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거공간 변환형 급수탑의 재생과 디자인 방법 연구

        배현민(Bae, Hyun-Min),심은주(Shim, Eun-J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Development in technologies generate new spatial needs and for some buildings no longer in need such as water towers. Water towers were built in order to supply water to steam locomotives which are now extinction, leaving water towers neglected. Even though water towers have lost their functions they still are iconic symbols of industrial revolution and modernization which has brought great changes in how we l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values of regenerating water towers. The researchers have looked into water towers and their social and architectural qualities and design methods used in adaptive reuse of early modern building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investigated water towers in europe and asia that are redesigned for new programs and users. Finally, water towers in europe which were converted into residential spaces since 1990, were selected and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The researchers found that water towers were mostly converted into residential and hospitality maybe due to their size but sometimes into public spaces. In residential spaces, due the narrow and vertically long spatial characteristics, spiral stairs serve as main circulation and each floor has a small semi-public space located. Moreover, the upper levels are used as the pubic areas such as living room, of the due public spaces such as observatory terrace, living rooms, study room, even swimming pool.

      • KCI등재

        교사의 심리적 소진 연구 국내 연구동향: 2013년∼2020년을 중심으로

        배현민 ( Bae Hyun Min ),최지영 ( Choi Ji Yo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된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KCI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61편과 학위논문 102편을 대상으로 출판년도, 연구대상, 표본의 크기, 인구학적 변인, 사용된 척도, 연구방법, 변인설정을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판년도별로는 2016년이 27편(학위논문 20편, 학술지 논문 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별로는 초등교사가 78%로 가장 많았다. 표본크기별로는 여자(72.1%)가 남자(27.9%)보다 많았고,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 중 회귀분석이 가장 많았으며, 사용된 척도는 Maslach와 Jackson(1981)의 MBI를 번안한 척도가 90%로 가장 많았다. 심리적 소진의 변인설정은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다른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본 경우가 대부분(88%)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research conducted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from 2013 to 2020. The main results of analyses of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 demographic variables, measurement tools, research methodology, and variable settings in 61 journal articles and 102 thesis/dissertations on the KCI listing and candidate sites were as follows: For publishing year, 2016 was the most publications, 27 (20 thesis/dissertations and 7 journal articles); regarding research subjec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udied the most, found in 78% of the publications; for demographic variables, women (72.1%) outnumbered men (27.9%); regression analysis was the most commonly used data analysis method among the quantitative studies, and 90% of the measures used were based on the MBI of Maslach and Jackson (1981); in most cases (88%), psychological burnout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to examine the effect of other variables on psychological burnout. Finally, we discussed the findings and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교사 직무 스트레스 연구 동향 분석

        배현민(Hyun-Min Bae ),최지영(Jiyoung Cho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미래교육학연구 Vol.3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교사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139편을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분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둘째, 연구에 가장 많이 사용된 척도는 김정휘(1991)의 척도로 나타났다. 셋째, 분석방법은 회귀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변인 설정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넷째, ‘직무스트레스’ 는 출현빈도가, ‘직무스트레스-심리적소진’은 동출현성이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은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모두 높은 키워드로 나타났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교사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규명함으로써 국내 교사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teacher occupational stress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acher job stress research.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on 139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registered and candidates for registration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ost, and the most used scale in the study was that of Kim Jeong-hwi(1991). As the analysis metho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most, and for the variable setting, the teacher's occupational stress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was ‘occupational stress’, and the keyword pair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was ‘occupational stress-psychological burnout’.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job satisfac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 교육심리학 분야의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연구 동향 분석

        배현민(Bae, Hyunmin)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25 No.-

        본 논문에서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사회 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논문들 중에서 교육심리학과 관련된 주제를 연구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도별 연구 추이를 분석한 결과, 발표된 논문은 총 22편으로 연평균 1.3편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2014년도에 4편으로 가장 많았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교육심리학 분야의 연구는 아직은 미미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사회 연결망과 학업 관련 변인의 관계를 다룬 연구가 59%인 13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 교우관계, 집단따돌림등을 연구한 논문들이 있었다. This paper analysed the research trend of the articles related to educational psychology from th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16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Analysis of the yearly trend shows that an annual average of 1.3 article was published in a total of 22 articles and the most with 4 articles was published in 2014. In light of this, studies in educational psychology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are still poor. After analyzing research topics, the studies addressi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learning were the most with 13 articles(59%) and other topics such as friendly relationship and bullying were included. NetNiner, as an analytic tool, was most in 17 article(77%). More social network analysis about topics associated with educational psychology will need to be done with varied tools and index.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 연구동향: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배현민(Bae, Hyunmin),최지영(Choi, Jiyo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128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방법(분석방법, 측정도구), 연구변인,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논문은 2003년에 첫 발표되었으며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유치원교사, 특수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에서 사용된 척도는 박지원(1985)의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수정․보완한 척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나 2011년부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층모형 분석은 2017년부터 나타났다. 셋째,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의 개인특성과 관련된 내용이었으며 주요변인에 따른 특징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cover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social support for teachers. For this purpose, 128 academic papers published o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 registry were analyzed according to subjects of research, the research methodology(analysis methods, measurement tools), the research variables, and the research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nual research papers were first published in 2003 and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2010. Infant teach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subjects, follow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measurements which modifiy and supplement the indirectly perceived social support measures of Park Jee-won(1985) were used open most,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were often not secur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most as an analysis method, bu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s been used considerably since 2011, and the multi-level model analysis has been shown since 2017. Third, the subjects most studied were related to job stress and teacher 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ajor variabl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