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센서스자료를 이용한 출생율의 추정:1970~1980 「프레스톤」방법을 중심으로

        변용찬 ( Yong Chan By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5 保健社會硏究 Vol.5 No.2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estimate birth rates of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70-75 and 1975-80. Also the results are compared to existing estimates done by several researchers. The parameter representing the adult mortality has also been estimated and through this, life tables for female aged five and above were constructed. The source of information were borrowed from the 1970, 1975 and 1980 population census reports on age distribution. The important advantage of this method is that it provides fairly robust estimates of birth rate in the presence of various form of errors in the age distribution usually found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estimated total birth rate of Korea is 27.7 for 1970-75, 23.3 for 1975-80 per thousand population. Compared this results with other estimates, this method provide quite reasonable results on birth rates. Life expectancy at age five of 64.0 for 1970-75, 64.7 for 1975-80 were obtained and these were a little less than that of official values published by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Economic Planning Board. This was due to high mortality rates of female at the age of five and below. This affected the value of p*(5) significantly which was used as a parameter of mortality in the paper.

      • KCI등재후보

        경기도 취업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변용찬(Yong-Chan Byun),이은정(Eun-Jung Lee),이계철(Kye-Cheol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본 연구는 경기도내 취업한 장애인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번수, 장애관련번수, 직업훈련 관련 변수, 그리고 임금이나 직업만족도 등 취업관련 변수로 나누어 교차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2003년에 실시한 겸기도 장애인 취업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연령, 결혼상태, 가구 소득, ADL 제한 여부, 직업훈련 경험, 임금, 고용의 안정성 및 직무내용에 대한 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 연령, 결혼상태, 가구 소득 변수는 직업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성ㆍ연령 등 인구학적 요인 외에도 결혼에 따른 심리적 안정, 그리고 가구소득에 따른 경제적 안정이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결론 지울 수 있다. 장애유형이나 장애등급은 ADL 제한 번수를 추가하였을 경우 근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훈련변수가 근속기간에 마이너스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으로 예상되는 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임금수준 역시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그 만큼 직업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또한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져 근속기간이 길어지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만족도 번수의 경우 7개의 영역 가운데 고용의 안정성과 직무내용이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직업유지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직업재활서비스가 취업알선으로 끝나서는 안 되며, 추|업 후에도 장애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훈련 및 평가, 철저한 직업 평가, 그리고 사후관리의 강화가 요청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강화를 통해 이직을 낮추고 직업유지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uration of job mainten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of Korea by using data on the survey on employment statu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which was conducted in 2003.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was analyz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disability-related factors, job training-related factors, wage and job satisfaction related factors. Among these factors, variables of sex,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experience of job training, wage, and satisfaction in the dimension of job stability and job specification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is likely to increase for male workers, for older workers, for married workers, for workers from higher household income, for those who have no limitation in ADL, for workers with high wage, and for workers with satisfied in the dimension of job stability and job specification, whereas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is likely to decrease for those who experience the job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particular, the job-evaluation and the follow-up services for those already employed,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한국(韓國)의 연령별(年齡別) 취학인구(就學人口)의 추계(推計): 1985~2000

        변용찬 ( Yong Chan Byun ),( G. Rama Ra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4 保健社會硏究 Vol.4 No.2

        本 硏究는 人口 및 住宅센서스報告資料를 土臺로 2000年까지의 우리나라 6 ~ 17歲 年齡群別 學生數를 5 年間隔으로 推計한 것이다. 推計方法은 1966半부터 1980年까지의 센서스資料에서 年齡群別 就學率을 計算한 뒤 將來에도 同期間에서의 就學率增加傾向이 계속 維持되리라는 ?定과 2000年까지는 6 ~17歲 年齡群에 있어서 거의 完全就學이 實現되리라는 ?定下에 로지스킥曲線(Logistic Curve) 을 適用 하여 將來의 年齡群別 就學率을 推計하였으며. 이를 旣推計된 人口에 適用함으로써 將來의 學生數를 求하는 것이다. 推計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첫번째 ?定의 경우, 2000年에는 6 ~17歲 年齡群에서 男學生이 580萬名, 女學生이 560萬名정도가 各級學校에 就學할 것으로 豫想되어지며, 이는 1980年과 比較하여 男學生이 88萬名, 女學生 이 118萬名 增加한 것이다. 2. 男學生에 있어서 2000年度의 就學學生이 1980年보다 6~11 歲 年齡群에는 18萬名 정도가 많은데 비하여, 12~14歲 年齡群에서는 25萬名, 15~17歲 年齡群에서는 44萬名정도가 늘어날 것이 豫想되며, 女學生의 경우 各 年齡群에서 追加就學學生이 男學生보다 많을 것으로 展望된다. 3. 2000年에 있어서 1980年度보다 늘어날 學生을 그 增加要因에 따라 人口增加에 의한 要因과 就學率上昇에 의한 要因 및 混合要因으로 區分해 볼 때 男女 모두 6~ 14歲 年齡群에서는 人口增加에 의한 要因이, 15~ 17歲 年齡群에서는 就學率上昇에 의한 要因이 보다 크게 作用 할 것으로 보인다. 4. 두번째 ?定에서도 첫번째 ?定과 類似한 結果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왕절개분만자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김응석 ( Eung-suk Kim ),변용찬 ( Yong-chan Byun ),이상헌 ( Sang-hun L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1 保健社會硏究 Vol.11 No.2

