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만삭산모에서 신생아 체중 및 성별에 따른 태아심박동의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

        백민현 ( Min Hyun Baek ),천상훈 ( Sang Hoon Chun ),이수진 ( Soo Jin Lee ),김영재 ( Young Jae Kim ),최재호 ( Jai Ho Choi ),박문일 ( Moon Il Park ),정성노 ( Sung No Chung ),최원영 ( Won Young Choi ),차경준 ( Kyung Joon Cha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2

        목적: 정상만삭임신부에서 신생아 체중 및 성별에 따른 태아심박동(FHR)의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2006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통원하거나 외래를 통해 입원한 산모의 분만 전 NST를 시행한 산모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FHR과 제 변수의 기본적 통계치를 총괄적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태아 체중별로 산모를 4군으로 나누었으며 이 각 군은 50명의 남아와 50명의 여아로 이루어져 있고(2,500 g 미만, 2,500-3,000 g 미만, 3,000-3,500 g 미만 그리고 3,500 g 이상)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컴퓨터화된 태아심박동 분석체계인 Hanyang Fetal Monitoring System-II (HYFM-II, Window version 1.0)을 동원하였다. 결과: 태아심박동 제 변수에 대해 신생아체중에 따라 분류된 각 군에서 성별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FHR 제 변수에 대한 신생아체중에 따라 분류된 각 군 간의 차이와 성별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한 분산분석에서 태아체중에 따라 분류된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FHR 제 변수에 대한 각 신생아체중 군의 성별 간 검증을 위한 분산분석에서는 태아심박동 감소수 (15 bpm~15 sec)에서만 신생아체중에 따른 군에서 성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외의 제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적어도 정상 만삭임신에서 태아심박동의 각 변수는 태아의 체중과 성별로 분류한 각 군에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정상만삭임신에서는 태아심박동을 조정하는 태아의 자율신경계가 거의 성숙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라 판단되는데, 저자들은 향후 만삭전 임신 및 각종 고위험임신에서의 신생아 성별 및 체중별 분석을 시도할 예정이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each fetal heart rate (FHR) variables between each categorized group according to birth weight and fetal sex using computerized analysis system of fetal heart rate. Methods: Non stress test (NST) of four hundred normal pregnant women were grouped based on birth weight to 4 groups, <2,500 g, 2,500~<3000 g, 3,000~<3,500 g and above 3,500 g. Fifty male and 50 female babies entered to each group. So, 100 normal pregnant women entered for the study in each group.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and values of each variables, our own FHR interpretation sofware, HYFM-II (Windows version 1.0) was used. Result: From the comparison between each group classified by each criteria, there were no specific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FHR, FHR variability (amplitude & mean minute range), signal loss rate, number of fetal movements, the number of FHR acceleration & the number of FHR deceleration those were obtained by our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Conclusion: We confirm that there were no specific differences in each FHR varibles according to birth weight and fetal sex at least in term normal pregnancy.

      • KCI등재

        정상 임산부에서 제대혈 렙틴농도와 모체, 태반, 태아요인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일동 ( Il Dong Kim ),백민현 ( Min Hyun Baek ),김라현 ( Ra Hyun Kim ),김탁 ( Tak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목적: 렙틴은 몸 전체의 무기질 함량, 태아 뼈 성장 자극, 자궁내 태아의 폐 발달, 소아와 성인에서의 영양분의 섭취, 에너지 대사와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신생아의 제대혈 렙틴농도를 측정하여 태아의 발육을 나타내는 지표와, 산모의 생활 습관요소와 태반의 요인들 사이의 상호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정상 분만한 50명의 산모에서 제대혈을 채취하여 면역방사계수 측정법을 사용하여 제대혈 농도를 측정하였다. 렙틴의 농도와 산모의 나이, 신생아 성별, 임신 주수, 흡연, 음주, 태반 무게, 신생아 체질량 지수, 산모의 체질량 지수, 머리둘레, 가슴 둘레와 상호관계를 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남아에서 렙틴은 임신 주수, 신생아의 체질량 지수, 머리둘레 및 가슴둘레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아에서는 신생아 체질량지수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임신주수, 산모의 나이, 신생아의 체질량 지수, 산모의 체질량 지수 및 가슴둘레가 렙틴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생아의 성별에 따른 렙틴농도의 차이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서 평균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흡연군과 비흡연군, 음주군과 비음주군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렙틴과 상관 관계가 있는 산모의 요인은 산모의 나이, 임신 주수, 체질량 지수 이고, 태아의 요소는 체질량 지수와 가슴둘레이다. 이는 태반의 요인보다는 산모와 태아요인이 렙틴과 더 많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Objective: Umbilical leptin concentra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whole-body mineral content, fetal bone growth stimulation, pulmonary development in utero, nutritional intake, energy metabolism, and adiposity in children and adul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ternal factor, placental factor and fetal factor on cord blood leptin concentrations. Methods: We measured leptin concentration in umbilical cord blood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in 50 women with uncomplicated singleton term pregnancies.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leptin level with maternal age, sex, gestational age, smoking, placental weight, neonatal body mass index, maternal body mass index,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by sim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ptin and gestational age, fetal BMI, head circumference, and chest circumference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244 (P=0.010), 0.182 (P=0.030), 0.243 (P=0.011), and 0.228 (P=0.014), respectively in the male neonat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ptin and fetal BMI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0.341 (P=0.003) in the female neonat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leptin and neonatal gender was observed, in spite of higher mean value of female leptin concentration level.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leptin and smoking and drinking of mother was observed. Conclusion: In this study, lepti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ternal age, maternal BMI, gestational age, fetal BMI, and chest circumference. It was suggested that leptin level was more associated with maternal factor and fetal factor than placental factor.

