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chlorvos가 흰쥐 심근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백태경,이화모,정호삼,Baik, Tai-Kyoung,Lee, Wha-Mo,Chung, Ho-Sam 한국현미경학회 1994 Applied microscopy Vol.24 No.3

        It is well known that dichlorvos (DDVP), 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 in common use, is so easily and rapidly hydrolyzed and excreted that it has usually little toxic effect on human body. In these days, however, it is widely used as an industrial and domestic insecticide and as an anthelmintic agent for animals, so that the accident of chemical poisoning occurs frequently. DDVP acts as a powerful inhibitor of carboxylic esterase, which can cause accumulation of acetylcholine at the synapses so paralysis of muscle and the transmission failure in cholinergic synapses dueing to desensitization of acetylcholin receptor may occure. Moreover accumulation of the acetylcholine brings about the elevation of the cyclic-AMP, which alters the cellular metabolisms of nucleic acid,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Present study h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ardiotoxic effect of DDVP by electron microscopic study. A total of 30 Sprague-Dawley strain rats, weighing about 250gm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2mg/kg/day of DDVP is intraperitonealy injected 3 times with intervals of every other day. On 1 day, 3 days, 5 days, 7 days and 14 days after drug administr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ed by cervical dislocation. Left ventricular cardiac muscles were resected and sliced into $1mm^3$. The specimens were embedded with Epon 812 and prepared by routine methods for electron microscopical observation. All preparations were stained with lead citrate and uranyl acetate and then observed with Hitachi-600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ardiac muscle of DDVP treated rats, mitochondria with disorganized double membrane and mitochondrial crista, and vacuole formation in mitochondrial matrix were observed. But structures of mitochondria were recovered to normal in 14 days group. 2. In the cardiac muscle of DDVP treated rats, cisternae of sarcoplasmic reticulum were dilated and sacculated. But these changes were recovered to normal in 14 days group. 3. In the cardiac muscle of DDVP treated rats, glycogen particles around damaged myofibrils were decreased. But amount of glycogen particles were restored in 14 days group. 4. In the cardiac muscle of DDVP treated rats, disruption and discontinuation of myofilaments and disorganization of Z-disc were observed. But the structures of myofibrils were recovered to normal in 14 days group. It is consequently suggested that DDVP would induce the reversible degenerative changes on the ultrastructures in cardiac muscle of ra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Case Report of the Bilateral Absence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Combined with the Unilateral Brachioradial Artery

        Dae-Yong Song(송대용),Kyoung-Min Oh(오경민),Ji-Hye Lee(이지혜),Ran-Sook Woo(우란숙),Ha-Nul Yu(유하늘),Tai-Kyoung Baik(백태경)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2 No.4

        해부학실습 과정 중, 76세 한국인 남성 시신에서 양쪽 팔 모두에서 근육피부신경이 없고, 한쪽 팔에서 위팔노동맥이 형성된 사실을 발견하였다. 겨드랑꼭대기에서 팔신경얼기의 가쪽신경다발이 근육피부신경을 내지 않고 모두 정중신경으로 합쳐졌다. 정상적인 경우 근육피부신경에 의해 지배받는 위팔의 굽힘근들이 정중신경에서 기원한 두 가닥의 신경가지에 의해 지배받았다. 이 중 먼쪽 신경가지는 계속되어 가쪽아래팔피부신경이 되었다. 또한 왼쪽 팔의 노동맥이 위팔동맥의 중간 상분의 일 지점에서 기원하였다. 위팔동맥으로부터 분지되는 지점에서 노동맥은 정중신경의 깊은 곳을 안쪽으로 가로질렀다. 그러나, 팔꿈치 부위에서 노동맥은 다시 정중신경을 앞가쪽으로 가로질러 주행하였다. 팔오금 바로 위에서 노동맥은 위팔동맥과 연결되는 작은 문합가지롤 내었다. 오른팔의 동맥분포는 정상이었다. 근육피부신경의 부재와 위팔노동맥의 변이는 그동안 독립적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와 같이 두 변이가 한 시신에서 동시에 발견된 보고는 일찍이 없었다. During the routine gross anatomical dissection, bilateral absence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and unilateral brachioradial artery were found in a 76-year-old Korean male cadaver. At the apex of the axilla, the lateral cord of the brachial plexus united into the median nerve without branching off the musculocutaneous nerve. The flexor arm musculatures, normally innervated by the musculocutaneous nerve, were innervated by two separate branches from the median nerve. The distal one continued as the lateral antebrachial cutaneous nerve. In addition, the radial artery of the left arm was originated from the middle one-third of the brachial artery. At bifurcation, it lay deep to the median nerve and crossed it medially. However, at the elbow, it crossed again the median nerve anterolaterally. Just above the cubital fossa, it anastomosed with the brachial artery. The arterial distribution of the right arm was normal. The separate reports which described the absence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or brachioradial artery have been reported. However, this combined variation has not been documented until now.

