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부산항 : 부산항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탐(試探)

        서광덕(Seo, Kwangde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Takeshi Hamashita, a leading Japanese scholar who sought to grasp Asia in diverse regional relations, conceived the modern era of East Asia by conceptualizing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East Asia and the East Asian region as a tribute system in his hesitation, The tribute System and Modern Asia. In East Asia, the traditional tributary system was formed as a co-existence method, which meant the interrelationship in which multi-cultural networks operated with a complex regional relationship, not a single center. What is meaningful in Hamashita"s logical structure is the deployment of a third port beyond the concept of binomial confrontation, which is an attempt beyond the dual alternative perception of Quantum choice. And this medium is the network. He said that the history of East Asia since the mid-19th century can be understood by the formation of a field network in Asi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East Asian history of Europeanization and confrontation with Europe. The principle of wide-area order in Asia,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countries, needed a wide-area merchant network, and this was the driving force of modern Asia. This article examined the status of Busan by using Hamashita"s view that the network between the city and the city, which opened in the waters of Northeast Asia, is the formation of a network of open port network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ither Busan Research or Busan Studies, which review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checked the deficiencies in the conventional study from the external perspective of the open port network. Since the Joseon Dynasty, Busan has provided a space called "倭館" for Japanese trad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Waegwan (Waegwan) was transformed into a Japanese land and remained until before liberation. As su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twork, Busan is historically closely related to Japan. This is an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Busan Studies or Busan personality. However, since modern times, Chinese and Westerners have also visited and resided in Busan Port, in addition to the Japanese. Although the lack of data has not activated the relevant research, this is a clear fact. The achievements of Asian researchers such as Ryota Ishikawa disprove this. The activities of a Chinese merchant in North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a settlement of the Qing Dynasty in Busan are typical examples.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the initial Busan burn also came from Japan. This shows that one important axis connecting the open port network in Northeast Asia was the network caused by burns. Japanese occupation after the video due to decrease the number of Chinese since, and working class to find a job of Busan, Korea, but expand further as the advent of the video is an open portCompare favorably to show the network. The Japanese occupation of Busan for entry to the continent as the entrance of Japan. It was a crowded place where people came by Busan Shimonoseki Ferry and tried to head for Manchuria. Busan Station, built near the port of Busan, was built earlier to transport them to Manchuria. During this period, Busan was actively used as a port for Japan"s advancement into the continent along with Najin(羅津) and Cheongjin(淸津). As the function of Busan Port and the occupations of residents were defined by Japan, Busan Port seems to be out of the existing open port network, but it still functions as a physical network and as a mediated port of human network of human movement. After liberation and through the Korean War, Busan became a city of refugees in its traditional form, namely the colonial legacy that Japan left behind. On top of the traces left by the Japanese, fault lines due to the devastation of the war were piled up, and the birth of the marine industry began with modernization. Busan personality was sprouting right here.

      • KCI등재

        동북아해역 근대 지식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사 검토- 서학(西學)의 수용과 한국 근대지(近代知)의 형성을 중심으로