        제왕절개수술방법에 의한 분만율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상이 모체나 태아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있다고 할때, 제왕절개분만에 관련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이에 관한 관심도 역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왕절개 분만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임신 및 출산력, 산전관리내용이 膣式분만자와 어떤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의료시설의 근접성이 높은 대도시에 거주하고 교육이나 소득이 높은 상위계층과 농촌에 거주하고 교육 및 소득이 낮은 하위계층간에 제왕절개 분만율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n attempt was made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Cesarean section(C-section) acceptors and vaginal delivery acceptors in terms of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pregnancy related factors, and pre-natal care status by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Fertility and Family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in 1988. Information about 2,874 mothers, who had their last children between 1983 and 1988, were used in this analysi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n over-all rate of about 11.9 percent of women accepted C-sections in Korea. Those who had higher levels of education or who had higher monthly incomes are more likely to accept C-sections than their counterparts. Those who reside in large cities also are more likely to accept C-sections than those who reside in rural areas. Women who were delivering their first child were more likely to accept C-sections than women who had given birth more than twice, but the mother`s age at delivery and the number of induced abortion did not seem to affect the likelihood of accepting a C-section. The amont of pre-natal care received during pregnancy affected the likelihood of accepting a C-section, whereas time of the first visit for pre-natal care did not seem to affect it. Finally, those who select hospitals for their deliveries are much more likely to accept a C-se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women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seem more likely to accept C-sections than women with a lower socioeconomic status, reflecting that those who can afford a relatively expensive delivery method such as a C-section seem more likely to accept the C-section as a delivery method.

      • KCI등재

        우리 나라에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에 관한 연구

        장영식(Young-Sik Chang),변용찬(Yong-Chan Byun),김유경(Yu-Kyung Kim) 한국인구학회 1998 한국인구학 Vol.21 No.1

        장래의 가구변동은 인구의 규모와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출생ㆍ사망의 변동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사회적인 가치관의 변화에서 오는 동거구조 등 가구 자체의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국내외에서 적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가구추계방법을 검토한 후, 우리 나라에 가장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을 찾고 이를 적용해보는 데 있다. 추계방법의 선정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우리 나라와 같이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을 경우 장래가구 추계시 사용되는 원자료가 심한 기복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 추계방법의 검토 결과 우리 나라에 적합한 가구추계방법으로서 연령별로 이원화된 방법, 즉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에 대해서는 지수함수법을, 그리고 35세 이상에 대해서는 순천이율법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장래 가구추계에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우리 나라의 가구규모는 1995년 12.956천 가구에서 2030년에는 54%가 증가한 20,006천 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평균가구원수는 1995년 3.3명에서 2030년에는 2.5명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나라 장래 가구형태는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3세대 이상의 다세대가구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Change in the future household memb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population which, in turn, is affected by factors of fertility and mortality and the household itself due to changing social values on family.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to thereb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using a household projection method chosen by reviewing various methods for Korea. In selecting the method of estimating households, the irregularity of the source data should b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with a society like the Korean society which' is changing rapidly. The review on the projection methods suggests the breakdown of the ages into two groups, namely 34 years old or less and 35 years old or more, for projecting the households for Korea. Thus, the Exponential Method for the former age group and the Net Transitional Method for the latter arc adop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number of households is expected to increase from 12,956 thousand in 1995 to 20,006 thousand in 2030 or by 54% during this period. The average number of members per household will decrease from 3.3 persons in 1995 to 2.5 persons in 2030. One of the main features of change in the household structure will be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 person households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 three generations or more.