      • KCI등재

        국소뇌허혈 후 허혈경계영역에서의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의 발현

        송대용(Dae-Yong Song),오경민(Kyoung-Min OH),이지혜(Ji-Hye Lee),우란숙(Ran-Sook Woo),이윤정(Yun-Jeong Lee),한정태(Jung-Tae Han),백태경(Tai-Kyoung Baik)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3

        c-Jun이나 fos와 같은 immediate early gene (IEGs)은 여러종류의 세포손상에 대해 즉각적으로 발현하여 손상 받은 신경세포의 운명을 결정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IEGs 중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는 다양한 신경손상에 반응하여 발현되며, 손상된 신경세포의 내∙외적 환경에 따라 신경세포의 생존 혹은 신경세포의 사멸에도 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흥미로운 단백질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뇌허혈손상에서 신경세포내 ATF3의 발현 및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이 연구는 중간대뇌동맥 폐색-재관류로 야기된 국소적 뇌허혈손상에서 초래되는 신경조직의 형태적 변화와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ATF3 발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허혈-재관류손상이 야기된 흰쥐의 뇌를 절취한 후 2mm 간격으로 연속 관상절편을 제작하고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염색을 시행하여 중간대뇌동맥 폐색-재관류에 따른 뇌손상의 범위를 확인하였으며, 허혈중심영역 (ischemic core region) 및 허혈경계영역 (ischemic penumbra region)으로 구분하여 관찰하였다. Haematoxylin 및 eosin 염색결과 양 영역 모두에서 핵농축과 호염기성 신경세포체 변성과 같은 세포사멸을 암시하는 소견을 나타내는 신경세포를 다수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많은 수의 아교세포가 동원된 소견을 제시할 수 있었다. 동원된 아교세포의 종류 를 동정하기 위해 GFAP 및 OX42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한 결과, 활성 별아교세포 및 미세아교세포가 뇌손상부위에 운집되어 있었다. 그리고 ATF3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한 결과, ATF3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들은 허혈-재관류에 의한 손상이 야기된 대뇌겉질에서만 관찰되었으며, 대조군으로 사용한 반대측 대뇌겉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ATF3 면역양성세포는 허혈중심영역보다 허혈경계영역에서 더 빈번히 관찰되었다. 허혈중심영역에서의 신경세포사멸은 주로 세포괴사(necrosis)에 의해, 허혈경계영역에서의 세포사멸은 주로 세포자멸사(apoptosis)에 의해 유도된다는 여러 학자들의 보고를 참고하면 이번 연구결과는 ATF3가 허혈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자멸사 혹은 세포생존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여 세포의 운명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IEGs 중 하나일 것임을 강력히 시사한다.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ome of immediate early genes (IEGs) such as c-Jun or fos are induced immediately following neuronal injury and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ate of the injured neurons. Of IEGs, the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 is focused by many investigators, because they are expressed in various types of neural insults and have been known to serve a diverse function in both neuronal survival and deat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functional role of ATF3 in ischemic brain injury. So in this study, the authors examined the expression pattern of the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3 (ATF3) following middle cerebral artery (MCA) occlusion-reperfusion injury. According to the findings obtained by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stains, the authors have classified the infarcted area into two regions, the ischemic core region and the ischemic penumbra region. In both regions, many neurons underwent neuronal degeneration, characterized by the shrunken nuclei with eosinophilic perikaryon. The H & E stain also demonstrated the increased number of probable activated astrocytes and microglia in the ischemic brain regions and this was confirmed by GFAP- and OX42-immunohistochemistry. Immunohistochemical study for ATF3 also demonstrated the specific upregulation of ATF3 in the nuclei of neurons under ischemic injury, but not in those of the contralateral regions. Interestingly, the number of the ATF3 positive neurons in the ischemic penumbra regions outnumbered that of the ischemic core regions. Based on many reports that the neuronal death in ischemic penumbra region is caused by programed cell death rather than by necrosis which is main cause of neuronal death in ischemic core region, our results could suggest that the ATF3 is an important IEGs which determine the fate of the ischemic neuron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주신경 절단시 표면활성물질단백 변화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전영희(Young-Hee Cheon),배현혜(Hyun-Hae Pae),윤아람(A-Ram Yoon),이지혜(Ji-Hye Lee),백태경(Tai-Kyoung Baik)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5

