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체동물 유전체 연구현황

        방인석,한연수,이준상,이용석,Bang, In-Seok,Han, Yeon-Soo,Lee, Jun-Sang,Lee, Yong-Seok 한국패류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6 No.4

        The availability of fast and inexpensive sequencing technology has enabled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to conduct many genome sequencing and expressed sequence tag (EST) projects of diverse organisms. In recent years, whole genome projects have been undertaken to sequence ten species from the phylum Mollusca. These include Aplysia californica, Lottia gigantea, Crassostrea virginica, Spisula solidissima, Mytilus californianus, Biomphalaria glabrata, Crepidula fornicata, Elysia chlorotica, Lottia scutum and Radix balthica. Additionally,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of 91 mollusk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EST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in nine mollusk species that include Nesiohelix samarangae,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Physa acuta, Incilaria fruhstorferi, Meretrix lusoria, Ruditapes philippinarum, Nordotis gigantea, Crassostrea gigas and Laternula elliptica. Finally, the mitochondrial genome projects from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the rock shell (Thais clavigera)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However, no systemic mollusk genome project has so far been conducted in Korea. In this report, the current status and research trends in mollusk genome study in Korea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 연구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방인석 ( In Seok B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4 No.-

        김수영은 식민 이후, 전쟁과 분단으로 얼룩진 한국의 현실을 예민한 감각으로 바라봄으로써 역사에 내재된 비애와 설움을 직시하였다. 현실과의 대면이 계속될수록 설움의 강도는 심화되었으며 그로 인한 중압감은 주체의 존립을 위협할 정도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가 선택한 것은 시를 통한 자유의 이행이었다. 시적 현실과 역사적 현실이 중첩되고 시를 통한 자유의 실현이 역사적 현실로 온전히 이행될 수 있다는 믿음은 그만의 독특한 시적 공간을 창출시켰다. 이는 달리 말하면 역사적 조건이 김수영의 시적 공간을 강화하고 부각시켰음을 의미한다. 요컨대 김수영의 시는 역사적 조건에 대한 설움과 자유의 실현 의지가 끊임없이 충돌하는 긴장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김수영 시의 새로움은 자유와 설움의 긴장 관계에서 연유한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유의 이행으로서의 시쓰기는 한국 현대시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단서가 되었다. 본 연구는 첫째, 식민 이후 역사적 조건을 설움으로 인식한 김수영의 태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시를 통한 자유의 이행을 현실 변혁의 힘으로 이해한 김수영의 시학을 규명하였다. 셋째, 자유와 설움의 상관성을 통해 김수영의 독특한 시적 공간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의미는 시적 자유의 선취이다.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tcolonial ident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poems of Kim Sooyoung as a proces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of the modern subjects. Kim Sooyoung continually strives to pursue the existential freedom against the backwardness of Korea by internalizing of the modern subjects and by restructuring of the reality through his poems. Nonetheless, his poems reveal the self―contradicting reality of the postcolonial subjects, not securing the consistency of the modern subjects by themselves. Kim Sooyoung scores the existential freedom of individuals by establishing his own poetic space. The freedom, according to him, is poet`s responsibility, right, and manifestation of humanity. He shows his will to confront the external conditions of infeasible freedom to individuals by restructuring the grief and sorrow from desperate situations through critical awareness. Accordingly, his poetic space is the one which diverges from the external conditions and in which the freedom exists. To understand the distinctiveness of his poetic space is a very important clue to trace the various aspects of his poems. This, in summary, is the indispensibl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core elements of his poems, such as the boredom of life and the fatigue of modern people, the abstrusity of a complex word with dual meaning, the abusive languages with the attitudes of anti―poetic and in―poetic, the internalized paradox and parody, the duet of love and death, and so on. This study interprets the poems of Kim Sooyoung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 the post―coloniality of Korea after colonized periods, from Japan occupation to Korean War and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by understanding Kim Sooyoung`s recognition and response toward the historical reality, and by interpreting the hidden desire of the modern subjects through the poems of Kim Sooyoung.

