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은퇴가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3

        사회 고령화에 따른 은퇴 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지속되면서 은퇴 준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은퇴준비는 부족한 실정이며, 준비 안 된 은퇴로 인한 문제는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은퇴 준비의 필요성은 인식하면서도 현실적으로 많은 가계들은 은퇴를 준비하기에는 현재 경제 상황이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은퇴 준비를 미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0대 이상 가계를 대상으로 우선 현재 재무상황을 진단해보고, 은퇴가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가계금융복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구주가 50대 이상인 5,241개 가계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50대 이상 가계의 재무상태는 가계수지 및 부채측면에서는 다수의 가계가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유동성과 자산 축적 부분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가계를 은퇴가계와 비은퇴가계로 구분하여 재무적 측면을 비교해 본 결과, 은퇴가계와 비은퇴가계는 재무적으로 확연히 차이가 나는 그룹으로 나타났다. 소득, 지출, 자산구조면에서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지출과 소득 모두 은퇴가계가 더 적었으며 지출보다 소득격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가계의 자산은 비은퇴가계의 62% 수준으로 주택을 제외한 다른 자산들은 비은퇴가계의 절반 수준이었다. 소득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비은퇴가계가 소득의 80%를 근로 및 사업소득을 통해 얻는 반면, 은퇴가계는 전체 소득의 77% 가량을 이전소득을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가 가계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은퇴관련 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준비여부는 모든 재무건전성 지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은퇴준비를 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모든 재무건전성 지표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퇴 여부 자체만으로도 가계수지 지표나 비상자금 지표를 충족시킬 가능성은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가계수지위험수준에 놓일 확률은 1.8배나 증가하였다. 따라서 은퇴준비 여부와 관련 없이 은퇴 자체만으로도 가계수지나 유동성에 현저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은퇴 전에 충분한 유동자금 확보와 소득을 다양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of retirement has been emphasized for decades, the retirement preparation is still far below what can reasonably be expected. The problems related to insufficient retirement preparation are getting more severe. Still, many households complain that they cannot prepare for their retirement because their current financial condition is not in good shape eith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financial soundness of the households in their 50’s and ov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financial soundness between retirees and non-retire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tirement on households’ financial soundness. Using the 2015 Households’ Finance․Welfare Survey, 5,241 household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not many households in their 50’s and over fulfilled the liquidity ratio and financial asset ratio. The financial structure between retirees and non-retirees were totally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assets of retirees was the half of the non-retirees and the level of income of retirees was only 37% of the non-retirees. The retirees got most of their income from transfer income, such as pension, but the 80% of the nonretirees’ income was from employment and busi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retirement related factors on households’ financial soundness were significant controlling other important factors on financial soundness. Not preparing for retirement definitely worsened the households’ financial soundness. Even retirement itself affected liquidity ratio and income to expenditure ratio of the households.

      • KCI등재

        건강지향적 소비행동 실태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백은영(Baek Eunyoung),정운영(Jeong Woon-yo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06 소비문화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1세기 생활의 주요 키워드로 급부상하고 있는 건강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소비자의 건강 지향적 소비행동에 대한 실태를 점검해 보고 건강지향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건강지향 소비행동에 대한 탐색적 성격의 본 연구는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기초연구임을 고려하여 정성적 접근방법(FGI 및 심층면접)과 정량적 접근 방법(설문조사)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통한 연구결과에서는 20대 보다는 30대 이후 여성, 미혼인 경우보다는 기혼인 경우 건강지향 소비재 및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건강지향 소비재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 획득이나 구매의사결정에는 친구나 지인들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사용 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은 건강지향적 소비재 및 서비스의 가격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자산이 많을수록, 기혼일수록, 건강 지향적인 행동을 많이 할수록, 건강지향 소비재 및 서비스 구매 의사결정을 할 때 매체의 영향보다는 건강에 실제 도움이 되는지 고려하는 경우가 건강관련 소비재 및 서비스 사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소득이 적을수록,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고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건강지향 소비재 및 서비스를 향후에 많이 사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heme of ‘health’, which is a new keyword of life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health oriented consumption and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health oriented consump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both qualitative approach and quantitative approach. For the qualitative method, FGI and in-death interview were used and for the quantitative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FGI and interview showed that women over 30’s and married women used health oriented products and services more compared to women in their 20’s and singles. Information from families, friends, and relatives were important when consumers decided to purchase health oriented products and services. Many of the participants in the FGI and interview pointed out that the high price of health oriented products and services hampered their use of those products and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es, consumers with more wealth, who were married, who practiced more health oriented behaviors, and who considered real effects of the products on health used more health oriented products and services. In addition, consumers with less income and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 health were expected to use more health oriented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future.

