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 읽기 쓰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선호도 연구

        방민희,박태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learn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learning activities used in level-based general English classes for first year college students. The course combines reading and writing and is divided into th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lasses.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ent survey, focusing on evaluating the student preference in terms of participating in different types of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and, in particular, group and individual works. 423 students took part in the survey with 165 from 5 beginner classes, 126 from 4 intermediate classes, and 132 from 5 advanced classes. They answer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arners of all three levels preferred group activities to working individually in reading, while the higher the level of the learners was, they tended to prefer individual works. On the other hand, in engaging in writing activities, the majority of students perceived individual activities as more effective than working in group. Specifically, the beginner and advanced level students showed stronger preference for individual activities, for different reasons. The advanced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could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more efficiently through working individually whereas the beginner level students seemed to prefer individual activities to avoid working in group due to a sense of anxiety and low confidence in showing their perceived poor writing abilities to their peers. Overall, it is shown that writing activities are more helpful and effective as the learners’ proficiency improves. Based on the results, a number of activities and steps are suggested to help manage effective level-based reading and writing classes. 본 연구는 2019년 2학기에 수준별 읽기와 쓰기 통합 교양영어 강좌를 총 423명의 학생이 참여한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수업에서 학생들이 경험한 다양한 학습방식과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인식과 선호도를 분석하여, 특정 학습 활동이나 수업방식을 수준별로 학생들이 어떻게 반응하고 수용하였는지, 그리고 각 수준별 학습패턴에 특징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학습자의 읽기활동 선호도와 수준별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수업방식이 모든 수준에서 ‘교수님의 해석과 설명’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초급은 ‘조별독해와 발표’ 활동을중급과 고급은 ‘독해하고 개별로 요약’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활동 전반에 대해 개별과조별활동 선호도에 있어서는 모든 수준에서 조별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쓰기활동 선호도와 수준별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초급에서는 ‘쓴 글에 바로 피드백을받을 수 있어서’, 중급과 고급에서는 ‘혼자 영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서’ 쓰기활동이 도움이 되었다는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학습자들의 수준이 올라 갈수록 쓰기활동에서 독립성이 증가하고, 피드백에대한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쓰기활동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초급과 중급의경우 ‘처음 영작을 해봐서 혼자 쓰기가 어려웠다’의 응답비율이 가장 높았고, 고급의 경우 ‘영작을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와 ‘처음 영작을 해봐서 혼자 쓰기가 어려웠다’는 응답이 동일한비율로 나타났다. 쓰기활동의 유형에 따른 선호도를 보면 초, 중, 고급 모든 수준에서 ‘주어진 주제로개별 자유영작하기’를 가장 선호했으며 또한 조별보다는 개별활동을 선호하였다. 고급의 경우는 개별로혼자 써보는 것이 영작실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지만, 초급은 자신의 영작실력이 부족하여자신감 결여로 쓰기의 경우 조별활동을 기피하고 개별로 쓰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수준별 수업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의 필요와 눈높이를 반영하는수업자료, 방식, 활동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 KCI등재

        Comparing Evaluative Language in the Corpora of South Korean Government and NGO Documents on Environmental Issues

        방민희,신서인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013 語學硏究 Vol.49 No.3

        The current study compares the use of evaluative language in the press releases on environmental issues, published online by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wo non-governmental environmental organizations:Green Korea United and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The analysis combines the Appraisal Systems with keyword analysis using corpus techniques. The keywords of the government corpus indicate the government’s emphasis on representing green issues as a matter of practice and a goal to achieve, and the keywords of the NGO corpus highlight the NGO’s concern with the government’s role and policy-making. Meanwhile, the quantification of Appraisal reveals how the Appraisal Systems are distributed and used to convey different views on green issues.

      • KCI등재

        A corpus-based analysis of media coverage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UK

