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상 : 대학 교양교육과 『논어』

        부남철 ( Nam Chul B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동양고전인 논어를 교양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교육해온 영산대학교에서의 교육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이것은 대학의 인문학 교육에 있어서 현재까지 국내에서 유일한 사례이며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대학의 강의실에서 적용하려고 했던 그 교육 방법에 있어서 실험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먼저 대학에서 왜 논어를 교양과목으로 교육해야하는지 그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먼저 2가지 이유를 말한다. 모두가 인문학고전 교육이 중요하다고 동의하지만 목록만 추천할 뿐 실제로 그런고전을 읽게 하는 실제적 교육에 있어서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상황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었고, 또한 논어 교육이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계승 발전을 중시하는 대학의 교육목적에서 설치되었다는 점도설명한다. 그러면서 논어 교육이 특히 인성 교육과 고전 학습을 통한지성의 함양이라는 목적이 있다는 점에 대해서 상술한다. 그러면서 논어가 위기지학의 인격수양을 강조하는 책이기에 그 교육에 있어서는 자율적인 인격 수양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점에 역점을 두어야하며 논어라는 책이 단지 진부한 고전이 아니라 현실의 삶 속에서 여전히 살아있는 지혜의 보고임을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는 작업이 중요함을 역설한다. 강의 방법에 있어서는 조선시대와 같이 논어 본문에 토를 붙여서 읽게 할 것인지, 집주까지 소개할 것인지와 같이 논어를 대학 강의실에서 학기단위로 강의할 때 고려해야 하는 문제들에 대해 서술한다. 그런 다 음에 논어 교육에 필요한 교재를 소개한다. 조선시대에 간행된 논어언해로부터 현대의 다양한 논어 역주서를 소개하고 논어 교육과 학습의 변천사를 설명하면서 이런 자료들을 논어 교육에 어떻게 참고할 것인지를 모색한다. 이어서 1997년부터논어를 교육해온 영산대학교에서의 교육과정과 교육 사례를 분석한다. 논어와 동양고전 관련 과목의 개설과 운영과 그 변천에 대해 서술하면서 현재 논어의 교육 비중은 개교 당시와 비교해서 절반으로 축소되었지만 그것이 동양고전 관련한 다양한 과목으로 분화되었다는 점을설명한다. 이런 논어에 대한 강의 평가가 교양필수과목이지만 결코 다른 과목에 비해서 낮지 않았다는 사실도 소개한다. 그러면서 논어강의가 영산대학교에서의 인문학 교육의 상징적 과목으로서 실제적인 교육성과를 거두었고, 대학에서의 동양고전 교육의 한 모범적 사례가 되었다고 평가한다. This is a case study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t Youngsan University that has offered required courses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o its undergraduate students. This program has been unique among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it represents an experimental effort to br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approach to a modern classroom. Only a small number of traditional Confucian academies and institutes for East Asian Classics translation continue the traditional teaching program. Thus, the program at Youngsan University even sparked some controversy among some faculty and students. Here I first elucidate on the goals of teaching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Youngsan University. They include "encouraging being an educated gentleman," providing timeless values from the East Asian classics, and basic knowledg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Other parts of the paper deal with the teaching methods of the Analects in the classrooms, and various editions of textbooks on the Analects. The Analects has been an integral part of the liberal art curriculum at Youngsan University since 1997, but its importance has declined somewhat as there are critics who opposed the teaching of the Analects as a requirement. On the other hand, we have been able to develop teaching methods on the Analects developed, and more courses are now offered on the related field of East Asian Classics. Although it was a requirement, course evaluations by students have been quite favorable. In the end, the teaching of the Analects can be considered a success, and it represents one of the exemplary humanities courses on the East Asian classics.

