many parameters were found to distinguish between normal and abnormal part in the various images. The Inflammation and ulceration which are very important diagnostic indexes were detected by the algorithm. The algorithm proved to a reliable program for detecting abnormal parts with 20 images. A success rate was 92.8% and 92.4% in the calibration stage and the validation stage by using the algorithm with discriminal analysis.

      • KCI등재

        논문 : 정보처리 및 복합기술 ; 젖소 체중추정을 위한 영상처리 알고리즘

        서광욱 ( K. W. Seo ),김현태 ( H. T. Kim ),이대원 ( D. W. Lee ),윤용철 ( Y. C. Yoon ),최동윤 ( D. Y.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1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6 No.1

        The computer vision system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to measure the weight of a dairy cattle. Its development involved the functions of image capture, image preprocessing, image algorithm, and control integrated into one program.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the model dairy cattle and the real dairy cattle by two ways. First experiment with the model dairy cattle was conducted by using the indoor vision experimental system, which was built to measure the model dairy cattle in the laboratory. Second experiment with real dairy cattle was conducted by using the outdoor vision experimental system, which was built for measuring 229 heads of cows in the cattle facilities. This vision system proved to a reliable system by conducting their performance test with 15 heads of real cow in the cattle facilities. Indirect weight measuring with four method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image processing system, which was the same system for measuring of body parameters. Error value of transform equation using chest girth was 30%. This error was seen as the cause of accumulated error by manually measurement. So it was not appropriate to estimate cow weight by using the transform equation, which was calculated from pixel values of the chest girth. Measurement of cow weight by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rom top and side view images has relatively less error value, 5%. When cow weight was measured indirectly by image surface area from the pixel of top and side view images, maximum error value was 11.7%. When measured cow weight by image volume, maximum error weight was 57 kg. Generally, weight error was within 30 kg but maximum error 10.7%. Volume transform method, out of 4 measuring weight methods, was minimum error weight 21.8 kg.

      • KCI등재

        농촌형 녹색마을에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시설재배 및 농업기계의 CO<sub>2</sub> 배출량 분석

        김종구,유영선,강연구,김영화,장재경,김현태,서광욱,이승기,조희제,강지원,Kim, J.G.,Ryou, Y.S.,Kang, Y.K.,Kim, Y.H.,Jang, J.K.,Kim, H.T.,Seo, K.W.,Lee, S.K.,Cho, H.J.,Kang, J.W. 유기성자원학회 2011 유기물자원화 Vol.19 No.1

        화석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면서 $CO_2$ 배출량을 낮추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녹색마을을 선정하고 에너지 자급률을 40% 수준으로 높이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본 연구는 각 농업 분야 중에서 농기계의 사용과 재배 시설에 있어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고 이를 바이오디젤로 대체하였을 때의 $CO_2$ 저감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업 각 분야별 에너지 소비수준의 분석, 그리고 실천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원의 선정이 요구된다. 경종재배의 전체 연간온실가스 배출량은 $5,667,258\;t-CO_2$이고, 그 중 시설 부문은 $4,932,607\;t-CO_2$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농업시설 부문 중 에너지원별로 보면 경유가 $3,105,707\;t-CO_2$, 중유가 $1,370,578\;t-CO_2$를 배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시설작물의 단위 면적당 온실가스 평균배출량은 $29,418\;t-CO_2/ha$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기계별 2007년 총에너지소비량을 살펴보면 트랙터가 284,763 k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력 경운기 221,314 kL, 곡물건조기 145,524 kL, 콤바인 72,537 kL 등의 순이었다. 전라북도 G시를 대상으로 이용 중인 시설재배와 농업기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바이오디젤로 전환하면 약 7% 정도의 $CO_2$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reduce dependence on the fossil fuels and $CO_2$ gas emission in farming activities, the government has pushed ahead with making the self-sufficiency of farming energy up 40% level in green villag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the energy consumption of horticultural facilities or agricultural machineries, and to analyze the reduced $CO_2$ gas emission level from fossil fuel to bio-diesel fuel. For the implemen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level in the various sector of farming activities, and avail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should be selected. Annual total $CO_2$ gas emission in the tillage farming sector was analyzed as $5,667,258\;t-CO_2$ and that in the horticultural facilities occupied $4,932,607\;t-CO_2$, while the $CO_2$ gas emission level of diesel fuel was $3,105,707\;t-CO_2$, and that of the heavy oil showed $1,370,578\;t-CO_2$. The average $CO_2$ gas emission level of horticultural facilities in the country was analyzed as $29,418\;t-CO_2/ha$. Among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agricultural machineries, tractor used 284,763kL, power tiller spent 221,314 kL, grain drier consumed 145,524kL and combine tractor expend 72,537kL. From the comparison of $CO_2$ gas emission level between fossil fuel and bio-diesel fuel for the horticultural facilities or agricultural machinery in G-City, Jeonbuk Province, the $CO_2$ gas emission level can be reduced by 7% through replacing the fuel from fossil to biodiesel.