        방민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2016 청소년 문화포럼 Vol.-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코퍼스 언어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여 영국의 주요 언론에서 비속어(slang)으로 대표되는 영국 청소년 언어문화를 어떻게 다루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BBC를 포함한 영국의 주요 미디어에서 2000년대 이후 청소년 언어사용을 다룬 기사 100개를 수집해 구성된 코퍼스를 분석하였다. 코퍼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 미디어에서 청소년들의 언어문화는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님과 선생님 사이의 관계적 문제로, 특히 양자 간의 소통의 문제로 제시가 되고 있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속어나 유행어 사용은 성공적인 학업성취와 취업에 장애로 작용하는 우려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과 성인들 모두 국가나 사회의 도움이 필요한 수동적인 존재로 제시되고 있다. 즉 청소년들은 대학시험과 취업에서 유리하도록 언어사용에 대한 지도와 통제가 필요한 존재로, 그리고 성인들은 청소년의 언어를 이해해 그들과 소통의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대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언어문화 연구에 담화분석을 적용한 연구로서 한국에서는 아직 많이 시도되지 않는 영역으로 청소년언어 연구의 지평을 확장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방법론적으로 코퍼스언어학을 접목시키고 있다. 코퍼스 방법론 사용의 가장 큰 장점은 자료를 접근할 때 분석자의 주관적 관점이나 목적에 의해 분석과 해석의 방향이 결정되어지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분석과 해석의 엄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로는 코퍼스를 사용하여 북한이탈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언어문화와 정체성이 한국 언론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treatment and perception of youth language culture in the mainstream British media, employing corpus methods. A corpus comprising 100 articles collected from BBC and five British newspapers i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ly, the teenage use of slang is presented as an issue that causes difficulties in building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 and their parents/ teachers. Secondly, it is presented as a problem that disadvantages young people in achieving success in exams and employment. Lastly, young people and adults are construed as recipients of some form of intervention with adults needing help to understand the teenage language and young people needing instructions and discipline to stop them from using slang for their own benefit.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study to the field of youth language culture is that it has brought in a perspective of discourse analysis, expanding the scope of youth language study as it is shown that the media representation of young people and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is an area of research that is yet to be fully explored. Another contribution is that it has sufficiently demonstrated the viability of using corpus methods, which are also yet to be widely employed in studying youth language in South Korea. The bottom-up approach to data in corpus analysis is effective in minimizing an analyst's own agenda and preconceptions influencing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nd thus strengthening the interpretive rigor. For future research, one meaningful avenue of research to consider is how young people from families of North Koreans settled in South Korea o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viewed in terms of their linguistic identity and experience of adapting to the new language culture in the media. Understanding how our society views and treats these minority youth groups may help raise public awareness on tolerance and diversity, and develop and implement better policies and programs to educate and foster linguistic integration and understanding among South Korean youths.

      • KCI등재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과 만우성 깃털의 발생 양상 및 형태적 특성 고찰

        방민희(Min Hee Bang),조은정(Eun Jung Cho),조창연(Chang Yeon Cho),손시환(Sea Hwan Sohn) 한국가금학회 2018 韓國家禽學會誌 Vol.45 No.3

        닭의 깃털은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과 형태에 따라 조우성과 만우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병아리 성 감별법 중 조우성과 만우성을 이용하여 부화 시 깃털 발생양상의 차이에 따른 깃털감별법이 산업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재래닭에 있어 자가성감별 계통 조성을 위하여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한국재래닭 856수를 대상으로 발생 시부터 55일령까지 병아리의 날개깃과 꼬리깃의 발달 양상과 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K-특이 유전자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로서 조우성과 만우성 닭의 표현형과 유전자형 간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조우성 병아리는 긴 주익우와 부익우를 가지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확실한 길이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만우성 병아리는 조우성 병아리보다 짧은 주익우와 부익우를 보였으며, 주익우와 부익우 간 길이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우성 병아리는 날개깃 모양에 따라 LF-Less, LF-Scant, LF-Equal 및 LF-Reverse와 같은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조우성 병아리의 주익우는 만우성 병아리에 비해 15일령까지 1.5배 정도 더 길다가 50일령에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꼬리깃의 경우, 조우성 병아리는 5일령 때 명확하게 보이지만, 동일시기에 만우성 병아리는 짧고 불명확하였다. 발생 시 주익우 길이 9 mm를 기준하여 조우성과 만우성 개체로 구분하였을 때 조우성은 96.2%, 만우성은 85.4%의 분류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재래닭에 있어 조우성 병아리와 만우성 병아리의 깃털 형태 및 발달 양상의 차이가 뚜렷하기 때문에 발생 시점에서 조우성과 만우성을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hicken feathers could be classified into early-feathering (EF) and late-feathering (LF)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and patterns of the wing and tail feathers. Currently, feather-sexing is a widely used chick sexing method in the industr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the method of classifying of EF and LF chicks to establish auto-sexing Korean native chicken (KNC) strains. The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wing feathers and tail feathers in 856 KNCs from hatching to 55-days old were analyzed to classify EF and LF chicks. We also performed PCR analysis using K-specific gene primers to confirm the agreement between the phenotypes and genotypes of EF and LF chickens. In the results, the EF chicks had long primaries and cover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primaries and coverts. The LF chicks had shorter primaries and coverts than the EF chicks, and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length between primaries and coverts. LF chick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LF-Less, LF-Scant, LF-Equal and LF-Reverse according to their wing feather patterns. EF chicks had 1.5 times longer primaries than LF chicks until they were 15-days old, but the lengths were almost the same at 50-days old. The tail feathers of the EF chicks were apparent at 5-days old, but those of the LF chicks were short and indefinite at that time. When EF and LF chicks were classified by the length of primaries being more or less than 9 mm, the classification accuracies for EF and LF chicks were 96.2% and 85.4%,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CR results. In conclusion, juvenile EF and LF KNC showed distinct differences in feather development and morphology, and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at one day-old.