      • KCI등재

        특집 : 학자군주 正祖의 리더십에 대한 재평가

        부남철 ( Nam Chul Bu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3 동양문화연구 Vol.13 No.-

        학자군주로 유명한 정조는 세종과 더불어 조선의 대표적인 성군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렇지만 그가 유학에 대한 공부를 많이 했고 학자군주로 자부했던 만큼 신하들을 학생 다루듯이 했다고 오해할 수 있다. 또한 그가 유학적신념이 분명했던 군주이기에 이단 문제에 있어서는 의례 강경하게 대응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으나 그는 천주교나 불교에 대해서 관용적이었으며, 한편으로 그가 당쟁이 치열했던 그런 시대의 군주였기 때문에 그가 군주권의 유지와 강화를 위해 권모술수를 쓰면서 전략적 방식으로 인사 문제를 다루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사실, 학계나 일반에서는 정조에 대해서 어느정도는 위와 같은 평가를 하고 있다. 필자는 이런 평가는 부분적으로 사실과 다르거나 일부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그의 리더십을 다시 살펴보았다. 그러면서 이런 분석을 위해 정조의 학문과 학자에 대한 태도, 이단에 대한 대응 방식, 인사정책이라는 3가지 측면을 주목하여 분석했다. 그런 결과, 정조는 학자군주로 자임했지만 학자관료들과 더불어 학문과 정치에 대해토론하기를 즐겼을 뿐 결코 교조적인 교사와 아니었다는 평가할 수 있는 측면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단 문제에 대해서는, 정조는 유교라는 이념에 종속되기보다는 모든 백성의 삶을 책임지는 군주의 위치에서 백성의 목숨을 소중히 여기는 그런 마음을 갖고 대했다는 정치를 했다는 점에 대해 서술했다. 정조의 이런 태도는 이중적인 처신이라고 비난받기 보다는 온 백성을 보살펴야 하는 의무를 지닌 군주로서는 당연한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3) 인사정책에 있어서도 세력균형이나 전략적인 측면을 고려한 점이 있었겠지만 그가 항상 인사에 있어서 공적인 판단을 유지했다는 점과 이에 더하여 신하들과의 인간적인 정서와 우정을 소중히 하는 그런 태도를 견지하였다는 점을밝혔다. 필자는 정조의 위와 같은 생각과 태도가 그의 리더십을 공고하게 하는 그런 요소로 작용하였다고 평가하였다. King Jeongjo, one of the great kings of the later Joseon period, has often been criticized for his scholarly dogmatism, ideological inconsistency, and Machiavellian tactics at the court. There have been a number of misconceptions about the king. For example, it has been asserted that the king, who enjoyed the prestige of a scholar-king, was condescending to his officials by treating them as his own students. While he regarded himself as the guardian of the Confucian civilization, his policies also reflect much tolerance for Catholicism and Buddhism that were considered heterodoxy by Confucians. King Jeongjo was also said to have been a master schemer in court politics and used personnel decisions in governmental appointments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throne. However, these conventional views were much exaggerated. A closer examination of King Jeongjo`s attitude toward his scholar-officials reveals that the king took pleasure in debates with his ministers and that he did not subscribe to the Confucian dogmatism. Jeongjo`s religious policies may be criticized for his failure to defend the Confucian orthodoxy, but the king was not a blind follower of Confucian ideology. For Jeongjo, the lives of the Joseon people under his rule were more important than preservation of ideological consistency. As the king faced severe political factionalism at the court, he had to consider several factors such as maintaining balance of power among factions to reinforce the royal power in his effort to stabilize the regime. On the other hand, the king always refrained from his private feelings in making appointments to government posts. Jeongjo maintain good relations and formed lasting friendship with his officials. In the end, King Jeongjo`s humility in scholarship, tolerance in religious policies and humanistic outlook laid the foundation for the great leadership as a Confucian scholar-king.