      • KCI등재

        우리나라 투자자의 자기과신성향

        백은영(Eunyoung Baek),주소현(So-Hyun Joo) 한국FP학회 2011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4 No.1

        본 연구는 행동재무학적 관점에서 투자자의 자기과신성향과 자기과신성향에 따른 포트폴리오 차이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투자자들의 자기과신 성향을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며 자기과신 성향이 있는 투자자들과 그렇지 않은 투자자들의 자산 포트폴리오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과신 성향이 위험자산 투자 비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512명의 투자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투자자와 그렇지 않은 투자자는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고, 특히 포트폴리오 측면에서 살펴볼 때,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투자자의 경우 위험자산 보유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과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직업, 연령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여성에 비해 자기과신성향을 나타낼 확률이 3.7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과신성향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주식보유 비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과신성향이 있는 투자자가 그렇지 않은 투자자에 비해 전체 자산 중 주식을 보유할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overconfidence bias of Korean investo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and investors without overconfidence.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overconfidence bias of investors and whether or not the overconfidence affected stock holdings in their portfolio. The results of the 512 Korean investors showed that male investors were more likely to be an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than female investors.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had more risky assets than investors without such bias. When controlling other factors, overconfid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stock holdings in investors" portfolio. Investors with overconfidence bias held more stocks in their portfolio compared with investors without overconfidence bias. The results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confidence bias of Korean inves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confidence and portfolio of investors.

      • KCI등재

        한.중.일 산업별 기술무역 경쟁력분석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통상정보학회 2021 통상정보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지정학적으로 밀접하면서도 갈등관계인 동시에 가장 큰 무역 흑자와 적자국인 중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하였다. 4차 산업혁명기 기술패권시대에 중국과 일본과의 상품 및 서비스 교역내 부가가치 창출의 근간이 되는 산업별 기술경쟁력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무역특화지수(TSI)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술무역수지 흑자국인 중국의 경우,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술무역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재산업의 경우 분석대상기간 내내 기술수입특화, 즉 기술수출보다 기술수입이 많았으며 더욱이 2019년을 기준으로 그동안 기술수출특화였던 기계, 전기/전자, 건설 산업 등이 기술경쟁력을 상실하며 기술수입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절대적인 기술약세를 보이고 있는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는 일본에 대해 역대 매우 강한 기술의존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섬유, 전기/전자, 소재산업 등에서는 분석대상 10년간 –1에 가까운 기술수입특화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정보/통신산업은 기술서비스와 함께 기술수출특화로 나타나고 있어 對日기술무역수지 적자 감소에 기여하는 산업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일본에 대한 산업별 흑자와 적자를 메트릭스 기법으로 다시 살펴본 바, 우리나라가 양 국가에 가장 큰 기술의존을 보여주는 산업은 소재산업과 기계산업이었다. 이는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소재ㆍ부품ㆍ장비산업(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술경쟁력 강화 정책이 시급함을 반증하는 결과이다. 더불어 전기/전자 산업은 중국과의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면서 2019년에는 적자산업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정치․경제적 상호관계가 매우 밀접한 동북아 3국간 기술경쟁력을 기술무역 데이터를 활용하여 살펴봄으로써 각 산업별 기술경쟁력의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對中전기/전자산업은 흑자기조에서 적자기조로 전환되었고, 그리고 양국 모두에서 취약한 기술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산업이 소재 및 기계산업임을 분석결과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산업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의 실질적인 노력과 정부의 적극적인 기술교역 지원정책 수립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at China and Japan,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trade surpluses and deficits, while also having close and conflicting relations with Korea. In the era of technological hegemon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ach industry, which is the basis for creating added value in goods and services trade with China and Japan. For this purpose, the trade specificity index (TSI)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China, Korea s representative technology trade surplus, it had technological trade competitiveness for most industri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material industry,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was weak during the analysis period. Moreover, as of 2019, the mechanical, electrical/electronic, and construction industries, which ha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lost their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y imports are increasing. Also, in this study, by examining the surplus and deficit by industry for China and Japan again using a matrix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ies showing the greatest technological dependence of Korea on both countries were the materials industry and the machinery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nalyzed the changes i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ach industry by examining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which have very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relationships, using technology trade data.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technology trade with China, which had been in a surplus of technology trade balance, by 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electronic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from a surplus to a deficit industry. This suggests that practical efforts by companies to strengthen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e technology trade support policy by the government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베이비부머 가계 은퇴 진전에 따른 재무행동 변화와 자산선택 행동 결정 요인

