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행성 슬관절염에서 시행한 미세천공술의 임상적 및 방사선적 중기 추시 결과

        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노정호(Jung Ho Noh),김만호(Man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미세천공술 후 중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0월부터 2006년 4월까지 관절경적 미세천공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4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Baumgaertner의 슬관절 기능평가방법을 이용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술 전과 최종 추시시 슬관절 방사선사진에서 관절 간격의 변화와 역학적 축의 내측 전위 정도를 계측하였다. 결과: Baumgaertner 점수는 최종 추시시 7.0이었고, 73.1%에서 양호 이상이었다.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사진상 관절 간격은 술 전 2.74 ㎜, 1.91 ㎜, 최종 추시시 4.22 ㎜, 3.85 ㎜이었다. 역학적 축의 내측 전위 정도는 술 전 평균 57.5%, 최종 추시시 45.8%이었다. 매년 추시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가 대부분에서 변화 없이 유지되었으나, 4예에서 술 후 평균 4.1년에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미세천공술 후 동통의 감소, 관절 간격의 증가, 하지 정열의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중기 추시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는 지속적인 체중부하에도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유지되었다. Purpose: To evaluate midterm results after microfracture in osteoarthritic kne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97 and April 2006, 67 osteoarthritic knees, with minimum 4-year follow-up, underwent microfracture. Baumgaertner score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clinical results. Radiological results were assessed based on joint space widening and improvement of mechanical axis deviation. Joint space widening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preoperative joint space with the final follow-up joint space. Varus deformity was evaluated on orthoroentgenogram and recorded as a percentile of the point at which the mechanical axis intersected a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knee to medial border of the medial tibial condyle. The figure was expressed as MA%. Results: The average Baumgaertner score at final follow-up was 7.0. The average joint space changed from 2.74 ㎜ to 4.22 ㎜ on AP radiographs and from 1.91 ㎜ to 3.85 ㎜ on lateral radiographs. Average MA% was 57.5% preoperatively and 45.8% at final follow-up. Clinic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s were maintained in most cases followed for more than 4 years. Four patients had total knee arthroplasty after an average of 4.1 years. Conclusion: We noted pain relief, joint space widening, and improvement of mechanical axis after microfracture for degenerative arthritis of the knee. Maintenance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at midterm follow-up.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 전후의 후방 경사각 변화

        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노정호(Jung Ho Noh),김만호(Man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2

        목적: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수술 전 후 후방 경사각을 계측하여 분포를 비교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6월부터 2005년 5월까지 NexGen<SUP>®</SUP>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받은 20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39.8개월이었다. 두 명의 관측자가 각각 수술 전 후 근위 경골 골수강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한 후방 경사각(PSA-A)과 근위 경골 피질골의 전연을 기준으로 한 후방 경사각(PSA-B)을 계측하였다. 술 전 후방 경사각에 따른 수술 전 후 변화를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적 결과로 최종 추시시 American Knee Society의 Knee and function score와 슬관절의 운동범위를 조사하였다. 결과: PSA-A는 술 전 평균 1l.4±4.8°, 술 후 평균 6.0±2.8°이었고, PSA-B는 술 전 평균 13.6±4.9°, 술 후 평균 8.1±2.9°이었다. 술 전 PSA-A는 6.0°에서, PSA-B는 8.1°에서 차이가 클수록 수술 전 후 후방 경사각의 차이가 증가하였다(PSA-A: r=0.837, p=0.000; PSA-B: r=0.834, p=0.000). Knee and function score는 술 전 평균 52.9, 55.8이었고 최종 추시시 평균 97.4, 89.7이었다. 슬관절의 운동범위는 술 전 평균 128.0°, 최종 추시시 129.7°이었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 경사각은 근위 경골 골수강 기준으로 6.0±2.8°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pre- and postoperative posterior tibial slope angle (PSA) of performing cruciate-retain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o identify the ideal value of the PSA in relation to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9 to May 2005, 202 TKA with a NexGen<SUP>®</SUP> cruciate-retaining knee were performed in 160 patien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9.8 months. The pre- and postoperative PSA referenced by the proximal tibial medullary canal (PSA-A) and the proximal tibial anterior cortex (PSA-B) were measured by two independent observers. The knee and function scoring system of the American Knee Society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at the last follow-up were evaluated as the clinical results. Results: The mean PSA-A was 11.4±4.8° preoperatively and 6.0±2.8° postoperatively, and the mean PSA-B was 13.6±4.9° preoperatively and 8.1 ±2.9° postopera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operative PSA increased as the preoperative PSA-A changed from 6.0° and the PSA-B changed from 8.1°; these finding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a simple linear regression (PSA-A: r=0.837, p=0.000; PSA-B: r=0.834, p=0.000). The knee and function score of American Knee Society improved respectively from 62.9 and 55.8, preoperatively, to 97.4 and 89.7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joint was 128.0° preoperatively and 129.7°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In cruciate retaining total knee arthroplasty, PSA-A is mostly distributed within 3.2-8.8°, and a reasonable range of PSA-A is 6.0±2.8°.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자동 항법 장치와 고식적인 수술법에 따른 삽입물의 방사선 계측치에 대한 비교 분석