      • KCI등재후보

        준비되지 않은 혁명 : 조선 건국기 유교와 정치

        부남철 ( Bu Nam Chul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이 논문은 1392년 조선건국의 역성혁명이 그 출발에 있어서 유교, 성리학의 정치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사전에 계획된 것은 아니라는 관점에서 시작한다. 그 역성혁명 과정에 유교, 성리학자들은 다만 한 부분으로서 참여했는데, 그런 참여가 점차적으로 유교, 성리학이 조선의 지배적인 정치이념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논문 초반부에서는 여말선초 성리학의 도입과 확산의 정도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시기 유학자들은 성리학을 접했지만 현실적으로 종교로서 존속하는 불교를 인정하는 경향과 불교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배척하는 경향의 인사들로 분리되어 있었다. 이들 중에서 역성혁명에 가담한 집단은 불교의 타락과 고려의 멸망을 연결시키는 유학자들이었다. 필자는 이들이 그 숫자에 있어서나 그 학문적 성숙도에 있어서나 성리학을 가지고 그것을 정권의 변동을 위한 이념적 가치나 목표로 정했을 것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서술하였다. 다만, 조선건국이 이념적으로 사전에 계획된 것은 아니었어도 정도전과 같은 유학자들의 참여로 인하여 유교적인 정치이념이 그 역성혁명을 정당화하는데 동원되었고, 조선건국 이후에 국정운영의 방향을 유교적으로 나아가게 하는데 분명한 기여를 했다는 점을 또한 상술하였다. 이들의 참여가 계기가 되어 그 이후 조선은 점차적으로 유교국가로 나아가게 되었고, 특히 여타의 사상이나 종교를 인정하지 않는 성리학의 이념적 배타성이 또한 조선에서 유교가 주도적인 정치이념으로 정착하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면서 역성혁명 이후에 유학자 관료들이 조선이 유교 국가로서의 위상을 갖도록 그 군주권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고 정치에서의 공공성을 강조했던 바와 같은 건국초기에 전개된 유교, 성리학의 정치사상적 구상들을 소개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at the dynastic change from Goryeo to Joseon in 1392 was not an attempt to transform Korean society according to Neo-Confucian ideology. Neo-Confucian scholar-officials were only a part of the force that brought about the dynastic change, but their participation did pave the way for Confucianism to gradually become the dominant political ideology in Joseon. In the late Goryeo period, Neo-Confucianism was transmitted to Korea and expanded its influence. At the time, Korean Confucian scholars were divided between two groups who differed in their view of Buddhism. Confucian scholar-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dynastic change belonged to the group that actively linked the fall of the Goryeo dynasty to Buddhist corruption. In terms of their numbers and scholastic maturity, it is unlikely that Confucianism provided the ideological values or objective for the political change. While the dynastic change was not driven by ideology, Confucian scholars such as Jeong Dojeon mobilized Confucian ideology to legitimize the founding of the new state and thereby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Confucian influence in the state affairs. Thus, Joseon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Confucian state, and ideological exclusivism of Confucianism also led to its domination of Joseon politics. Jeong Dojeon and others put forward Neo-Confucian political ideology to provide theoretical justification of monarchical system, to emphasize public interests against the royal authority, and even to propos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ruler and the officialdom. In short, the dynastic change in the late 14<sup>th</sup> century was an ideologically “unplanned revolution.” However, after the founding of the new state, Neo-Confucian legitimation of the political change, Confucian cultivation and refinement of rulers, and the emphasis on the public aspects in state affairs would all contribute to polit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Joseon as a Confucian state.