      • KCI등재

        금은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통한 세포 보호효과 및 유전자 발현 양상

        조원준(Won June Cho),윤희승(Hee Seung Yoon),김용현(Yong Hyun Kim),김정민(Jung Min Kim),유일재(Il Jae Yoo),한만덕(Man-Deuk Han),방인석(In Seok Bang)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8

        금은화의 메탄올 추출에 의한 유기 용매별 분획에서 항산화 효과를 근거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H₂O₂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와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용매별 분획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50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39.56 μ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H2O2에 의해 유도된 Raw 264.7 세포사멸((IC50)에 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과, 100 μg/ml의 농도에서 82.49%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IC50의 H₂O₂ 독성에 대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Raw 264.7 세포보호 효과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패턴은 BHA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관련 유전자군의 비교 분석에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과 BHA는 매우 유사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보였으나, 세포 내 주요 항산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 중 하나인 heme oxygenase1 (Hmox1)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4 배 이상 증가하였다. 항염증 관련 유전자군의 비교에서는 T-box transcription factor (Tbx21)가 BHA 처리군에서는 2 배 감소하였으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의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약 2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tioxidative effects in organic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the main methanolic extract of L. japonica, the protective cellular effects and gene expression patterns of ethyl acetate fractions on H₂O₂-induced Raw 264.7 cell death (IC50) were analyz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s measured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ED50 exhibited the highest 39.56 μg/ml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In addition, the ethyl acetate fractions’ cell viability on H₂O₂-induced Raw 264.7 cell damag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showed a visible cell survival rate of 82.49%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related to the ethyl acetate fractions’ cytoprotective effect in H₂O₂-induced Raw 264.7 cell damage presented similar patterns to those of BHA. In comparative analysis for antioxidant activity-related genes affected by ethyl acetate fractions and BHA in H₂O₂-induced Raw 264.7 cells, both ethyl acetate fractions and BHA showed very similar gene expression patterns, but the gene expression level of the heme oxygenase 1 (Hmox1) gene making antioxidant enzymes in cells was four times higher in ethyl acetate fractions than BHA. In inflammation-related genes in H₂O₂induced Raw 264.7 cells, the T-box transcription factor (Tbx21) gene was expressed about two times more frequently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treatment group, while it was expressed half as frequently in the BHA treatment group.

      • KCI등재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연구

        Chang Soo Kang(강창수),Min Joo Lee(이민주),Cheol Bem Park(박철범),In Seok Bang(방인석)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6

        약용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삼백초의 잎과 줄기로부터 유기 용매의 극성에 따른 순차적 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효과와 연관하여 피부의 탄력 및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삼백초 추출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은 EtOAc 분획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27.22 ㎍/㎖보다 12.84 ㎍/㎖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HDF 세포사멸(IC??)에 대하여 삼백초 추출 50 ㎍/㎖의 EtOAc 분획에서 89.39%의 가장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n-BuOH 분획에서도 67.98%의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한편 삼백초 추출 분획물은 피부 탄력과 관련있는 fibulin-5 mRNA의 발현율을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에 대한 CAM assay 결과,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은 향후 항산화 활성 및 해독과 관련된 혈관형성 억제의 약재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기작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Saururus chinensis has long been widely used in oriental folk medicines to treat diseases. In the current study, organic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the main methanolic extract of S chinensi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tive and related physiological activiti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s was measured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ED??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s exhibited a value of 12.84 ㎍/㎖ higher than 27.22 ㎍/㎖ compared to the BHT. Also, the cell viability of S. chinensis on H₂O₂-induced HDF cell death (IC??) showed the highest cell viability of 89.39% in 50 ㎍/㎖ of ethyl acetate fraction and 67.98% of visible cell survival rate in n-butanolic fraction. Meanwhile, all fractions of the S. chinensis extract led to a slight down regulation of the mRNA expression of fibulin-5, which is related to skin elasticity,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showed a markedly inhibitory effect on chick embryonic angiogenesis using the CAM ass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S. chinensis extract could be a good material in therapeutic application for antioxidant and related anti-angiogenesis activities.

