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안보협력을 둘러싼 국내적 수준과 국제적 수준의 상충성 분석과 함의

        박휘락(HweeRhak Par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2

        This paper is written to answer a question why the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stalls at a minimum level despite their shared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their respective alliance with the U.S. It examines factors from both international level and domestic level based on theories of alliance and linkage politics and a few real world cases.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has been delayed due to the strong influence of domestic factors. Especially, the negative feeling of the people from both countries blocked the progress of security cooperation as clearly demonstrated by the abrupt postponement of the military intelligence protection agreement in June 2012 and surprising visit to Dok-do by the South Korean President in August 2012. As long as South Korea feels it necessary to enhance the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for the effective response to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the stability of Northeast Asia, it should improve its people"s negative emotion about Japan. The rational situation analysis and persuasion of the people by the political leaders and intellectuals of South Korea could be helpful for this. South Korea should strengthen the ties between the South Korea-US alliance and the Japan-US alliance by recognizing the limit of South Korea-China relation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lti-lateral international dialogues with Japan would be helpful, too.

      • KCI등재

        북한의 대(對)미국 핵전략 분석 : 최소억제전략을 중심으로

        박휘락(Hweerhak Park)(朴輝洛)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0 신아세아 Vol.27 No.2

        본 논문은 북한의 비핵화가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북한이 남북관계를 ‘대적관계’로 선언한 상황에서 미국과 북한의 핵억제전략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고 있는 확장억제와 북한이 활용하고 있는 최소억제의 개념에 대하여 살폈고, 제3장과 제4장에서는 미국의 확장억제와 북한 최소억제전략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제5장에서는 이 두 전략이 상호작용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현재는 미국의 확장억제가 북한의 최소억제전략을 압도하고 있어서 한반도에서 안정이 이룩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 미사일과 그것을 탑재할 수 있는 잠수함을 개발하는데 성공하거나, 대륙간탄도 미사일을 다탄두 하는데 성공할 경우 북한의 최소억제전략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북한으로 하여금 핵능력을 더욱 고도화하지 않도록 필요한 차단 활동을 경주하면서 미국이 다소 간의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한국에 대한 확장억제를 확실하게 제공하도록 한국의 가치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seeks to understand and assess interactions between US nuclear deterrence strategy and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given the seeming failure of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and North Korea s declaration of an ‘enemy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It revisits and introduc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US extended deterrence and North Korea’s minimal deterrence in section II. It analyzes the logic and unfolding of the two strategies in sections III and IV, respectively. It ass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s minimal deterrence strategy and US extended deterrence in section V.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Korean Peninsula seemed stable as result of the overwhelming dominance of US extended deterrence over North Korea’s minimal deterrent. If North Korea succeeds in developing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and submarines to deliver them or a multi-warhead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the North Korea’s minimal deterrence strategy could prevail over the US extended deterrent. In this situation, South Korea should try to halt further improv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capabilities and increase its value to the US to make the US implement its promised extended deterrent despite rising risk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북핵 억제와 방어 태세 비교

        박휘락 ( Park Hweerhak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북핵 대비태세를 비교하여 한국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북핵 위협과 미국과의 동맹 공유로 한일 간의 유사성이 크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과 동맹국이면서 비핵상태인 국가가 핵위협에 대응하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살펴본 다음에 일본과 한국의 대비태세를 각각 설명하였고, 서로의 유사성과 상이성이 큰 부분을 비교한 후 한국에 대한 교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확장억제 의존, 선제타격을 비롯한 공세적 방어, 탄도미사일방어, 민방위 등의 기본방향에서는 유사하지만,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적지 않았다. 특히 탄도미사일 방어에 있어서 일본은 매우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여 상당한 역량을 구비한 데 반하여 한국은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한 핵민방위에 대해서도 일본은 법까지 제정한 상태이지만 한국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제 한국은 일본보다 낮은 북핵 대응태세는 곤란하다는 인식하에 미국과의 핵공유를 추진함으로써 한반도에서의 핵균형을 도모하고, 지체된 탄도미사일방어를 보강할 수 있도록 미국은 물론이고, 일본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하며, 민방위도 핵위협 상황에 부합되도록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to compare the preparedness of South Korea and Japan, which have been commonly exposed to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maintain alliance relations with the US. For this purpose, it introduces key measures that the US non-nuclear allies take in dealing with a nuclear threat, examines the nuclear preparedness of South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and compares preparedness of both countries and draws a few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South Korea and Japan had taken similar concepts to defend their people from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uch as dependency on the US extended deterrence, offensive defense including preemptive strike concept, ballistic missile defense (BMD) and civil defense. However, the quality of the measure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Especially, Japan achieved comprehensive and sophisticated BMD capabilities whereas South Korea stopped at very limited capabilities. Japan put more effort in the civil defense than South Korea. South Korea may need to review the nuclear sharing option with the US seriously to make a quick nuclear balan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should reform its BMD concept and capabilities by cooperating with the US and Japan. It should also level up its civil defense posture.

      • KCI등재후보

        북한 ‘비핵화’ 협상에서 노출된 ‘오인식(誤認識)’과 ‘집단사고’ 분석

        박휘락(Hweerhak Par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0 신아세아 Vol.27 No.4

        본 논문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협상 실패 원인 중의 하나가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한국의 오인식일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의하여 작성되었다. 분석결과, 북한은 ‘비핵화’라는 용어를 미국의 핵우산 철폐와 주한미군 철수를 전제로 하는 ‘조선반도 비핵화’의 의미로 사용하였지만, 한국 정부와 미국은 이를 핵무기 폐기로 오인식하였다. 특히 미국 정부는 오인식을 확증편향의 수준으로 악화시키지는 않았지만, 한국 정부는 그것이 핵무기 폐기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증거나 의견이 적지 않았음에도 최초의 오인식을 교정하지 못한 채 확증편향으로 악화시켰고, 집단사고에 까지 이르렀다. 정부 내에 ‘악마의 변호인’처럼 확증편향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도 없었고, 현 정부 인사들의 강한 동질감과 단결이 다른 견해를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 정부와 국민들은 북한이 말하는 비핵화가 핵무기의 폐기가 아니라는 점을 냉정하게 인식하는 가운데 오인식과 확증편향에서 벗어나야하고, 정부는 집단사고가 지속되지 않도록 다양한 교정 노력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ssesses South Korean and US misperceptions regarding North Korea’s promise of “denuclearization,” given that there has been no practical dismantlement of those nuclear weapons after almost two years of negotiations. It concludes that the South Korean and US governments mistakenly believed that the term ‘denuclearization’ meant the dismantl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while North Korea in fact meant the withdrawal of the US nuclear umbrella and US forces in Kore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a strong confirmation bias and failed to correct its misperception despite several instances that would have proven that mistake. To make matters worse, misperception became Groupthink because of strong uniformity and links among key staff in the South Korean Presidential offic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should recognize that North Korea did not mean that it would give up its nuclear weapons when it used the term denuclearization. They must check whether they have a confirmation bias and/or Groupthink regarding denuclear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