      • KCI등재

        일상생활능력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정연구(Jeong Yeon Gu),이명수(Lee Myug Soo),변용찬(Byun Yong Cha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3

        Research Purpose: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bs are the main factors for self-reliance and social 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employment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method: By using the handicapped employment panel survey(Secondary Wave Secondary Survey). the medical examin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Findings: Firstly, through the chi-squared test, it is shown that men a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than women(p<.05), and the higher their education level is, the more they are likely to be employed (p<.001). In contrast, it is revealed that non-recipients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re more likely to be employed, and the lower total income is, the higher employment probability is (p<.001). Second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the ability to perform daily living activities and employment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turns out that the higher communication ability, cognition ability, literacy ability and public transportation use ability are, the higher employment probability is (p<.001). Last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indicates that the odds ratio of predictor variable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rease: education background (2.06times, p<.001), communication (1.64times, p<.01), public transportation (3.09times, p<.001), non-recipient of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6.7times, p<.001). Conclusion and Implications: Early education (medical communication, public transportation means) is required from childhood, which is tailored to the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beneficiaries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devising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suggested a discussion and suggestions to help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발달장애인에게 있어 직업은 자립생활과 사회통합을 위한 주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능력이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2차 조사를 활용하여 카이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카이검증을 통해 남자가 여자보다 취업자의 구성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6). 또한 발달장애인의 취업자 구성비가 학력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 반면에 국민기초생활보장 비수급, 가구 총 소득이 낮을수록 취업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능력 요인과 취업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 인지능력, 읽기·쓰기 문해력, 대중교통수단 이용능력이 높을수록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발달장애인의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의 승산비는 학력 2.06배(p<.001), 의사소통 1.64배(p<.01), 대중교통수단이용능력 3.09배(p<.001), 국민기초생활보장 비수급자 6.7배(p<.001)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및 시사점: 발달장애인의 능력과 특성에 맞춘 유년기부터 조기교육(의사소통능력, 대중교통수단이용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도 취업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 마련의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의 취업에 도움을 주는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치매의 주관적 판단과 객관적 평가 간의 차이

        박종한(Jong Han Park),홍미령(Mi Ryung Hong),장병원(Byung Won Jang),변용찬(Yong Chan Byun)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5 노인정신의학 Vol.9 No.2

        Objective : Evaluation of how much the presence of dementia is underdiagnosed or misdiagnosed in the elderly population by themselves. Method : The number of self-professed dementia cases was compared to the estimated number of cases with cognitive impairment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employed in a nationwide survey “Need assessment of the long-term care in the elderly” in three representative areas of Korea. The would-be dementia cases were analyzed. Results : Only eighteen (0.7%) of 2,638 reported the presence of dementia while 414 (15.7%) were diagnosed as having questionable cognitive impairment and 385 (14.6%) as having definite cognitive impairment on the MMSEK.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self-professed “dementia” cases were not impaired on the MMSEK. Conclusion : The public should be educated on clinical manifestations of dementia for its early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because they are mostly without understanding about dementia.

      • KCI등재

        취업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변용찬,이정선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5 장애와 고용 Vol.15 No.1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duration of job mainten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f Korea by using data on the national survey on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was conducted in 2000.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was analyz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disability-related factors, job related factors. Among these factors, variables of age, educational attainment, limitation on daily living activities, wage, employment status(self-employed), part-time or full-time worker, and satisfaction in the job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is likely to increase for older workers, for workers with high wage, and for workers with self-emplyed, full-time workers, whreas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is likely to decrease for those who educated more. The results of this analsis implies that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particular, the job-evaluation and the follow-up services for those already emplyed, should be strengthened. 본 연구는 취업한 장애인의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변수, 장애 관련변수, 그리고 임금이나 직업만족도 등 취업관련 변수로 나누어 교차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분석 자료는 2000년에 실시한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일상생활 제한 여부, 임금, 상용근로자 여부, 자영업 여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결혼상태는 직업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선행 연구와 유사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장애유형이나 일상생활 제한변수를 추가하였을 경우 근속기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수준 역시 근속기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상용근로자 여부변수는 그 만큼 직업의 안정성이 보장되고 또한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져 근속기간이 길어지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자영업을 하는 경우 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직업유지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직업재활서비스가 취업알선으로 끝나서는 안되며, 취업 후에도 장애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훈련 및 평가, 철저한 직업평가, 그리고 사후관리의 강화를 통해 높은 임금과 함께 상용근로자 등 고용의 안정성을 위한 서비스가 요청된다는 것이다. 또한 장애인의 직업유지에는 자영업이 매우 중요하므로 장애인의 창업 지원 등 이러한 직업재활 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며, 직장내 고용의 안정성을 의미하는 상용직으로의 전환을 통해 이직을 낮추고 직업유지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