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SPI200 인덱스펀드의 성과특성에 관한 연구

        반주일(Juil Ban),김성신(Sungsin Kim),권세훈(Sehoon Kwon)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5

        이 연구는 2004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10년 간 한국 펀드시장에서 거래된 KOSPI200 인덱스펀드의 규모, 수익률, 보수 및 수수료, 포트폴리오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인덱스펀드의 성과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각 펀드들의 수익률이 서로 비슷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매년 말 측정한 12개월 누적수익률의 횡단면 분포에서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13%에 이를 정도로 서로 상이한 수익률을 달성하고 있었다. 둘째, 인덱스펀드 전체집합은 총수익률(gross return) 측면에서 유의한 초과성과를 달성하였으나, 순수익률(net return)로 계산한 초과성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표본기간의 전반기와는 달리 후반기에서는 초과성과의 크기가 급감할 뿐만 아니라, 통계적 유의성 또한 사라졌다. 셋째, 보수 및 수수료가 높은 펀드들이 총수익률 측면에서 더 나은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여, 순수익률 측면에서 유의한 음의 초과성과를 나타냈다. 넷째, 전반기에서 펀드규모가 클수록 초과성과가 커지는 양의 규모효과(size effect)가 관찰되었으나 후반기에서는 규모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2010년부터 시작된 금융당국의 소규모 펀드(자투리펀드) 규제를 통해, 규모가 작은 펀드가 방치되어 수익률이 뒤쳐지는 현상이 개선된 것으로 짐작된다. 다섯째, 적극적인 종목선정활동(stock selection)을 측정하는 Cremers and Petajisto(2009)의 적극적투자 비중(Active Share)은 초과성과와 관계가 없었으나, 선물 및 옵션을 활발하게 사용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순자산 대비 개별 파생상품 포지션금액의 절대값의합으로 정의한, 파생상품보유비중(derivative holding ratio)은 초과성과를 유의하게 높이고 있었다. 이는 패시브펀드 매니저가 지닌 초과성과 창출능력의 원천이 종목선정이 아닌 계량적 차익거래활동임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인덱스펀드의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선택의 문제에 직면한 투자자들에게 인덱스펀드를 선택하는데 참고할 유용한 기준을 제시하고, 주로 액티브펀드의 성과를 분석하는데 치중하였던 기존문헌을 보완하여 패시브펀드의 성과특성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는 점에서 공헌이 있다. W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KOSPI200 index funds, using the data such as the fund size, return, expenses, loads, and other portfolio information for a decade from July 2004 to June 2014, and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the fund returns would be similar because these funds are passive funds, the return range (the gap between the max and the min) is considerably wide: 3%~13%. Second, the whole set of the index funds exceeded the benchmark in terms of gross return, but the excess return was insignificant in terms of net return. In addition, the size of excess return in the second half of the period showed sharp decrease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disappeared compared to the first half of the period. Third, the high-expense and high-load funds did not show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gross return and showed negative excess return in terms of net return. Fourth, for the first half of the sample period, we observed the fund size effects, that is, the performance was better as the fund size grew bigger. But the effects disappeared for the second half period. We conjecture that the small sized fund`s under-performance situation was improved due to the small fund regulation by the government since 2010. Fifth, excess return seems to be unrelated with the Active Share that is an activeness measure of stock selection proposed by Cremers and Petajisto (2009), but excess return shows relatedness with the derivative holding ratio that measures the activeness of futures and options trading.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fundamental source of the excess return comes from the index fund managers with quantitative arbitrage activity, not the stock selection. While the market size of the index funds grows consistently in Korea, our paper provides a standard on the fund selection criterion for the individual investors. Finally, this paper supplements the existing literature whose main focus was put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ctive funds by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passive fu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주식형 펀드의 스타일 투자 실태에 관한 연구

        조은영(Eunyoung Cho),반주일(Juil Ban) 한국증권학회 2021 한국증권학회지 Vol.50 No.2

        이 연구는 펀드명칭이 표방하는 투자 스타일에 따라 스타일 유형을 분류하고 포트폴리오 내역을 기반으로 스타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시장은 패시브 펀드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액티브 펀드에서는 가치형과 배당형 쏠림 현상이 존재하는 가운데, 펀드명칭에서 표방하는 스타일이 철저히 준수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펀드규모가 작을수록 스타일 특성이 약해졌고, 펀드규모 그룹간 스타일 차이는 통계적으로 강한 유의성을 나타냈다. 운용업계가 소규모펀드를 소홀히 취급하면서 신인의무(fiduciary duty)를 다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스타일 지속성을 검증한 결과 가치주 스타일에 비해 성장주 스타일의 지속성이 뒤쳐지고, 승자주 및 패자주 스타일은 모든 스타일 중에서 지속성이 가장 낮았다. 스타일 타이밍 능력의 존재여부를 검증한 결과 시장요인, 규모요인, 가치요인에 대한 타이밍 능력은 시장전반에서 관찰되지 않으며, 모멘텀요인에 대한 타이밍 능력은 액티브 펀드 전체집합에서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일관된 스타일 투자전략을 구사하는 가상유형을 정의하여 실제유형과 비교할 경우, 가상유형의 위험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수익률 또한 우수하여 실제유형을 지배하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We classify “fund style” by the fund name and conduct a portfolio-based style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value-style and dividend-style funds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style types in active funds. Second, managers tend not to adhere strictly to the fund style classified by the fund name. Interestingly, the smaller the fund size, the weaker the style characteristic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anagement industry neglects small funds and does not fulfill its fiduciary duty. Third, we find that the persistency of the growth style is far behind the value style, and both winner and loser styles have the lowest persistency among all styles. Fourth, timing abilities for market factor, size factor, and value factor are not observed in general, but the timing ability for momentum factor is significantly observed in the active fund group. Fifth, we define artificial fund styles with consistent style investment strategy and compare those with the actual fund styles. We find that the risk of artificial types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of actual types and that several artificial types dominate real types due to higher returns and smaller risks.