        서광덕(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0 No.3

        근대 지식의 수용 그리고 근대 학문의 수립 과정에는 우선 근대 지식으로 대변되는 서구의 학문 곧 서학-물론 이 서학의 범위도 광범위하지만 통칭해서 부른다면-이 어떤 방식으로 동아시아에 전래되었고, 동아시아 지역내에서는 또 어떻게 유통되었는지를 살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서학의 내용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내용을 담고 있는 서적은 어떤 것이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그 다음은 그 서적이 어떻게 전파되고 보급되었는지 또 서학을 배운 사람들은 어떤 네트워크를 통해 그 내용을 공유했는지 하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학문과 그것을 학습한 이들과의 사이에 갈등과 대립이 발생한다. 이 과정은 종교적, 사상적, 과학적, 운동적 측면이 얽혀서 작동한다. 한국을 비롯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기독교 수용과 함께 일어난 충돌은 실로 대단했고, 과학으로 대변되는 서구 근대학문의 토대는 종래의 전통적인 학문과는 결합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인문학적 바탕 위에서 전개된 전통과 근대의 대립은 긴 시간에 걸쳐 전개되었고, 그 가운데 번역어의 탄생과 개념의 번역이란 형태를 통해 소위 서구의 근대 지식을 전유해나갔다. 초기 새로운 지식의 수용에 따른 혼란은 점차 제도화를 통해 정착되어갔는데, 동아시아 각국은 대학을 비롯한 교육 기관을 설치하여 이를 강고하게 만들었다. 국가에 의해 설치된 이와 같은 기관 밖에서는 출판을 통해 지식의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여기서 출판(또는 서적상)이 공식적인 학교와 다른 차원에서 근대 지식의 전파를 수행한 점에서 주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처럼 동북아해역에서 전개된 근대 지식을 둘러싼 (유통)네트워크의 양상에 대한 검토는 방대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게다가 근대 지식이 단지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그 내부에서 성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횡적인 검토가 중요하다. 또 이것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종적으로도 점검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래서 이 논문에서도 어떤 특정한 지역과 시대를 규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시기적으로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까지를 설정하고 지역은 동북아해역으로 한정하여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In the process of accepting modern knowledge and establishing modern scholarship, Western scholarship, Western scholarship represented by modern knowledge, of course, has been introduced to East Asia in a certain way, You should look at how it was circulated. To do this, we need to understand what the content of the book is and what the book contains. The next point is how the book was disseminated and distributed, and what network people learned to share it. In this process, conflicts and conflicts arise between traditional learning and those who have learned it. This process works by intertwining religious, ideological, scientific, and kinetic aspects. The conflicts that occurred with the acceptance of Catholicism and Christianity in Korea and East Asia were really great, and the foundations of Western modern science represented by science were difficult to combine with traditional traditional scholarship.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developed on this humanistic basis has been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modern knowledge of the so - called Western world has been totally destroyed through the form of translation and the concept of translation. The confusion caused by the acceptance of the early new knowledge gradually became establish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East Asian countries established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trengthened them. Outside of such an institution set up by the state, popularization of knowledge was achieved through publishing.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publication (or book prize) is carried out in the dissemination of modern knowledge at a different level than the official school. The review of the aspects of the network surrounding the modern knowledge developed in the sea area of ​​Northeast Asia is an enormous task. This is important because of the fact that modern knowledge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geographical area but grown within it. In addition, since this is constantly flowing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t must be checked longitudinally. Therefore,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set, and the region is limited to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the researcher is reviewed.

      • KCI등재

        근대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

        서광덕(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2

        이 글은 중국이 지식의 차원에서 어떻게 전세계에 연구의 대상이 되었는지, 그 가운데중국인들은 자신을 어떻게 학문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는지를 ‘국학’이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1990년대 후반 ‘국학’에 대한 분석에서 중국의 연구자들은 학문 영역으로서 국학의 해석은 두 가지 패러다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것은 바로 토착주의와 세계주의 패러다임이다. 다시 말해 근대 백 여 년의 역사에서 국학과 관련된 학술적 논의가 반복해서 이 두 패러다임으로 작동해왔다는 말이다. 토착주의라고 부를 수 있는 첫 번째 패러다임은 장타이옌(章太炎)으로 대표되는 만청과 공화정부 초기의 학문이고, 후자는 오사신문화운동의 산물로서 후스(胡適)가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특히 이 ‘국학’의 형성과정에 동북아해역의 인문네트워크적 계기가 어떻게작동했는지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중국에서 ‘국학’은 서학에 대한 대응학문으로서 또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에 필요한 기초학문으로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이 성립되는과정에 메이지 일본의 국수보존주의에 영향을 받았고, 또 실제적인 연구에서도 일본 동양학의 성과가 수용되기도 했다. 그 결과 중국의 ‘국학’은 일본의 지나학과 서로 관계를맺으면서 성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그 국가의 고유한 것만을 추구한다는‘국학’은 사실은 하나의 운동이며, 또 폐쇄적인 공간에서 탄생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China has become a subject of study around the world in terms of knowledge, and how Chinese people tried to identify themselves academically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 Learning’. In the analysis of ‘national learning’ in the late 1990s, Chinese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national learning as a field of study was formed by the dynamic interaction of two paradigms. It is a paradigm of indigenism and worldism. In other words, scholarly discussions related to nation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the past hundred years have repeatedly worked with these two paradigms. The first paradigm that can be called indigenism is the study of the last period of Qing Dynasty and the Early of Republican governments, which are represented by Zhang Taiyan, and the latter is the product of the 54 New cultural Movement, which are represented by Hu Shi. In particular, we paid attention to how the human network in Northeast Asia work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is ‘National Learning’. In China, ‘National Learning’ was recognized as a basic science for the formation of a modern nation state and as a study of the response to Western Studi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awareness, modern Chinese intellectuals was influenced by the essence of national culture Conservationism of Meiji Japan, and accepted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in actual research.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Chinese ‘National Learning’ was established by making a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Chinese Studies(支那學). In this sense, the ‘National Learning’, which pursues only the unique aspects of the country, is in fact a movement, but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not born in a closed space.