      • KCI등재

        농촌형 녹색마을에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한 시설재배 및 농업기계의 CO2 배출량 분석

        김종구(J.G. Kim),유영선(Y.S. Ryou),강연구(Y.K. Kang),김영화(Y.H. Kim),장재경(J.K. Jang),김현태(H.T. Kim),서광욱(K.W. Seo),이승기(S.K. Lee),조희제(H.J. Cho),강지원(J.W. Kang) 유기성자원학회 2011 유기물자원화 Vol.19 No.1

        화석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면서 CO2 배출량을 낮추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녹색마을을 선정하고 에너지자급률을 40% 수준으로 높이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본 연구는 각 농업 분야 중에서 농기계의 사용과 재배 시설에 있어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고 이를 바이오디젤로 대체하였을 때의 CO2 저감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업 각 분야별 에너지 소비수준의 분석, 그리고 실천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원의 선정이 요구된다. 경종재배의 전체 연간온실가스 배출량은 5,667,258 t-CO2이고, 그 중 시설 부문은 4,932,607 t-CO2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농업시설 부문 중 에너지원별로 보면 경유가 3,105,707t-CO2, 중유가 1,370,578 t-CO2를 배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시설작물의 단위 면적당 온실가스 평균배출량은 29,418 t-CO2/ha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기계별 2007년 총에너지소비량을 살펴보면 트랙터가 284,763 k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력 경운기221,314 kL, 곡물건조기 145,524 kL, 콤바인 72,537 kL 등의 순이었다. 전라북도 G시를 대상으로 이용 중인 시설재배와 농업기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분석한 결과,바이오디젤로 전환하면 약 7% 정도의 CO2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order to reduce dependence on the fossil fuels and CO2 gas emission in farming activities, the government has pushed ahead with making the self-sufficiency of farming energy up 40% level in green villag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urvey the energy consumption of horticultural facilities or agricultural machineries, and to analyze the reduced CO2 gas emission level from fossil fuel to bio-diesel fuel. For the implemen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nergy consumption level in the various sector of farming activities, and avail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should be selected. Annual total CO2 gas emission in the tillage farming sector was analyzed as 5,667,258 t-CO2 and that in the horticultural facilities occupied 4,932,607 t-CO2, while the CO2 gas emission level of diesel fuel was 3,105,707 t-CO2, and that of the heavy oil showed 1,370,578 t-CO2. The average CO2 gas emission level of horticultural facilities in the country was analyzed as 29,418 t-CO2/ha. Among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agricultural machineries, tractor used 284,763kL, power tiller spent 221,314 kL, grain drier consumed 145,524kL and combine tractor expend 72,537kL. From the comparison of CO2 gas emission level between fossil fuel and bio-diesel fuel for the horticultural facilities or agricultural machinery in G-City, Jeonbuk Province, the CO2 gas emission level can be reduced by 7% through replacing the fuel from fossil to biodiesel.