        표면활성물질은 허파꽈리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인산지질단백 복합체로써 부족하게 되면 허파꽈리에서의 가스교환에 장애가 초래되어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의 허파에서 유리질막 형성, 허파꽈리 중격의 섬유화 및 제2형 허파꽈리세포내 표면활성물질의 감소 등과 같은 변화가 초래됨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두부손상으로 인해 유발되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정확한 발병기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두부손상 혹은 신경인성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병리학적 기전에서 미주신경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위 경부 미주신경을 절단한 후 허파꽈리세포에서 표면활성물질단백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체중 230 gm 내외의 Spraque-Dawley 흰쥐를 사용하였고 정상대조군 및 미주신경 절단군으로 구분하여 수술 후 3시간, 8시간 및 24시간 경과후에 허파를 절취하였다. 허파조직은 Hematoxylin-Eosin 염색, Masson’s trichrome 염색, SP-A 및 ProSP-C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주신경절단군에서는 허파꽈리 상피세포의 괴사 및 두꺼운 유리질막 형성으로 허파꽈리의 형태가 변형되었고 비후된 허파꽈리 중격에서 다수의 염증세포 침윤과 아교원섬유가 증가되었으며 허파꽈리 부종이 관찰되었다. 2. 미주신경절단군의 허파조직 내 SP-A 및 ProSP-C 면역활성은 수술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하위 경부 미주신경 절단으로 인한 자율신경실조가 SP-A 및 SP-C와 같은 표면활성 물질단백의 대사에 변동을 초래하고, 허파조직에 속발성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급성호흡곤란증후군과 유사한 급성 허파 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Pulmonary surfactant prevents alveolar collapse by reducing alveolar surface tension and aids gaseous exchange in the lung. Since inadequate production of pulmonary surfactant is a key etiological process in ARDS, surfactant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athogenesis of ARDS. To provide a clue for establishing pathological mechanism of post-traumatic or neurogenic ARDS, we studied the influence of the vagal innervation on pulmonary surfactant metabolism. A total of 20 S-D rats (about 230 gm wt. each) were divided into two conditions: normal control and vagotomized groups. The vagotomized rats were subdivided into 3 hours, 8 hours and 24 hours groups. To preserve the superior cervical cardiac branches, both vagus nerves were cut at the lowest part of the carotid triangle. Cannula for adequate respiration and suction was fitted into the trachea. The lung tissue were processed for H&E, Masson’s trichrome, Immunohistochemistry using anti-surfactant protein A (SP-A) and .anti-prosurfactant protein C (ProS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ungs of the vagotomized rats showed alveolar edema, fibrosis with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hyaline membrane formation. 2. In the lungs of the vagotomized rats, SP-A and ProSP-C immunoreactivity was decreased in proportion to postoperation time. Consequently, it can be postulated that autonomic disturbances caused by vagal interruption may induce ARDS-like pulmonary damage by modulating alveolar surfactant protein metabolism and by evoking the secondary inflammatory processes.

      • KCI등재

        Adenosine 수용체 촉진제 및 KATP 통로 개구제가 Adriamycin 심근독성에 미치는 영향

        이상(Sahng Lee),조원길(Wan-Gil Cho),백두진(Doo-Jin Paik),이방헌(Bang-Hun Lee),백태경(Tai-Kyoung Baik),김원규(Won-Kyu Kim),정호삼(Ho-Sam Chu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4 No.1