        백은영 ( Baek Eunyo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2010년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한 이후 은퇴가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베이비부머 가계의 은퇴 진전은 어떠하며, 그에 따른 재무행동의 변화, 그리고 베이비부머 가계의 자산선택 행동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1년과 2016년 가계금융조사에 포함된 베이비부머 가계를 분석한 결과, 2011년에 비하여 2016년에 은퇴 가계는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약 91%)의 베이비부머 가계는 은퇴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베이비부머 가계의 은퇴는 비교적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은퇴준비 상황은 5년 전과 비교해 볼 때 크게 나아지지 못했으며, 현재 은퇴한 베이비부머 가계의 약 30%는 사적이전에, 약 30%는 공적수혜금에 생활비를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자산수준별로 은퇴 특성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베이비부머 가계의 약 절반 정도는 은퇴 후 공적이전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 측면에서는 금융자산 및 안전자산은 늘리고 실물자산은 소폭 줄이는 등 전반적인 재무관리 행동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타났으나, 그 변화는 미미한 수준이었고, 오히려 5년 동안 부채는 23%나 증가한 가운데 부동산에 대한 투자 성향은 소폭 증가하였다. 베이비부머 가계자산선택 행동영향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 저축 및 투자 목적이 자산선택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다. 주요 저축 목적이 있는 경우 저축 및 금융투자는 가장 기본적으로 택하는 자산선택 행동이며 부동산 자산 선택은 주택마련 또는 은퇴준비의 저축 목적이 있는 경우에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베이비부머 가계가 저금리 상황에서 특별한 투자처가 없는 가운데 은퇴준비의 일환으로도 부동산자산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retirement progr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to examine changes in wealth management behavior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s they were getting toward retirement, an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portfolio selection. The baby boomers in 2011 and 2016 Households’ Finance·Welfare Survey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2016, the retirees were doubled compared to those in 2011. During the 5 years,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 baby boom generation was not getting better. According to the results by asset level of the boomers, about half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ppeared likely to depend entirely on government benefits in retirement. In terms of changes in financial behavior, the baby boomers increased financial asset and safe asset and decreased real asset in their portfolio. Although the direction of the portfolio change was desirable as the boomers approaching retirement but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Rather, the amount of debt was increased 23% during the period and the propensity to invest to real estate was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purpose of saving/invest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determining portfolio selection of the baby boomers.