      • KCI등재

        동북아해역인문학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 부경대 HK+사업단 아젠다 연구와 관련하여

        손동주(Son Dongju),서광덕(Seo Kwangde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국내 인문학계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바다를 대상으로 새로운 인문학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것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프로젝트에 선정된 여러 사업단에 의해 전개되었으며, 부경대학교 HK+사업단도 이 가운데 하나로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부경대학교 HK+사업단의 아젠다는 동북아해역에서 전개된 다양한 인적 · 물적 교류 및 이와 함께 발생한 다양한 문화의 수용과 변화를 조사하여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 존재하는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근대 이후의 바다는 전쟁의 바다였다. 이것은 동북아지역에 상존하고 있는 갈등과 대립의 씨앗이 바다에서 시작되었다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부경대 HK+사업단의 아젠다는 1980년대 이후 국내 지식계에 등장한 동아시아 담론이 제기한 문제의식과 상통한다. 따라서 부경대 HK+사업단이 추구하는 동북아해역인문학의 성립은 바로 지금까지 해양사를 비롯한 다양한 인문학 분야의 해역 연구가 현재적 문제를 푸는 대안적 가능성을 어느 정도 갖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인문학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학계의 해역과 관련된 인문학 연구를 검토하고, 부경대 HK+사업단의 3년간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했다. Research in the humanities field related to the ocean (sea) in Korea has been active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for this, but above all, it was triggered by an interest in the sea as an object of increasing crisis consciousness in the humanities itself and the search for postmodernism. Research to cultivate new humanities thinking on the ocean (sea) has been conducted in the domestic humanities world for the past 20 years. This trend was conducted jointly by several project groups selected for the Humanities Korean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University is also conducting research in that rank.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sults of humanities research related to the ocean (sea), and to examine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e agenda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s a practical approach to overcom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that exist in the current East Asian region by investigating variou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n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different cultures that have occurred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after the modern era. I want to pursue a plan. This somewhat overlaps with the consciousness of problems raised by East Asian discourses that have emerged in the domestic intellectual world since the 1980s.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Northeast Asian marine humanities pursued by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K+ project group can ultimately be established depends on the degree of alternative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rine research in various humanities fields including maritime history has tried to solve so far. . Focusing on this point, we reviewed the humanities research related to the sea area of Korean academia,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HK+ project group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for three years, and explor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MMT 프로토콜을 활용한 타일 기반 적응형 비트율 스트리밍을 위한 영상 분할 정보 전달 기법

        안은빈(Eunbin An),김아영(Ayoung Kim),서광덕(Kwangdeok Seo)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0 No.7

        본 논문에서는 360 도 VR 영상을 전송하는 기법의 일종인 타일 기반 전송을 MMT(MPEG Media Transport) 프로토콜 기반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영상의 공간 분할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360 도 VR 영상 전송은 대용량 미디어 전송인 동시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신속하게 적응적 영상을 전달해야 한다. 타일 기반 전송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의 MCTS(Motion Constrained Tile Sets) 기법을 이용하여 뷰포트에 해당하는 타일들을 고화질로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요구사항을 해결한다. 반면, MMT 프로토콜은 초저지연 고화질 영상 전송에 유리한 기술로써 사용자의 시점 변화에 따라 기민하게 영상의 품질을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HEVC 의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메시지에 포함되는 타일들의 공간 분할 정보를 MMT 프로토콜에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적응적 타일 기반 전송 기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