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프랭크 게리 뮤지엄 설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배이진(Bae, Yi-Jin),조자연(Cho, Ja-Y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5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F. Gehry’s museum architecture’s extremely abstract and chaotic space composition and that of other architect’s. Gehry’s four museum architectures built from late 1980s to 2000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ur more museums, built in the same era with the size of that (atypical) museums, were selected for comparative studies. Space Syntax,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spatial configuration, is us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l spaces. The Result shows that Gehry’s museum architectures’ connectivity is 0.375 times bigger and integration is 0.731 times smaller than the compared museums. High connectivity suggests that their visitors could take diverse routes. Low integration implies that their routes are less efficient than the compared museums overall. Their intelligibility is slightly higher than the other museums. This means their visitors have comparatively high understanding of the internal space.

      • 비정형적 뮤지엄건축의 공간구문론적 적용과 분석에 관한 연구

        배이진(Bae, Yi-Jin),조자연(Cho, Ja-Y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the informal structure in which the exterior related inside space with the use of space syntax among Gehry’s unique museum work. As analyze tool space syntax is work out spatial configuration data quantitatively through visual connection and physical access. I analyzed three of Frank Gary’s dynamic and atypical museums built between 1980 to 90. Through compare and contrast of space structure between atypical and typical museums built during that time period, I plan to present basic data for designers preparing atypical construction in the future. Integration value, connectivity, and intelligibility variables will be us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space structure. The difference between atypical and typical museums will also be analyzed in accordance to whether the presence of center space leads to general or more specific category will also be analyzed.

      • KCI등재

        사회적 관계망, 일상적 어려움, 사회적 지지가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선영,오영림,배이진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the application of basic resources needed for the construction of practical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for foreign workers by examining how social networks, daily difficulties and social support systems influence the mental health of foreign workers. In order to research the state of mental health of foreign workers, subjects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randomly targeted, and 190 copies of resources were analyzed amongst the total of 216 copies.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First, in terms of daily difficulties and social networks’ influences on mental health, depression was displayed to be higher for cases when physical or mental difficulties were experienced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experience such difficulties. A higher number of subjects displayed anxiety amongst workers who experienced physical or mental difficulties and insults, as well as for those who did not have other foreign friends who could relate with the difficulties of expatriate life. Secondly, the level of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South Korea between workers who experienced communicative barriers as well as those who had been the recipients of insults. Thirdly, the same was true in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ose who experienced anxiety; physical./mental difficulties, communication barriers, and insults all contributed to the high level of anxiety experience among workers. Fourthl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nalysis of variance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nxiety following the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displayed. However, in the case of anxiet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workers had other foreign friends and/or participated in foreign worker support groups. Fifth and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differences existed in mental health in accordance to hardships,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foreign workers encounter in South Kore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ere not displayed for depression but were displayed for anxiety.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망, 일상적 어려움과 사회적 지지가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인 근로자들의 실질적인 정신보건서비스전달체계의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조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무작위로 표집하였으며, 총216부 중 19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의 어려움과 사회적 관계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의 경우,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인격모독을 경험한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가까운 외국인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한국에서 겪는 어려움에 따른 우울의 차이에서는 의사소통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인격모독이 있는 경우 사회적지지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한국에서 겪는 어려움에 따른 불안의 차이에서는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의사소통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인격모독이 있는 경우 사회적지지 정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우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불안의 경우에는 가까운 외국인 여부와 참여하는 외국인 근로자 지원단체 여부, 외국인 근로자 지원단체 참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섯째, 외국인 근로자들의 한국에서 겪는 어려움과 사회적 관계망, 사회적 지지에 따라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 가를 알아본 결과 정신건강 중 우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 사회공헌의 참여동기 및 진정성에 관한 질적연구: 지역사회복지관과 의료복지현장 사회복지사 인식을 중심으로

        최현영,최서경,배이진,정희선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3 사회적기업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현장에서 인식하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참여동기와 진정성에 대해 심층적 이해를 돕고자 사회복지관과 의료복지 현장의 사회복지사 인식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두 복지현장의 사회공헌 및 대응 업무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사 총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실시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의미있는 진술이 총 133개, 이 중 핵심주제는 7개, 부주제는 총10개로 나타났고, 공통요소는 4개, 차이요소는 3개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인 핵심주제는 안심과 소통, 참여시기와 지속, 책임자 역할, 실무자역량으로 나뉘었고, 차이요소에서는 소통방법, 실무자역량, 코로나19시기관심변화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업 사회공헌 활동의 참여동기 및진정성에 대하여 현장에서의 이해를 확장시킬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