      • KCI우수등재

        조선건국 이후 17세기까지 불교 승려의 정치의식과 행동

        부남철(BU Nam Chul)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2

        이 논문은 조선건국기로부터 임란 직후까지 승려들이 세속의 정치권위를 존숭하고 심지어는 승병으로 전투에 참여했던 그런 의식과 행동의 이유를 분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는 세속의 권위보다는 보다는 초월적 가치를 우선시하고 세속과는 일정 정도의 긴장관계를 통해서 그 종교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조선시대 불교계는 종교의 초월적 가치를 추구하는 한편으로 또한 당시의 정치이념이었던 유교와의 유사성, 동일성을 역설하면서 세속의 정치권위에 대한 지지와 협력 관계를 지속하였다. 그 이유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당시의 저명한 승려로서 유교와 세속 정치와 관련된 저술을 남겼고 불교와 유교의 조화를 설파했던 사례를 주목하였다. 그런 사례로 조선 건국기에는 기화, 조선중기 명종 때에는 보우, 임진왜란 시기 선조 때에는 휴정을 그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그들이 남긴 저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의 정치의식의 한 부분에는 유교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유교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바탕으로 당시의 지식인들에게 불경을 유교적인 개념으로 설명해주면서 그 동일성을 역설하면서 불교와 유교의 조화로운 병존 관계를 모색하였다. 그러면서 이들은 군주의 정치권위를 존중하는 한편으로 또한 그들 자신도 나라의 한 백성으로 인정받기를 원했다. 그렇기 때문에 승려이지만 군주에 대한 신하와 백성으로서의 의무가 있다고 여겼고, 그런 맥락에서 승병으로 참여하는 것을 인정하였다. 이들 3인의 승려의 세속 정치권위에 대한 존숭과 신민으로서의 정치적 의무의 수행은 불교 경전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불교의 외연을 확대하여 그것을 유교적으로 해석한 바탕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nalyzed political views and activities of three famous scholar monks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 focused on the questions whether they recognized the political authority of king. My final question was whether they as a Buddhist monk can fight and kill enemies in the fighting. Giwha(己和) tried to defend Buddhism against Confucian scholar officials’ criticism. As Confucian scholars’ doing, he also recognized the power of the king. But he had no chance to participate in politics and policy making process. In the same context, Bowoo(普雨) also argued that the fundamental spirit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as not different. Then he thought that Confucianism was included in Buddhism. As a Buddhist monk and active political activist, he sought to revive the oppressed Buddhism. However, as his strong supporter the King"s mother died, he lost power. Finally he was miserable murdered by a violent civil servant. Hyujeong(休靜) also thought that Confucianism and Buddhism would not conflict. As a monk, he kept loyalty to the king. As Japanese forces attacked, he organized Buddhist monk army and fought. These three monks were intellectuals. They had the deep knowledge about Confucianism and Buddhism. They are also voluntary submitted to the command of the king as a subject of king. They had obsession that Buddhist monks also had to do the obligation as a subject of king.

      • KCI등재

        조선조 유교 정치와 종교의 관계에 대한 서구적 연구관점

        부남철(Bu Nam Chul) 21세기정치학회 2005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5 No.1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forc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and politics of the Chosun dynas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cholarly views of specialists in Korean studies who are flourishing in the West, including Martina Deuchler, John B. Duncan, Robert E. Buswell, Jr., and Don Baker. This article argued that although it was criticized as a heterodoxy in the Confucian society, Buddhism could continue to exist in daily life under the tacit agreement of the Chosun government. Actually, Confucian scholars' criticism of Buddhism and the anti-Buddhist policy of the government in its initial period did not focus on theoretical issues, but resulted from political and financial reasons. This is because the then Confucianism was more interested in literary composition than the philosophical system of thought and Buddhism could coexist with Confucianism through its collaboration with the then reality, as was evidenced by the activities of Hyujeong (1520-1605), who is also known as Great Master Seosan. In contrast, Confucian scholars criticized Catholic theory from the outset of its introduction to Korea on the grounds that it was a heterodox teaching and Catholicism underwent a series of severe persecution by the government primarily due to ritual controversy, a result of a conflict between Confucian politics, which put emphasis on morality, and Catholicism, which was in pursuit of religious truth, as argued by Don Baker. In order to identify the nature of Confucian politics during the Chosun period, this article analyzed their influence on Buddhism and Catholicism; and it concluded that Confucian politics during the Chosun era had a comprehensive nature as learning, morality, and reli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