      • KCI등재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에 의한 HaCaT 피부각질세포의 전사체 분석

        김정민(Kim, Jung-Min),조원준(Cho, Won June),윤희성(yoon, Hee-Seong),방인석(Bang, In 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1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b1과 Rg1의 효능검증 및 작용 점을 규명하고자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유전체 분석(gene expression profiles)을 실시하였다.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의 처리 농도 및 시간에 따른 HaCaT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0 μg/mL의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 각각을 6 및 24 시간 처리하여 유전체 분석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과 Rg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 항노화 및 피부탄력 관련 유전자인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의 활성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b1의 24 시간 처리군에서는 항산화 작용점에 있는 일련의 유전자군, FANCD2, FGF2, LEPR, FAS 등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확인된 항노화 및 피부탄 력 관련 주요인자들의 작용 및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Rb1의 신호전달을 완성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and the mechanism of action of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ginsenosides Rb1 and Rg1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A. Meyer on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s. A non-significant cytotoxic response was obtained in the HaCaT cell lines on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s Rb1 and Rg1 for different time durations. Furthermore, the global changes in the mRNA profile of HaCaT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DNA microarrays after stimulation with the ginsenosides Rb1 and Rg1. Ginsenosides Rb1 and Rg1 strongly increased FGF2 in HaCaT cells, and were found to be a candidate gene for antioxidant activity and elasticity. Other key candidate genes for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FANCD2, LEPR, and FAS, also show enhanced regulation in HaCaT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Rb1.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gulatory genes involved in skin elasticity and signal transduction pathway stimulated by the ginsenoside Rb1. This paper currently focuses on the key factors regulating the interaction of anti-aging principles and skin elasticity.

      • KCI등재

        인간 간암세포주 HepG2에서 김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통한 증식 억제 및 유전자 발현 양상

        오윤정(Youn Jeong Oh),김정민(Jung Min Kim),방인석(In Seok Bang)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2

        김(Porphyra yezoensis, Laver)의 MeOH 추출에 의한 유기용매 별 분획물에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간암세포주 HepG2의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CHCl₃ 분획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0.34 μg/mg으로 물분획물의 13.08 μg/mg 보다는 다소 적게 나타났으나, DPPH 자유라디칼 소거에 의한 전자공여능(EDA)에서 나타난 ED50은 16.96 μ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HCl₃과 EtOAc 분획물은 농도의존적으로 HepG2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900 μg/ml의 CHCl₃ 분획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90%의 세포증식이 억제되었다. 한편 CHCl₃ 분획물이 처리된 HepG2 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microarray로 확인하였다. P. yezoensis의 효능과 연관지은 gene ontology 분석으로 비타민 D 합성 과정, 항균작용에 대한 반응 및 영양물질에 대한 반응에 관련된 유의 유전자들을 탐색하였다. 유의 유전자로 IL6R와 CYP1A1를 선정하였고,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는 ARNT 유전자가 선정되었다. 또한 50 및 100 μg/ml의 CHCl₃ 분획물이 처리된 HepG2 세포에서 IL6R와 CYP1A1 단백질의 발현과 상위 조절자인 ARNT의 활성을 Western blotting으로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HepG2 cell lines in organic slovent fractions obtained from the main methanolic extract of P. yezoensis were analyzed. The polyphenol content of the CHCl₃ fraction was 10.3 μg/mg, slightly less than 13.08 μg/mg of the water fraction, but ED50 estimated by measur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hibited the highest 16.96 μg/ml in the CHCl₃ fraction. The proliferation effects of CHCl₃ and EtOAc fraction toward HepG2 cells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showed 90% inhibition when treated for 24 hr at 900 μg/ml of CHCl₃ fraction. Meanwhile gene expression patterns in HepG2 cells treated 50 μg/ml of CHCl₃ fraction were identified with microarray analysis. Concerning the efficacy of P. yezoensis, gene ontology analysis explored the genes associated with response to molecule of bacterial origin, vitamin D metabolic process, and response to nutrient. Thus IL6R, CYP1A1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genes based on expression patterns of HepG2 cells, and pathway analysis indicates that ARNT might be considered as a upstream regulator. Also, expression analysis of IL6R and CYP1A1, activity of upstream regulator ARNT in HepG2 cells was confirmed based on Western blotting analysis at the protein level after being treated with 50 and 100 μg/ml of CHCl₃ fraction.