      • 쉬운 언어 사용의 사회, 경제적 가치: 미국의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 증진활동을 중심으로

        방민희 ( Minhee Ba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2 공공언어학 Vol.7 No.0

        헬스 리터러시(health literacy)는 ‘개인들이 적절한 건강 관련 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기본 건강 정보와 서비스를 획득하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서 개인의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최고의 지표이다. 낮은 헬스 리터러시는 더 잦은 입원과 응급실 방문, 예방의학 조치나 서비스 활용 부진, 질병 진단의 지연, 만성 질환에 대한 이해와 관리부족, 체중유지 어려움, 의사 지시 엄수에 어려움, 의료비 증가, 그리고 사망률 증가와 연관된다. 개인의 헬스 리터러시 향상은 개인과 의료계 전체에 경제적 비용의 절감으로 이어진다. 미국의 경우 헬스 리터러시를 증진하기 위해 의료, 연구기관들이 일반인이나 환자를 위한 자료를 작성할 때 참조할 수 있는 매뉴얼이나 지침을 수립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료의 효용성과 적절성을 객관적 기준을 마련해 평가한다. 헬스 리터러시의 핵심요소는 쉬운 언어 사용으로 자료 제작과 평가의 토대가 된다. Health literacy is an individual’s abil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necessary to make appropriate health-related decisions'. Low health literac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hospital visits, poor utilization of preventive medical measures or services, a delay in disease diagnosis, lack of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difficulty in maintaining weight, less compliance in following a doctor's instructions, higher medical costs, and increased mortality. Improving personal health literacy leads to the saving of economic costs for both individuals and the health care community as a whole.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promote health literacy, government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and research institutions have established and provided detailed manuals or guidelines that can be used to produce healthcare information materials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or patients, and set up objective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the existing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motion of health literacy. An essential part of health literacy is the use of plain language, which forms the basis for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and materials.

      • 마틴 커츠(Martin Cutts)의 옥스퍼드 쉬운 영어 가이드(Oxford Guide to Plain English) - 짧은 문장과 명료한 문단 쓰기 -

        방민희 ( Bang Minhee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0 공공언어학 Vol.3 No.0

        이 논문은 마틴 커츠의 옥스퍼드 쉬운영어 가이드 1장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1장에서는 긴 영어 문장을 평균 15-20단어 길이로 바꿔 쓰는 요령을 실례를 들어 설명한다. 영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다른 길이의 문장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를 조사했는데 대다수 응답자들이 짧은 문장을 선호했을 뿐만 아니라 정보를 목록 형태로 제시할 때 이해도가 높았다. 이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에게 영어 쓰기 과정에서 학습내용으로 반영하면 유용할 것이다. 1장에서 제시하는 내용 중에는 다소 의아한 부분도 있다. 예를 들면 동사 ‘prevent’가 사용된 문장을 쉽게 바꾸면서 이 동사 대신에 동의어인 ‘stop’ 동사를 사용할 것 권한다. 직관적으로 ‘stop’ 동사가 좀 더 쉽고 사용 빈도가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다른 객관적인 근거가 제시되지 않는다. 이런 이 권고는 논의되고 있는 글의 목표 독자에게 ‘prevent’ 동사가 이해하기에 어려울 거라는 저자의 주관적 판단을 전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사례는 쉬운 영어로 글쓰기를 할 때 독자의 영어 수준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객관적 근거를 제시할 필요성과 더 근본적으로 ‘쉬운 영어’라는 개념에 수반되는 주관성과 자의성의 요소를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e chapter 1 of Martin Cutts' Oxford Guide to Plain English introduc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shows step-by-step techniques of how to rewrite long sentences into shorter ones averaging 15-20 words in length, using a variety of real-life examples. The results of testing a group of English users on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and preference for sentences of different lengths are particularly instructive. The findings tha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not only preferred short sentences, but also the format of presenting information in a vertical list can be usefully incorporated into English writing practice programs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ertain contents of the chapter 1 that may raise a few eyebrows. For example, in the revising of one sentence, the verb ‘prevent' originally used is replaced with the synonymous verb ‘stop'. Although ‘stop' may be easier and more frequently used than ‘prevent', the author's choice can be seen as being based on his subjective assumption that ‘prevent' could be too difficult for the target readers of the text in question to understand.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at grounds the readers' level of English is judged and evaluated on. It also seems to reflect the problematic nature of subjectivity and arbitrariness involved in the concept of ‘plain English’.

