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표정-내적상태 상관모형을 위한 얼굴 DB 구축

        반세범 ( Se Bum Ban ),한재현 ( Jae Hyun Han ),정찬섭 ( Chan Sup Chung ) 한국감성과학회 1997 연차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7 No.-

        내적 감성상태와 표정을 연결하는 상관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광범위한 얼굴표정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양한 얼굴유형의 표정자료를 DB화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50명 이상의 인물표정 자료수집이 필요하다고 보고, 우선 영화배우 10명분의 표정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위해 표정연기가 자연스럽다고 평가된 영화배우 10명을 선정하고, 이들이 출연한 50여편의 영화비디오에서 표정자료를 수집하였다. 한사람의 인물당 50개의 표정을 한 세트로 하여 총 10명분 500가지의 표정자료수집을 완료하였다. 각각의 표정은 시작-상승-절정-하강-종료의 연속 5단계를 비율적으로 표집하여 동적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자료들은 등장인물의 출연맥락이나 상황별로 분류하여 표정관련 맥락단서를 기록하였고, 후속연구를 통해 각 표정에 대응되는 내적상태를 기록할 수 있도록 DB화 하였다. 이와 같이 구조화된 자료들은 표정인식과 합성의 입출력모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한국인의 얼굴 프로토타입 DB 구축 및 향후 표정관련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는 Benchmarking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얼굴 특징점의 지각적 위계구조 분석

        반세범 ( Se Bum Ban ),정찬섭 ( Chan Sup Chung ) 한국감성과학회 2000 추계학술대회 Vol.2000 No.-

        표정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얼굴 특징점이 특정한 내적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알아야한다. 이를 위해 MPEG-4 FDP 중 39개의 얼굴 특징점을 사용하여 쾌-불쾌 및 각성-수면의 내적상태와 얼굴 특징요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극배우들의 다양한 표정연기 사진 150장으로부터, 5개의 필터 크기와 8개의 필터 방위로 구성된 Gator wavelet을 사용하여 39개의 특징점을 중심으로 영상처리 하였다. 이들 특징점의 필터 반응 값과 내적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상태의 쾌-불쾌 차원은 주로 입과 눈썹 주변의 특징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각성-수면 차원은 주로 눈 주변의 특징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필터의 크기는 주로 저역 공간빈도 필터가 내적상태와 관련이 있었고, 필터의 방위는 주로 비스듬한 사선 방위가 내적상태와 관련이 있었다.

      • 얼굴표정 DB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한재현 ( Jae Hyun Han ),문수종 ( Soo Jong Moon ),김진관 ( Jin Kwan Kim ),김영아 ( Young Ah Kim ),홍상욱 ( Sang Wook Hong ),심연숙 ( Youn Sook Shim ),반세범 ( Se Bum Ban ),변혜란 ( Hye Ran Byun ),오경자 ( Kyung Ja Oh ),정찬섭 ( Cha 한국감성과학회 1999 추계학술대회 Vol.1999 No.-

        얼굴 및 얼굴표정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실제 표정을 디자인하는 작업의 지침으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표정 DB를 구축하였다. 이 DB 내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집된 배우 24명의 자연스럽고 다양한 표정 영상자료 약 1,500장이 저장되어 있다. 수집된 표정자료 각각에 대하여 내적상태의 범주모형과 차원모형을 모두 고려하여 다수의 사람들이 반응한 내적상태 평정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사진별로 평정의 일치율을 기록함으로써 자료 이용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표정인식 및 합성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도록 각 표정자료들을 한국인 표준형 상모형에 정합하였을 때 측정된 MPEG-4 FAP 기준 39개 꼭지점들(vertices)의 좌표값들 및 표정추출의 맥락정보를 저장하였다. 실제 DB를 사용할 사람들이 가진 한정된 정보로써 전체 DB의 영상자료들을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 음악적 훈련수준과 음계의 유형이 선율의 지각적 표상에 미치는 효과

        반세범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1 원우론집 Vol.18 No.1

        Fou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musical training on the accuracy of musical interval estimation and its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y perception and the musical scales with two groups of music major and nonmajor students. Results to the experiments show, first, the estimation of the isolated simple musical intervals tend to be proportional to the physical frequency of sounds, and the music major group were able to estimate the musical interval sire accurately while the nonmajor group were inclined to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the interval sire. This implies that the musical interval representation of the music major is more finely differentiated than that of the nonmajor. Second, the perceived difference was greater when changes were made in the type of scale used in the melody, rather than in the major & minor modes. This suggests that melody contour, major & minor modes, and interval size are constrained by type of scale used. Third, the perception of method similarity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emitone structure of the type of melody used, and pattern recognition of an atonal melody is more difficult than that of a tonal one. This implies that she perceptual representation structure of a tonal scale is inadequate for an atonal scale. Fourth, although melody perception is influenced by consonance of harmony when combining to the Korean pentatonic scale melody, the parallel harmony of the minor third was found to be better suited to the baseline melody than that of the major third. This suggest that type of scale used and the major & minor modes can affect the harmonic interval size suitable to a mel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