      • KCI등재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진세노사이드 Rb1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양상

        이동우(Dong Woo Lee),김정민(Jung Min Kim),방인석(In Seok Bang)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5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Rb1이 처리된 인간 피부각질세포 HaCaT에서 microarray 분석 및 발현이 증가된 세포사멸 반응에 대한 작용기전을 연구하였다. HaCaT 세포에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로 세포사멸, 유사분열 세포주기의 G2/M 전이, 세포분열, 핵분열, 그리고 단백질 수송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 2 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DNA 수선, 감수 핵분열, 그리고 세포외기질 체계 등의 작용기전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은 2 배 이상 발현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포사멸 신호전달은 FAS와 PLA2G4A를 경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유전자의 상위 조절자로 STAT3가 예측되었다. 세포사멸 반응 경유 유전자 FAS와 PLA2G4A의 활성을 qPCR로 확인한 결과, FAS 유전자는 10 ㎍/ml의 진세노사이드 Rb1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약 2 배의 발현 증가와, PLA2G4A 유전자는 6시간 처리부터 약 2 배로 증가되어 24시간 동안 처리시 2 배 이상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한편 STAT3-siRNA를 이용한 knock-down 실험에서 FAS의 발현 감소와 PLA2G4A의 발현 증가로 상위 조절자 STAT3로부터 FAS 만을 경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진세노사이드 Rb1의 처리에 의해 상위 조절자인 STAT3는 FAS를 경유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We investigated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and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apoptotic response by microarray analysis of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reated with ginsenoside Rb1, a saponin of Panax ginseng C. A. Meyer. Genes related to apoptosis, the G2/M transition of the mitotic cell cycle, cell division, mitotic nuclear division, and intracellular protein transport were 2-fold up-regulate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the ginsenoside Rb1, whereas genes related to DNA repair, regeneration fission, and extracellular matrix organization were 2-fold down-regulated. Apoptosis signaling may be mediated by FAS and PLA2G4A, and pathway analysis indicated that STAT3 might be an upstream regulator of these genes. The activity of FAS and PLA2G4A was verified by qPCR, which showed that FAS was increased about 2-fol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10 ㎍/ml of ginsenoside Rb1 for 24 hr, PLA2G4A was increased about twice after 6 hours, and gene expression was increased more than 2-fold after 24 hr. Knockdown of STAT3 with siRNA decreased FAS expression and increased PLA2G4A expression but only FAS was passed from the upstream regulator STAT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AT3, which is an upstream regulator, induces apoptosis via FAS during treatment with ginsenoside Rb1.

      • KCI등재
      • 배추흰나비(Pieris rapae L.)의 變態에 따른 여러 器官內 lipase 活性에 관한 硏究

        余聖文,朴容一,方仁錫 단국대학교 1990 論文集 Vol.24 No.-

        Lipase activities in salivary glands, fat body, and haemolmymph of Pieris rapae L. were measured and compared during metamorphosi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lipase in various organs were determined using spectrophotometer UV-240. The temperature and pH optium of lipase in salivary were 30℃ and 8.5 respectively. In fat body and haemolymph pH optima were 8.5 and 8.0 respectively. Lipase activity in salivary glands was maximal in 5th instar larvae declined at Prepupal stage. Lipase activity in fat body was maximal in 5th instar larvae, but drastically reduced at prepupal stage after Which it was increased slowly. Lipase activity in haemolymph was increased continuously from 5th instar larvae to 5day pupae. Metal ions like Hg^++ and Fe^++ acted as an activator, but Ca^++, Mn^++, and Mg^++ did not. Midgut and malpighian tubules did not show any lipase activity while salivary glands, fat, and haemolymph showed lipase activity. Therefore, lipase in Pieris rapae L. is considered to be extra-digestive lip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