      • 마틴 커츠(Martin Cutts)의 옥스퍼드 쉬운 영어 가이드 (Oxford Guide to Plain English) - 2장에서 5장까지 -

        방민희 ( Minhee Ba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5 No.0

        이 논문은 대표적인 쉬운 영어사용 안내서인 Martin Cutts의 Oxford Guide to Plain English 소개 두 번째 편으로 2장에서 5장 내용을 요약하여 논의한다. 2장에서는 자신의 직업적,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한 장황하고 불분명한 글쓰기 스타일을 피하고 독자가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 사용의 중요성을 논한다. 그리고 비즈니스 또는 법률 문서를 작성할 때 참조 할 수 있는 쉬운 단어 목록을 소개한다. 목록은 44,000 개의 영어 단어를 독자 이해도를 측정해 분류한 대규모 연구결과와 말뭉치 빈도 정보를 활용해 선정한 2,700개의 단어로 구성된다. 3장에서는 새로운 정보를 더하지 않는데도 권위와 격식을 차리기 위해 사용하는 단어나 구를 피하고 정말로 필요한 단어만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4장에서는 수동태를 언제 사용하고 피해야하는지 소개하고 능동태와 인격 대명사 'I'와 'we'를 글에 통합하여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을 생생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5장은 명사구를 '주어 + 동사'절로 풀어서 문장을 더 명확하고, 또렷하고, 생생하게 만드는 방법을 보여준다. 2장에서 5장까지 Cutts는 다양한 실제 텍스트와 문장을 사용하여 명사구와 수동형을 과도하게 사용으로 이해가 힘든 문장을 명확하고 사려 깊은 문장으로 바꿀 수 있는 4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1) 흔하지 않고 어려운 단어를 더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단어로 바꿔라; 2) 정당한 이유없이 문장에 새로운 정보를 더하지 않는 단어나 구를 사용하지 말라; 3) 수동형 문장 사용을 절제하라; 4) 동사를 명사형 구문에서 해방해라. This paper is the second part of introducing Martin Cutts' Oxford Guide to Plain English to Korean readers. Chapter 2 discusses the importance of using words which readers can easily and readily understand and avoiding a foggy style that shows off the writer’s professional and social status. Cutts also introduces a plain word list that you can reference in business or legal writing. The list of 2,700 words is complied using results of a large scale study on the reader comprehensibility of 44,000 words and corpus frequency information. Chapter 3 shows ways to use words that you really need while cutting out unnecessary words or phrases which do not add any new information to a sentence, only to give an air of authority and formalness. Chapter 4 introduces when to use and avoid the passive voice and illustrates how you can make a sentence lively and accessible for readers by incorporating the active voice and personal pronouns ‘I’ and ‘we’ into writing. Chapter 5 demonstrates how a sentence can be made clearer, crisper, and livelier by unpacking a nominalized noun phrase into a ‘subject+verb’ clause. Throughout the chapters 2 to 5, Cutts uses a variety of real writing examples and convincingly demonstrates how heavily nominalized, passivized, incomprehensible sentences can be transformed into clear and considerate ones that the reader does not need to struggle to grasp by combining the following measures: 1) replace uncommon, difficult words with more accessible and plainer ones; 2) do without words or phrases that are repeated for no good reason or do not add new information to a sentence; 3) be disciplined with using the passive sentences; 4) free verbs from the smothering nominalized phrases.

      • 쉬운 영어 운동을 통해 살펴보는 영미지역의 공공언어 문화

        방민희 ( Minhee Ba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19 공공언어학 Vol.2 No.0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review of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plain English/ plain language movement in the UK and US. In the Anglo American culture, plain English has had its advocates throughout the history from Chaucer, the medieval author and prominent civil servant, who appealed for the need for using plain English in his literary works including the Canterbury Tales, to the former US vice president Al Gore, who declared that plain language is a civil right. The UK and the US have developed their own distinctive tradition of campaigning for plain English. In the UK, the movement has grown as a grass root campaign l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Plain English Campaign, which has lobbied, pressured, and worked with the British government since the 60’s to promote and expand the practice of plain English in officialdom. Meanwhile, in the US, it is more government led with each administration implementing various plain language policies since the 70’s, resulting in the federal level legislation of the Plain Writing Act in 2010. The main areas where campaigners both in Britain and America have sought to bring in the principles of plain English/ language are officialese and legalise to guarantee and improve ordinary citizens’ access to information, specially concerned with government regulations and consumer rights. The movement is now spreading beyond the English lanauge, and becoming a worldwide movement as witnessed by the formation of a global organization such as Plain Language Association International (PLAIN) whose membership encompasses 30 countries and 15 languages including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