        대경(Dae Kyung Bae),윤경호(Kyoung Ho Yoon),송상준(Sang Jun Song),김선구(Sean Goo Kim),임양진(Yang Jin Im),김만호(Man 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4

        목적: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삽입물의 위치를 방사선학적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동 항법 장치를 사용하여 슬관절 전지환술을 시행하였던 40예와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중 연령, 성별, 진단명, 좌우, 사용한 기구, 후방십자인대 보존 여부 등을 조화시킨 40예를 대조군으로 하여 수술 후 방사선 사진상 대퇴골 인공삽입물의 내외반각(α각), 경골 인공삽입물의 내외반각(β각), 대퇴골 인공삽입물의 굴곡각(γ각), 경골 인공삽입물의 경사각(δ각)을 측정하고 전방 절흔(anterior notch)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α각, β각, δ각, 대퇴골 전방 절흔은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γ각은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군에서 평균 0.28±1.96°이었고 고식적인 슬관절 전치환술군에서 평균 2.39±2.73°(p<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과 고식적 슬관절 전치환술에서의 대퇴골 삽입물 내외반각, 경골 삽입물의 내외반각과 후경사각, 대퇴골 전방 절흔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퇴골 삽입물 굴곡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동 항법 장치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시 대퇴골 인공삽입물을 시상면상 보다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었다. Purpose: To compare radiologic measurements of femoral and tibial component position in the total knee replacement (TKR) using computer-assisted surgery (CAS) with those of conventional TKR. Materials and Methods: Two groups of 40 TKRs each were operated on using a CT-free navigation system or the conventional technique. Patients in both groups were matched according to age, gender, diagnosis, prosthesis and PCL retaining or substitution. We measured femoral component frontal (α angle) and sagittal angle (γ angle), tibial component frontal (β angle) and sagittal angle (δ angle). We also studied whether femoral notch was present or no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α angle, β angle, δ angle and femoral notch between CAS and conventional TKR (p>0.05). The mean γ angle in the group of TKRs using CAS was 0.28±1.96°, and in the group of conventional TKRs was 2.39±2.73° (p<0.0001).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ce. Conclusion: Our study has shown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pha, beta, delta angle and incidence of femoral notching between CAS TKR and conventional TKR. Gamma angle was different statistically between CAS TKR and conventional TKR. The CAS afforded to precisely place femoral component in sagittal plan than conventional method.

      • KCI등재

        교육훈련내용의 직무연관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적 분석

        성은(Bae Sung Eun),이건만(Lee Kohn Ma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미래교육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2013년도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교육훈련내용의 직무연관성이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교육훈련내용의 효과를 보다 정밀하게 규명하기 위해 교육훈련전이와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여 밝혀내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교육훈련내용의 직무연관성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교육훈련전이는 조직몰입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관계를 직무만족도가 매개하고 있어 교육훈련전이가 조직몰입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육훈련을 실시함에 있어 교육내용의 직무연관성을 최대한 높일수록 교육이수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자극제가 되어 이것들이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결론을 도출해내었다. Drawing on 2013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s of educational training contents and its relevance to job competence on organization commitment. For the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 method was employed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mediating effects of transition training inform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 that educational training contents and its relevance to job competence hav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by way of job satisfaction appears to show significant verifications. However,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training does not have any direct effect to organization commitment. In case of considering the mediating impa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ransition training information, the indirect effect by transition training information was shown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 commitment.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al traninig contents have official association with job adaptation the more competency of job implementation those who take the opportunity of educational training. In conclusion, the job relev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formation not only improve job skills but also stimulate job satisfaction, which lead to integrity toward organization commitment.

      • KCI등재후보

        중년여성의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 척도 개발

        배성만(Sung-Man Bae),김병선(Byung-Sun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고자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5∼44세 사이 406명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예비문항을 실시하였다. 총 91문항 중에 내용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5문항을 제거하였고, communality가 .30 이하인 16개의 문항을 삭제하였다. 요인추출은 최대우도법으로 요인회전은 direct oblim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factor loading이 .30이하이고 두 개 이상의 요인에 double loading된 17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3개의 하위요인은 총 변량의 41.82%를 설명하였으며 1요인은 신체화, 2요인은 분노, 3요인은 부정적 정서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247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에 대한 모델의 전반적인 부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된 회귀계수가 .50 이하이고 다중상관계수가 .20 이하에 해당하는 2개의 문항을 제외한 총 40문항을 최종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준거변인으로 설정하고 스트레스 반응과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나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daily stress response scale for middle-aged woman. We surveyed 91 preliminary items for 406 middle-aged woman, from 35 to 44 ag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 excluded 5 of 91 items through content and item analysis and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liminated 16 items which were under communality value .30. Next to, we removed 15 items which were under factor loading .30 and double loading with two or more factors and final inventory were composed to 40 items. internal reliability of total items was good as .941 and 3 sub-factors explained 42.82 percents of a total variance of inventory. Each factors were named as follows. First factor is a somatization, second factor is a anger, third factor is a negative emo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response and perceived stress and this result imply that criteria validity of daily stress response inventory was guarant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