      • KCI등재

        제대동맥협착으로 일측 태아사망을 초래한 쌍태임신

        천상훈 ( Sang Hoon Cheon ),김라현 ( Ra Hyun Kim ),백민현 ( Min Hyun Baek ),김일동 ( Il Dong Kim ),정세민 ( Se Min Jang ),백승삼 ( Seung Sam Baik ),박문일 ( Moon Il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3

        A death of one fetus in twin pregnancy is a rare obstetric complication. And the stenosis of umbilical cord artery is a very rare complication of cord abnormalities. The umbilical cord showed a false knot due to accentuation of a vascular spiral with a dilated vein and two arteries with incomplete patency of the lumen. This is the first report of single demise of twin pregnancy due to umbilical artery stenosis and umbilical vein varix.

      • KCI등재

        복강경수술로 교정된 방광질루

        김승룡 ( Seung Ryoung Kim ),김성희 ( Sung Hee Kim ),이수진 ( Su Jin Lee ),백민현 ( Min Hyun Baek ),천상훈 ( Sang Hoon Cheon ),최홍용 ( Hong Yong Choi ),이정한 ( Jung Han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0

        Vesicovaginal fistula may be a complication of gynecologic and obstetric procedures, of which abdominal hysterectomy remains as the most common cause.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transvaginal or transabdominal surgical techniques for the correction of this condition, we performed a laparoscopic repair to reduce the morbidity of the transabdominal approach. A 4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urinary incontinence after undergoing Cesarean hysterectomy for uterine atony eight years ago. After confirming her vesicovaginal fistula, laparoscopic repair was performed. The bladder and vaginal walls were mobilized by meticulous dissection and repaired by intracorporeal stitches in 2 layers followed by omental interposition. Total operative time was 3 and half hours and estimated blood loss was about 400 ml. Foley catheter was removed at 23rd day after operation. Patient was discharged at 26th day after confirming the complete correction of the fistula by cystogram. Laparoscopic repair of a vesicovaginal fistula appears to be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중북부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에서 세근과 낙엽,낙지 동태 연구

        박병배 ( Byung Bae Park ),안지영 ( Ji Young An ),성주한 ( Joo Han Sung ),한시호 ( Si Ho Han ),백민현 ( Min Hyun Bae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낙엽·낙지와 더불어 세근은 온대산림의 탄소와 양분 순환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낙엽·낙지 생산량과 잔뿌리 생산성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광릉장기생태연구지의 5개 활엽수림과 4개 침엽수림에서 수행되었다. 낙엽망과 Ingrowth cores 방법으로 2년 동안 낙엽·낙지량, 잔뿌리 바이오메스, 잔뿌리(직경 2mm 이하) 생산성을 예측하였다. 잔뿌리 턴오버는 활엽수에 비해 침엽수에서 약간 높았으며 잔뿌리 생산성은 2년차에서 138~490 g m-2으로 조사되었다. 낙엽량(340~597 g m-2)은 잔뿌리 생산성보다 높았고 변이가 적었다. 잔뿌리 생산성은 지상부 낙엽량이나 변재 생산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이 연구에서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We have short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terfall and fine root dynamics in temperate forest ecosystems even though these are major components in carbon and nutrient cycling. We studied litterfall, fine root biomass and production in five deciduous and four coniferous forests at the Gwangneung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Korea. We used ingrowth cores to measure fine root turnover for two years. Collected roots were divided into living and dead roots with <0.5, 0.5-1, 1-2 and 2-5mm in diameter. Litterfall was separated into leaves, twig, bark, seed, and others and all leaves were further separated by species. Our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fine root turnover rate was 1.68 year-1 for deciduous forests and 2.07 year-1 for coniferous forests. Annual fine root (<2 mm) production ranges from 47 to 335 g m-2 in the first year and from 138 to 490 g m-2 in the second year. The annual litterfall production ranges from 340 to 597 g m-2. For further research, we will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ine root production, litterfall producti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contribution of fine root and litterfall to nutrient dynamics by forest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