        간추림 본 연구는 adriamycin 투여 후 나타나는 심장독성과 항산화제를 병용투여 하거나 심장에서 항산화 기 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adenosine A₁ 수용체 혹은 KATP 통호를 개구시키는 약제를 병용투여한 후 나 타나는 심장독성을 비교 관찰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시도하였다. 실험 동물은 체중 30-40 g 의 건강한 SPF(specific pathogen free)ICR 계 숫 생쥐를 사용하였으며, 대조문, Adriamycin (15 mg/kg) 투여군, SOD (superoxide dismutase, 2,000 U/kg) 전처치군, DMTU (dimethyl thiourea, 500 mg/kg) 전처치군 ,NAC(N-acetykysteine, 400 mg/kg) 전처치군, RPIA (R(-)N6-(2-Phenylisopropropyl)- adenosine, 150 μg/kg) 전처치군, 8-CPDPX (8-Cyclopentyl-l, 3-dipropyl-xanthine, 1 mg/kg) 천처치군, Pinacidil (1 mg/kg) 전처치군과 Glibenclamide (0.5 mg/kg) 전처치군으로 나누었으며 모든 실험군은 다시 l 일 경과군과 4 일 경과군으로 세분하여 관찰하였다. 심장세포에서의 apoptosis 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TUNEL assay 의 원리를 이용하였고, 혈중 creatine kinase 의 활성은 CK -10 kit (sigma diagnostics, USA)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Bcl-2 의 발현은 연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그리고 항암효과 변동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96 well plate 에 2.5×103/well 의 293T 세포를 분주하고 24 시간 경과한 다음, adriamycin 단독 혹은 adriamycin과 SOD, DMTU, NAC, RPIA, 8-CPDPX, pinacidil과 glibenclamide 를 병용투여하고 18 시간 경과 후 well 에서 293T 세포의 증식 정도를 MTT 시약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PIA 를 병용투여한 군에서는 adriamycin 만 투여한 군에 비해서 apoptosis 양성 세포가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g-CPDPX 룰 병용투여한 군에서는 apoptosis 양성 세포가 거의 같거내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 였다. 2. Pinacidil 을 병용투여한 군에서 약물 투여 l 일 경과 군과 4 일 경과군 모두에서 apoptosis 양성세포가 많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glibe nclamide를 병용투여한 군에서는 손상이 매우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 었다. 3.Bc1-2 면역염색반웅은 심장조직에서 손상이 심해지는 것에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였다. 4. MTI assay 결과 병용투여한 모든 약제들은 adriamycin 의 항암 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항해 보면 adriamycin 에 의한 심장독성이 자유산소기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SOD와 DMTU 의 방어효과는 약물 투여 l 일 경과군에서 SOD 가, 약물 투여 4 일 경과문에서 DMTU 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KATP 통로의 개구제인 pinacidil 이 효과적으로 adriamycin 에 의한 심장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온 지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알쯔하이머병 환자 뇌의 해마피질내 rab6 단백의 발현

        전영희(Young-Hee Cheon),강영중(Yeong-Jung Kang),이지혜(Ji-Hye Lee),표정수(Jung-Soo Pyo),백태경(Tai-Kyoung Baik) 대한해부학회 2005 Anatomy & Cell Biology Vol.38 No.5

        베타 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이 β-secretase 및 γ-secretase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생성된 후 세포 밖으로 배출되어 뇌의 다양한 부위에 축적되어 신경세포 독성을 나타내므로 알쯔하이머병의 주요한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GTP 결합 단백질인 rab 단백은 물질이동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rab6 단백은 골지복합체에서 형질내세망으로 물질의 역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이 rab6 단백에 의해 역전달되어 이동될 경우 골지복합체에 존재하는 β-secretase와 형질내세망에 존재하는 γ-secretase의 순차적인 작용에 의하여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알쯔하이머병의 병리학적 병기에 따른 신경세포내 rab6 단백의 활성 변동을 조사하여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과 rab6 단백 활성의 연관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알쯔하이머 뇌는 손상 정도에 따라 임상전기와 임상기로 분류한 후 인지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마피질에서 질병의 경과에 따른 rab6 단백의 발현여부를 관찰하고자 항rab6 단백 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알쯔하이머병의 특징적 병리소견인 베타 아밀로이드는 관통경로를 따라 치아이랑의 분자층에서 다수 관찰되었고, 알쯔하이머병이 진행될수록 해마피질내 모든 구획의 피라밋세포에서 rab6 단백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알쯔하이머 뇌의 해마피질내 CA1 및 CA3 구획이 CA2 구획에 비해 rab6 단백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이는 내후각뇌피질에서 치아이랑의 분자층을 경유하여 CA3 구획에 도달한 후 다시 CA1 구획으로 투사되는 기억회로의 관통경로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ras-related GTP binding protein, rab6, is located in late Golgi compartment. Modulation of β-and γ-secretase activity may lead to production of β-amyloid fragments that are ultimately deposited in senile plaques at the brain of Alzheimer patients. Because modulation of rab6-mediated intracellular transport has been known to affect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processing, we investigated the rab6 immunoreactivity on the hippocampal neurons in the Alzheimer brain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staging of the disease. A total of 30 brains were used for this study. Campbell’s silver stain for β-amyloid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rab6 protein were employed. The cortices of the hippocampal formation and the neighboring temporal neocortex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1. In normal elderly brains, no amyloid plaque is seen. In Alzheimer brains, a number of amyloid plaques are seen at the temporal neocortex and dentate gyrus. 2. In normal elderly brains, the perikaria of the pyramidal cells at the CA1 sector shows weak rab6 immunoreactivity. At the CA2 and CA3 sectors, trace immunoreactivity is observed in the pyramidal cells. 3. In preclinical Alzheimer brains, the perikaria of the pyramidal cells at the CA1 sector shows moderate rab6 immunoreactivity and the cells at the CA2 sector show weak immunoreactivity. A weak to moderate immunoreactivity is seen in the pyramidal cells of the CA3 sector. 4. In clinical Alzheimer brains, the pyramidal cells at the CA1 and CA3 sectors show strong rab6 immunoreactivity, but the cells at the CA2 sector shows moderate immunoreactivity. It is suggested that alteration of intracellular protein transport caused by abnormal rab6 activity may modulate amyloid precursor protein processing, which results in β-amyloid production.

