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론장의 이론적 진화

        박홍원(Hong-Won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4

        하버마스가 1962년 교수자격취득 논문으로 발표한 〈공론장의 구조변동〉은 이후 그의 평생의 이론적 프로젝트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글의 목적은 공론장 개념의 이론적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이 개념이 민주주의, 특히 다원적 민주주의에 갖는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하버마스가 〈공론장의 구조변동〉에서 서술한 부르주아 공론장이 형성된 역사적 맥락과 그 파괴적 변형과정을 간단히 요약해 제시한다. 둘째, 〈공론장의 구조변동〉 이후 1980년대 후반까지 하버마스가 그의 이론체계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를 간단히 살펴본다. 셋째, 1989년 이 책의 영역본 출판으로 세계적 관심을 끌게 되면서 부르주아 공론장 개념에 대해 제기되었던 여러 비판들을 크게 경험적 적합성과 규범의 문제, 포용과 배제의 문제, 매개와 재현의 문제로 나누어 정리해 그 의미를 논의한다. 넷째, 이러한 비판들을 수용해 하버마스가 그의 공론장 이론을 재정립한 〈사실성과 타당성〉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이론적 중요성을 논의한다. 다섯째, 〈사실성과 타당성〉 이후 민족국가의 범위를 넘어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하버마스의 다양한 저작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다원적 공론장에 대해 갖는 함의를 헌법애국주의와 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그의 정치철학에 내재된 이중성으로 인해 하버마스의 다원적 민주주의 인식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은 경험적 적합성보다는 민주적 의사소통을 위한 규범적 이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the seminal work Habermas published as Habilitationsschrift in 1962, formed the basic framework for his lifelong theoretical proje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an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pluralistic democracy.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main parts. First, it summarized and evaluates his argumentative descriptions provided i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that is,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formation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and the process of its destructive transformation. Second, it examines how Habermas had developed his theoretical frameworks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until the late 1980’s when it attained worldly academic concern with the publication of its English translation in 1989. Third, it summarizes a variety of criticisms raised against Habermas’s conception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into three main categories : the problem of empirical relevance and normativeness, the problem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the problem of mediation and representation. Fourth, it introduces Habermas’s efforts to elaborate his theoretical framework in Between facts and norms and discusses its significance for the theoretical evolution of the public sphere. Fifth, it examines Habermas’s recent works that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mocracy beyond the scope of nation-state since Between facts and norm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the pluralistic public sphere by referring to his understanding of constitutional patriotism and multiculturalism. It seems that, because of the duality inherent in his political philosophy, Habermas’s conception of pluralistic or radical democracy is more or less limited.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his theory of the public sphere is of no use. The significance of Habermas’s theory of the public sphere lies not in the fact that it fits well with empirical reality of everyday communicative actions but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normative ideals for democratic communication.

      • KCI등재

        주체, 타자, 커뮤니케이션

        박홍원(Hong Won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1 언론과 사회 Vol.19 No.2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1920년대 이래 주류를 형성해온 접근은 어떻게 하면 송신자의 의도를 정확히 수신자에게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수신자가 정확히 해석하고 이해하도록 할 수 있는지에 주된 관심을 쏟아왔다. 다양한 접근들이 이에 대한 대안적 모델로 제시되기도 했지만 거의 대부분은 의미의 공유와 합의를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적 요소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레비나스가 말하는 서구철학의 주체중심적, 존재론적 전통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 접근에서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 모습은 왜곡 없는 정보, 지식, 의견, 정서, 감정의 공유로 설정되며,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문제는 어떻게 진정한 공유가 가능한가로 집중된다고 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에는 항상 자아가 자리 잡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은 송신자의 정확한 메시지 작성/전달과 수신자의 정확한 재생/이해를 바탕으로 한 나의 의견의 확산과정인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타자는 설득의 대상으로서 나의 인식 공간에서만 의미를 가질 뿐이다. 레비나스는 이를 교정할 독특한 시각을 제공하였는데, 이 글은 그러한 가능성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의 내용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그의 말함과 말해진 것의 구분이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어떠한 함의를 줄 수 있는지 논의했다. Since the 1920’s when communication studies arose as an academic discipline, almost all the approaches that have comprised the main current have paid central attention to the ways in which the sources transmit their intentions correctly and the receivers interpret and comprehend the messages they re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the sources. This represents the conventional mainstream approach in communication studies. While there arose a variety of approaches against the approaches within the mainstream approach, these alternative approaches also have regarded the key elements of communication as sharing meaning and consensus, falling into the same category of what Levinas called the Greek tradition or ontological tradition which he reproached for its tendency of egocentrism, totalitarianism, tyranny and violence on differences. In setting the ideal form of communication as undistorted sharing of information, knowledge, opinion, and emotion, the traditional approach has focused on the question of how to render a true common sharing between the sources and receivers. In this approach, at the center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lies an ego or a subject, and communication is understood as a process of expanding my opinion based on precise production/transmission of messages by the sources and exact reception/comprehension of the messages received by the receivers. In this approach the Other has meaning only as an object of persuasion within the field of my (re)cognition. Levinas provided a unique perspective to correct this egocentric conception of communication.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Levinas’ possibility for expanding perspectives on communication. After introducing the main points of Levisnas’ philosophy of the Other, this paper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Levinas’ distinction between the saying and the said, especially the saying as a practice of ethical language, for communication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헤게모니 전환과 미디어: 레이건 행정부의 복지축소정책에 대한 뉴욕타임스 사설 분석

