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일과 운영방식의 탐색: 교실운영 및 상호작용 관계를 중심으로

        백은미 ( Eunmi Baek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8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9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유치원 일과 운영방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1개 어린이집의 만 4~5세로 구성된 학급 중 성격유형이 다른 교사 3인으로 구성된 한 학급을 선정하고 교사들의 교실운영과 상호작용 방식을 관찰,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선정된 학급의 교사들은 팀티칭으로 교실을 운영하기에 신학기 적응 기간인 3월보다 교사 간의 상호작용과 협력의 양태를 좀 더 쉽게 관찰할 수 있는 4월부터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3인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초부터 6월 말까지 매일 자기반성 저널 작성을 요청하고 주 1회 그룹 면담과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필요시에는 교사의 허락하에 수업 참여관찰을 통해 각 교사의 학급 운영방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흥미를 보이는 교수활동이 달랐는데 교사들은 자신이 관심이 있는 활동들을 할 때 가장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학급운영에 참여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자신과 성격유형이 다른 교사들의 행동방식과 그 방식의 장단점을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각자의 부족한 측면들은 동료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보완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어린이집 교사들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개발에 있어 교사의 성격유형을 적절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of daily routine schedule among personality type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this purpose, a class with 4- and 5-year-old children of a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as selected; it has three teachers as a team, all of whom have different MBTI personality type. The specific procedur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ss operation styles and interaction styles among three teachers were observed from April rather than March when the kindergarten starts because their styles were more stable on April. From April to June of 2015, each of three teachers was requested to complete a daily reflection note and both individual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hen needed, classroom observation was made upon teachers’ permission to gather information on their class operation styles and interaction patterns. Main results of analysis of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differed in preferable class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 each teacher appeared most active and passionate when they do class activities that they like. In addition, teachers knew each ot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erms of their class operation styles and put efforts into helping one another when needed.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eachers’ personality type in designing and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limit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침묵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탈중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은미(Eunmi Baek),홍혜영(Hye-Young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자기침묵의 매개효과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탈중심화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불안에 대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자기침묵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침묵을 통해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로에서 탈중심화는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탈중심화가 높을수록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침묵을 통해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매개효과가 완화되어 사회불안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침묵을 매개로 사회불안이 야기될 때, 탈중심화가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centering and self-silencing in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We predicted self-silencing would function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and that decentering would moderate this mediation effect. To investigate this aim, three hundred seven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Conversely,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ilencing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ed social anxiety through self-silencing, and decentering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Implications and potential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