      •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분석

        민병로,서광욱,최희철,이대원,Min, B.R.,Seo, K.W.,Choi, H.C.,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젖소농가의 사육규모별 축사시설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9개도시의 젖소 50두 이상사육농가 4,198호를 대상으로 축사시설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두 이상 전업농가에서 344,514마리를 사육하였으며 농가당 50~99마리 사육규모가 78.9%로 대부분이었고 농가당 평균 사육두수는 82.1두 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 시기는 평균 건축연도가 1995년 9월로타 축종에 비하여 노후한 편이었으며 농가당 축사면적은 $1,740.0\;m^2$이었다. 젖소 우사의 건축형태는 톱밥우사 84.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후리스톨 5.1%, 계류식+톱밥 운동장 17.3%, 기타 4.4%이었다. 규모별 우사의 건축형태는 소규모 농가에서 톱밥우사가 많은 반면, 대규모 농가에서는 후리스톨이 10.9%로서 소규모 농가의 후리스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착유시설은 파이프라인 41.5%, 헤링본 22.8%, 탠덤 35.8% 이었으나 50~99두의 소규모 농가는 파이프라인이 48.0%로 많은 반면, 200두 이상에서는 헤링본 38.3%, 탠던 48.9%로 착유실 착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우사 바닥은 깔짚이 94.9%로 스크레이퍼에 비하여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나 대규모 농가에서는 스크레파가 13.1%로 소규모 농가의 6.4%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유우사 지붕의 재질은 슬레이트 32.5%, 비닐 16.3%, 썬라이트 11.1%, 판넬 10.9, 함석 8.8, 강판 8.3%로 조사되었다. 1995년 이전에는 슬레이트가 많았으나 1995년 이후 비닐지붕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농가에서도 비닐지붕이 23.8%로 소규모 농가에 비하여 많았다. 우사 외벽 재질은 개방식이 83.3%이며 윈치커튼이 26.8%로 대부분 개병형 우사 이었다. 젖소 사육시설의 사용년수는 착유기 9.2년, 사료자동급이기 7.9년, 급수기 9.2년, 전기시설 10.4년으로 최근 사료자동급이기의 시설개선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research dairy cattle barn facilities what are 4,198 houses hold over 50 heads were surveyed by scale and province. Full-time farms hold over 50 heads breed total 344,514 heads. Each of Farms holds 50 to 99 heads were 79.8 percent and breed average 82.1 heads. Dairy cattle barns were constructed september 1995 averagely. Each of barns have $1,740.0\;m^2$ scale.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ring+li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he litter barn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But in large farms, freestyle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The construction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barn type 84.0%, freestyle type 5.1%, moohng+ltter ground type 17.3% and other types 4.4%. Type of dairy cattle robotic milking system was pipeline 41.5%, herringbone 22.8% and tandem 35.8%. The pipeline type was popular in small farms which have 50~99 heads. But in large farms which have over 200 heads, tandem type was popular than small farms. Proportion of floor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litter type 94.9%. Scraper type was popular in large farms than in small farms. Proportion of roof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slate 32.5%, vinyl 16.3%, sunlight 11.1%, panel 10.9, zinc plate 8.8 and steel plate 8.3%. Roof type was lots of slate type before 1995. But vinyl type is increasing after 1995. Proportion of wall type of dairy cattle barn was almost open type 83.3% and winch-curtain 26.8%. Utilization period of dairy cattle barn was 9.2 years about milker, 7.9 years about automatic feeder, 9.2 years about waterer and 10.4 years about electric facilities. In this results, there were lots of improvements about automatic feeder.

      • 축산농가를 위한 대규모 목초지 방제용 고속 팬의 실험을 통한 색소 분포에 따른 분석

        김창수,민병로,서광욱,이대원,Kim, C.S.,Min, B.R.,Seo, K.W.,Lee, D.W. 한국축산환경학회 2009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5 No.2

        방제기 분야에서 전통과 기술력이 인정받고 있는 일본 마루야마사에서 개발한 원거리 고속팬과 비교실험을 하였다. 비교 실험 결과 일본 마루야마사에서 개발한 원거리 팬은 120m 살포를 한 반면 자체 개발한 원거리 방제기 고속팬은 160m 까지 살포가 가능하였다. 지금까지 원거리 방제기는 일본에서 개발된 제품을 수입하여 국내에 보급하였으나 앞으로는 성능, 가격 및 A/S 측면에서 유리한 국산 원거리 방제기가 시장을 점유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험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플라스틱컵을 사용하였다. 컵의 배치는 10m 간격으로 종방향 5개, 횡방향 18개 총 90개를 설치한 후 원거리 고속 방제기가 이동하면서 분사한 양을 보고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분무지점에서 분무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거리를 5m 간격으로 고정하고, 분무량과 수평을 이루는 지점에 따른 분무량 및 관찰자 4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균을 구했다. 방제기가 출발하면서 살포한 경우 0m의 경우와 방제기가 정지하면서 살포를 중지한 20m의 경우 살포가 잘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기가 출발하면서 살포한 경우 10m에서 높은 살포량을 나타냈다. 방제기가 15m 이동했을 때 20m 구간에서 가장 높은 살포를 보였다. 실험결과 방제기가 출발하면서 방제한 경우와 방제기가 포착하면서 방제를 정지한 경우를 제외하고 전 구간에서 일본 마루야마사의 방제기 보다 높은 살포량을 보였다. We conducted a comparison experiment of our wide-area spraying high speed fan with a fan which was developed by Japan MARUYAMA Inc. have been much recognized for it's history and skills in a field of spraying machine. In result, MARUYAMA Inc. fan sprayed up to 120 m and, on the other hand, wide-area spraying high speed fan of our own making was able to spray up to more than 160 m. Wide-area spraying machine have been supplied to domestic demands by importing from Japan, but it is determined to be possible that home products will occupy market for it's ability, price and A/S environment in futur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below. Some plastic cups which are in the open market are used for our experiment. After distributing 90 cups in a range of 10m vertically with localizing 5 cups horizontally and 18 cups vertically, spraying machine was moved and finally we make distribution charts by estimating the sprayed amounts on each cup. Vertical distance was set up to 5m and we calculated average values by using sprayed amount and data of 4 observers. In result our fan showed much sprayed amounts than MARUYAMA Inc. all over the field except situations of vehicle departing and stop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