      • KCI등재

        흰쥐의 콩팥 발생과정에서 Laminin 및 Laminin β1 chain 분포에 대한 연구

        정호삼(Ho-Sam Chung),서윤경(Youn-Kyung Seo),백두진(Doo-Jin Paik),김원규(Won-Kyu-Kim),윤지희(Jee-Hee Youn),김호중(Ho-Jung Kim),백태경(Tai-Kyoung Baik),노원재(Won-Jae R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4 No.1

        간추림 최근 콩팥의 사구체 기저막에서 laminin은 제4형 아교질,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등의 당단백과 함께 가시구조 (spike-like structure)를 형성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않은 연구자는 신사구체막엽이 있을 때 laminin 의 분포, 합성 등에 변화가 있으며, 신사구체 기저막의 재형성과 신사구체 세포의 재생에 laminin 이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는 흰쥐 태자와 선생흰쥐에서 신사구체 기저막에서 laminin 과 laminin β1 chain 의 항성 및 분포를 발생시기에 따라 추적하고, 신독성으로 작용하는 adriamycin 투여 후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온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Sprague-Dawley 계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임신후 제16일, 제18일, 제20일의 태자와 출생 1일 및 출생 l주의 신생 흰쥐군으로 나누에 각군에 각각 5마리를 배정하였다. Adriamycin 처리군은 처리 후 1일, 2일 및 1 주군으로 나누고, 각 군에 5 마리의 흰쥐 (체중 150gm 내외) 를 사용하였다. 각 실험군의 태자, 신생흰쥐 및 성숙 흰쥐를 희생하여 콩팥을 절취하여 동결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일부 조직은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초박절편을 제작하였다. 각 표본은 면역조직염색과 면역도금염색을 실시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16일, 18일 및 20일 태자의 콩팥단위의 기저악과 주위의 간엽조직에서 강한 laminin 면역반응이 관찰되고, 출생 제1일의 신사구체에서 강한 면역반응이 계속되었고 출생후 1 주 경과된 신생흰쥐의 신사구체내에는 약한 laminin 반응이 나타났다. 2. 제18일 대자의 미성숙 콩팥의 심표형 콩팥단위를 구성하는 세포 중에서 혈관내피세포, 혈판사이세포의 과립포철세망의 수조, 소포 및 막에서 면역반응급과립이 관찰되었다. 3. Laminin β1 chain 의 면역반응은 태생 제 16 일, 18 일 및 20 일 대자의 콩팥에서 미약하였으나 출생 제1일 신생 흰쥐의 모세혈관 주위와 혈관사이 조직에서 약한 반응융 보였다. 4. Adriamycin 투여후 24 시간군의 신사구체에서 중등도의 laminin 반응을 보였으며, 신사구체의 내피세포와 혈관사이세포의 세포질에 소량의 금과립이 관찰되었고, laminin β1 chain 반응은 24 시간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고, 48 시간군에서는 미약한 반응으로 감소되었다. 이상파 강은 경과로 미루어 흰쥐 콩활의 발생에 따라 laminin 은 태생기 초기에 대부분 강한 반응을 나타내지만 출생 후에는 그 반응이 약화되었으며, adriamycin 투여후 나타나는 콩팥조직의 손상이 회복될 때 laminin 과 laminin β1 chain 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후보