      • KCI등재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금융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백은영 ( Eunyoung Baek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3

        개인들의 체계적인 자산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역량을 키우는 일은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일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들 대상으로 보다 효과적인 맞춤형 금융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라이프사이클에 주목하였다. 금융교육에 있어서 라이프사이클의 효과와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금융교육 수요를 살펴보기 위해 1,0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금융에 대한 인식 및 금융교육 현황, 그리고 금융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보고 선호하는 금융교육 프로그램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항로짓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금융 및 금융지식, 금융교육 등에 대해서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금융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는 높게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로 금융교육 참여율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금융교육 요구도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금융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수입과 지출 등 기본적인 금전관리의 내용과 저축과 투자에 관한 내용을 알고 싶어하는 응답자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금융교육 기관에 대해서는 경제전문단체 및 기관, 공공기관 등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고, 금융교육 방식이나 교육형태, 교육기간등에 대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일정기간 정기 교육과정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음에도 1주일 미만의 짧은 교육기간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금융교육 내용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라이프사이클의 영향이 다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금융에 대한 인식 요인들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결과에 의하면 대개는 해당 라이프사이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재무문제나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금융교육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금융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금융교육 진행시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맞춤식 교육이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As the economic environment has changed, the financial capability of financial consumer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fe cycle stages on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1,000 respondent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shared the importance of finance,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education. However, less than 20% of the respondents had received financial education. The results on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indicat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ould like to receive financial education regarding cash flow management and saving/investment. Many of them preferred public sectors or economic organization as a financial education provider. Although many respondents wanted a regular program, they preferred a short-term program. The results on the determinants of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the life cycle stages were strongly related to the demand of financial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respondents wanted a program that could solve their immediate financial needs in their life cycle stages. This implies that life cycle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to particular groups in different life cycle stages would be better suited for adults in each different life cycle stages.

      • KCI등재

        중고령층 금융소비자의 금융이용 현황 및 요구도 분석

        백은영(Baek, Eunyou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사회 고령화 진전에 따라 금융시장에서 중고령층 금융소비자들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이용 현황과 금융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어떠한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417명의 50대 이상 중고령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현재 재무상태, 금융기관 이용현황 및 금융상품 보유와 향후 보유하고자 하는 금융상품 및 선호하는 금융서비스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은 자산 보유 수준에 있어서 상당한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많은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은 금융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 이용에 있어서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은 이용 편의성에 좀 더 주안을 두고 있었으며, 금융기관 직원을 통해 금융상품이나 투자 정보를 얻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은 은행과 같은 안전성이 높은 금융기관을 거래하는데 익숙해져 있으며 예금 위주로 거래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금융상품 보유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금융지식 변수였으며 금융지식이 많은 중고령 금융소비자일수록 좀 더 다양한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었다. 향후 보유하고자 하는 금융상품이나 선호하는 금융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주관적 경제인식, 직업 등으로 나타났다. The demography of the society has changed as society has been aged. The role and influence of senior consumers would be greater as the society has changed. Financial industry is the one of the industry that has the highest growth potential in aging society. Thu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senior financial consumer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1) describe the current senior financial market including financial status, the use of financial institutions, financial knowledge, the needs for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2)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ownership of different types of financial products, and 3)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 preference of the types of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big differences in terms of asset holding of senior financial consumers by their asset groups. In terms of preference for financial products, many senior financial consumers wanted a high return financial products. Many of them did not have much financial knowledge; thus, they tended to rely on employees at financial institutions to obtain investment information. The senior financial consumers were accustomed to use financial institutions providing high stability such as banks.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ownership of different types of financial products was financial knowledge. The significant factors determining the preferences of the types of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were age, subjective financial status, and occup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가계의 부동산 투자 행동에 관한 연구