      • KCI등재

        금융지식이 금융행동에 미치는 영향

        권세훈 ( Sehoon Kwon ),반주일 ( Juil Ban ) 한국재무관리학회 2021 財務管理硏究 Vol.38 No.4

        이 연구는 2,530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금융지식이 금융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고학력, 화이트칼라 직종, 고액 자산 특성을 가진 응답자의 금융지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금융지식 점수가 높으면 공격적인 금융상품을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하고, 원금보존보다 수익률을 중시하였다. 금융지식이 투자기간 및 기대수익률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금융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재무적 의사결정에서 자기주도성이 나타나며, 판매직원으로부터 금융상품 투자를 권유받을 때, 판매직원과 투자자의 책임배분에서 투자자의 책임이라고 판단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넷째, 금융지식이 저축율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그러나, 금융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노후를 위해 더욱 경제적 대비를 하고 연금저축, 연금펀드 등과 같은 사적연금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금융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부채를 활발하게 사용하며, 금융자산 비율을 증가시키고, 부동산자산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금융지식은 인터넷 전문은행, 로보어드바이저, 간편결제, 가상화폐와 같은 핀테크 상품의 수용성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the survey data,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re related with financial knowledge, and how the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knowledge affect the financial behavio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with male, higher education, white-collar jobs, and high-value asset characteristics mark higher scores on financial knowledge questionnaire. Second, the financial consumers with higher financial knowledge scores clearly prefer the more aggressive financial instruments, and they regard that returns are more important than principal preservation. Financial knowledge does not seem to significantly affect the duration of the investments and the expected returns. Third, the higher the score of financial knowledge survey, the more self-directed the financial decision making, and when encouraged to buy financial products, the more likely they recognize their own responsibilities.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knowledge and savings rate is not so clear. However, the higher the financial knowledge score, the better economically prepared for old age, and the more private pensions such as the pension savings or the pension funds are purchased. Fifth, respondents with higher financial knowledge score use the debt more actively, and their proportions of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in total wealth are respectively higher and lower than the average. Sixth, financial knowledg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ceptance of fintech products such as Internet banking, RoboAdvisors, simple payment service, and cryptocurrencies.

      • KCI등재

        고위험 금융상품 판매현황 및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합리적 규제

        권세훈(Sehoon Kwon),반주일(Juil Ban) 한국증권학회 2022 한국증권학회지 Vol.51 No.1

        DLF(Derivative Linked Fund) 사태, 라임·옵티머스 사태는 금융기관의 부도덕한 운용행태 및 판매행태를 부각하면서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를 추락시켰고, 고위험 금융상품에 대한 경각심을 유발하면서, 금융소비자 보호의 필요성을 우리 사회에 각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금융당국에서는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다양한 개선책들을 내놓았다. 본 연구는 고위험 금융상품 판매현황에 대해 살펴본 후, 당국의 규제방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흡한 점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합리적 규제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금융기관이 위험하고 복잡한 금융상품을 제조하고 판매함에 있어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책임있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기존의 상품으로는 달성 불가능한 투자기회와 수익구조를 제공하게 된다면, 금융소비자로부터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고위험 금융상품이 금융이해력이 부족한 금융소비자를 착취하는 수단이 아니라, 효율적인 자본중개와 위험분산 기능을 수행하며 자본시장의 역동성을 제고하는 수단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DLF, Lime fund and Optimus fund scandals highlight the unethical management and sales behavior of financial companies as well as consumers’ lowered trust in them; this has raised awareness regarding high-risk financial products and the need for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in Korea. Financial authorities have devised various measures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scandals.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high-risk financial product sales and the newly introduced regulatory measur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exists any lack in the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nd regulatory measures. If financial companies play a responsible role in protecting financial consumers while manufacturing and selling risky and complex financial products and providing innovative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profit structures that cannot be found in the existing financial products, financial consumers’ trust may be restored in them. High-risk financial products should not be the means of exploiting financial consumers who lack financial literacy, but rather to enhance the dynamics of the capital market through efficient capital intermediation and risk divers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