        국소적 대뇌허혈 동물모델에서 Diazoxided의 신경보호효과

        전영희(Young-Hee Cheon),서병현(Byeong-Hyun Suh),윤아람(A-Ram Yoon),이지혜(Ji-Hye Lee),우란숙(Ran-Sook Woo),송대용(Dae-Yong Song),백태경(Tai-Kyoung Baik)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허혈전조건화는 장시간의 허혈 발생 전에 일시적이고 반복적인 허혈을 유도하여 대뇌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립체의 K?ATP channel opener가 허혈전조건화를 유도하여 허혈세포에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자세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국소적 대뇌허혈 동물모델에서 허혈 손상시 K?ATP channel opener인 diazoxide 전처치에 의한 신경세포 보호효과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300~350g 내외의 Sprague-Dawley계 흰쥐(n=34)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과 2시간 허혈군, 24시간 허혈군, diazoxide 전처치후 2시간 허혈군과 diazoxide 전처후 24시간 허혈군으로 세분하였다. 변형된 Longa법을 이용하여 국소적 뇌허혈술을 실시하였으며, diazoxide는 뇌허혈술 15분전에 3mg/kg을 넙다리동맥으로 투여하였다. 중간대뇌동맥 폐쇄에 의해 동측 대뇌겉질 대부분과 줄무늬체에서 뇌경색이 초래되었으며, diazoxide 전처치군에서는 허혈군에 비하여 경색부피가 감소되었다. 동시에 diazoxide 전처치군에서는 경색주변조직에서의 해면체성변형 및 신경세포의 퇴행성변화가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한편 2시간 허혈군에서는 정상대조군과 동일하게 TUNEL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24시간 경과군에서는 다수의 신경세포가 양성반응을 보였다. 허혈군 및 diazoxide 전처치군 모두에서 허혈 2시간째 c-Fos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24시간 경과군에서는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다시 감소하였다. 한편 Bcl-2 혹은 pAkt에 면역양성반응으로 보이는 신경세포의 수는 허혈 2시간째부터 허혈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허혈 24시간째까지 지속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K?ATP channel opener인 diazoxide의 전처치는 허혈 초기 단계부터 세포자멸사 억제단백인 Bcl-2나 pAkt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써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세포 손상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Ischemic preconditioning is the earlier stress adaptive response that occurs during repeated episodes of the brief ischemia and reperfusion. It is now well known that this adaptive response can render the neuron more tolerant to the subsequent potential lethal ischemic injury. Although the selective mitochondrial K?ATP channel opener induces protective effects similar to that of ischemic preconditioning, the underlying mechanism is not konown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neuroprotective effect of diazoxide, a mitochondrial K?ATP channel opener, pretreatment on a focal cerebral ischemic injury of rat brain. Thirthy-four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rmal control group, middle cerebral artery (MCA) permanent occulusion group(experimental control group), and diazoxide pretreated group. Animals were sacrified at 2 hours or 24 hours after MCA occulusion injury. For inducing the focal cerebral ischemic injury, the left MCA was occuluded by modified Longa's method. Diazoxide (3mg/kg) was administrated though the femoral artery at 15 minutes earlier to surgical procedures. TTC-stained brain sections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a remarkable infarct injury in the ipsilateral cerebral cortex and striatum. However, the infarction volume of the diazoxide pre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Accordingly, the number of neurons undergoing eosinophilic degeneration and unclear chromatin condensation was reduced by diazoxide pretreatment. TUNEL-positive neurons were not detected at 2 hours after MCA permanent occlusion but lots of them were observed at 24 hours. The number of c-fos immunoreactive neurons was remarkably increased at 2 hours following MCA permanent occulusion and reduced to the basal level at 24 hours in both experimental control and diazoxide pretreated group. However, the number of Bcl-2 or pAkt immunoreactivitive neurons of the diazoxide pretreated group outnumbered those of the experimental control group at all timepoints in our experiment. In conclusion, the pretreatment of diazoxide, K? channel opener, could have neuroprtective effects on ischemic neurons by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like Bcl-2 or pAk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