        박홍원 ( Hong Won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4

        이 연구는 미국의 주도적 자유주의 신문인 뉴욕타임스가 레이건 행정부의 보수적 복지축소정책(welfare retrenchment policy)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헤게모니 전환 과정에서 주류 언론이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자유주의 주류 신문들은 1930년대 이후 미국에서 지배적 정책 이념으로 부상한 뉴딜 자유주의를 꾸준히 지지해왔기 때문에 레이건 행정부에 의한 보수적 정책 회귀에 대해 이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지 살펴보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미디어가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임기 중 복지개혁과 관련해서 정책 실행 차원에서는 크게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복지에 낙인을 찍고 근로를 강화하려던 보수 진영의 의미실천은 뉴욕타임스 사설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 결과 뉴욕타임스는 지속적으로 레이건의 복지축소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몇 보수주의적 의미 요소들은 뉴욕타임스 사설에서 상당한 동조를 얻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뉴욕타임스는 복지 프로그램 감축이나 예산 삭감 등에 대해서는 그것이 초래할 불평등한 결과를 들어 매우 비판적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했지만 근로를 복지 수혜의 조건으로 삼으려는 워크페어에 대해서는 처음 반대 입장에서 시간이 갈수록 동화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패턴은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 양쪽 모두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결국 미국의 주류미디어는 정책 위기의 국면에서 서로 대립하는 정책 요소들 사이에서 합의적 요소를 취합해 정책문화를 전환하는 방법으로 헤게모니 전환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dia`s role in the hegemonic transition by analysing the ways in which the New York Times, a leading liberal newspapers in the Unites States, dealt with the Reagan Administration`s radical conservative policy of welfare retrenchment. The reasoning was that, because the liberal newspapers,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had supported the New Deal liberalism since the 1930s. in order for understanding the ideological roles of the capitalist media in the period of hegemonic transition, it would be of great help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mainstream liberal newspapers responded to the Reagan Administration`s efforts to trigger conservative policies of welfare reform. Even though the Reaganites were not so successful in implementing welfare reform measures, their efforts to stigmatize welfare and to strengthen work requirements for welfare benefits were quite successful in the end, leading to the absorbtion of liberal and conservative elements in the policy discourses of the New York Times. While showing consistent oppositions to the Reagan Administration`s efforts to reduce social programs and budgets, the leading liberal newspaper in the United States had gradually adopted some elements of conservative welfare reform such as workfare. This tendency was confirmed both by content analysis and frame analysis. All these show that the mainstream US media contributed to stable hegemonic transition by absorbing consensual elements in the two competing policy ideas, namely, the New Deal liberalism and the Reaganite radical conservatism.

      • KCI등재

        정치의 미디어화

        박홍원(Hong-Wo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2000년대 중반 이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에서 미디어화(mediatization)라는 용어가 전지구적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디어화는 사회의 거의 모든 제도와 실천의 영역에 걸쳐 미디어가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장기적인 사회변동을 추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학술용어이다. 미디어화 연구자들은 미디어 기술이 일상으로 침투하면서 인간이 수행하는 모든 실천은 미디어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처럼 미디어화한 실천은 모든 사회제도들의 조건이라고 파악한다. 미디어화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나날이 증대하고 있는 미디어의 영향력으로 관심 영역을 넓혀가고 있지만, 이론적, 분석적 틀의 부재로 인해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하나의 이론적 안내자로서 미디어화는 문화와 사회에 미치는 미디어 영향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포착하고 경험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해준다. 이 글은 미디어화 이론의 현 단계를 진단하고 그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디어화의 개념과 이론이 전개되어 온 배경과 현황을 개관한 다음 정치의 미디어화에 관한 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Since the mid-2000’s the term mediatization has received a huge academic attention on a global scale in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Mediatization is an academic term to refer to the fact that the media have driven long-term social transformations as they have extended their influence over almost every sphere of human institutions and practices. Scholars of mediatization hold that all human practices have been mediatized as media technologies have penetrated into everyday life, regarding mediatized practices as preconditions for every social institution in contemporary society of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While mediatization scholars have expanded their realms of research to nearly every sphere of our everyday lives, the lack of sound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s led to a considerable confusion in the field of mediatiz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mediatization research and to offer a prospective discussion on the potential of mediatization for future media studies. Specifically, after offering a brief review o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of mediatizatio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research,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a wide range of studies in mediatization of politic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media and democracy in contemporary digital ag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