        백은영(Eunyoung Baek)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3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가계의 은퇴가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은퇴가 진행중인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가계의 부동산 자산에 대한 투자 행동은 어떠한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부머 가계의 부동산 투자 의향은 어떠한지, 베이비부머 가계와 이후 세대 가계의 부동산 투자 행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부동산에 투자를 한다면 선호하는 유형은 어떠하며, 어떠한 목적에서 투자를 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구주가 베이비부머에 해당하는 전국의 2,010개 가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베이비부머 가계의 절반 이상은 여전히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많으며 특히 은퇴 시점이 가까워 오면서 자산을 유동화하기 보다는 은퇴 이후 꾸준한 소득에 대한 니즈를 부동산 투자를 통해 충족시키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수준에 상관없이 부동산 투자 의향은 높게 나타났는데, 주택 미보유 베이비부머 가계는 여전히 주택 마련 니즈를 나타냈으며, 주택을 보유한 베이비부머 가계는 노후대비, 임대수익 등을 목적으로 부동산에 투자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투자 의향에는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자산, 부채, 소득 및 주택가격 전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동산 투자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로 자산, 소득 등 재무적 변수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al estate investment behavior of baby boom household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analyzed baby boom households’ intention to invest in real estate, and the purpose of their real estate investment. The study also compared real estate investment behavior and financial status between baby boom households and post-baby boom households. Using the 2016 Households’ Finance & Welfare Survey, a total of 2,010 baby boom household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baby boom households in Korea are approaching retirement, more than half had intention to invest in real estate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assets. Baby boom households in the lowest asset group (the lower 25%) still had the desire to have their own home, and many of the rest of baby boom households would like to invest in real estate as a source of steady income for their retirement. Gender,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level of assets, level of debt, income and the positive prospect for future price of their home were significant factors on the intention to invest in real estate. For the purpose of investment, financial factors such as level of assets or income leve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Mixture Model을 활용한 중고령 금융소비자 유형 연구

        백은영(Eunyoung Baek),고화정(Hwa Jung Kho) 한국FP학회 2015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8 No.1

        최근 전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따라 실버경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중고령자에 대한 관심과 분석은 그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령 금융소비자들이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되는가를 분석하여 중고령 금융소비자 시장이 어떻게 구분되고 형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mixture model을 활용하여 중고령 금융소비자를 유형화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50대 이상 중고령 금융소비자를 분석한 결과, 중고령 금융소비자는 2개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전체 65%정도를 차지하는 유형 1은 ‘편의지향형’으로 소득 및 자산 보유액은 다소 낮고 경제적 측면이나 금융관련 능력, 금융지식 등이 중하 정도 수준으로 평가되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 유형은 금융기관 거래동기나 금융정보 획득 경로등을 분석해 보건데, 금융기관 거래에 다소 수동적인 경향을 띄므로 금융상품이나 서비스에 깊은 관여를 하기 보다는 가까운 위치를 선호하거나 미디어나 지인 등 주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금융 정보에 상당 부분 의지하는 경향을 보이는 등 편의중심적으로 금융거래 성향을 띄고 있다. ‘금융상품 및 서비스 지향형’으로 명명된 두 번째 집단인 유형 2의 경우는 전체의 35%에 해당하는 집단으로 소득 및 자산이 많고, 경제적 상황 및 능력이 중상 정도 이상인 집단이다. 금융기관 이용 형태에서는 유형 1과 유사한 행동도 일부 보였지만, 보다 금융상품이나 전문가 서비스를 지향하며 자산이 있는 만큼 좀 더 적극적으로 금융기관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성향을 보이는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increase in an aging population, the interests in the silver economy in global market have been growing. As the interests in the silver economy have emerged, the attention on senior market and the importance of analysis of this market have increased. Thus,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arket segmentation of senior financial market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ation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senior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tudy utilized a mixture model. The results of 396 senior financial consumers collected by a survey showed that senior financial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convenience oriented consumers" (65%), the other is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oriented consumers"(35%). In terms of each group"s characteristics, the convenience oriented consumers had relatively low level of income and assets. They did not have much confidence in their financial ability and did not have enough financial knowledge. Their transaction motiv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channel of obtaining financial information indicated that they had a passive attitude towards financial transaction. Thus, they seemed that they did not highly involved in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Rather, they preferred the ease of access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relied on information that they could easily obtain. However, the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oriented consumers had much more income and asset compared to the convenience oriented consumers. This group of consumers were affluent group in terms of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y were more likely to highly involved in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and would like to have financial services from the exper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