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BI 색채적용 특성에 대한 연구

        박혜경(Park, Heykyung),유희선(Ryu, Heeseo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아름다운 금수강촌실현과 농어촌 주거환경 이미지 형성을 위해, 09‘ 년도에 작성된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 모델 제작Ⅰ’상의 농어촌 마을의 유형분석 및 환경색채 적용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제 마을에 적용시켜보는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현장적용프로세스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시범마을 선정을 위해 농어촌 지역에 대한 개발사업 전반을 분석한 결과, 기 조성된 지역을 대상으로 개량정비사업으로 이뤄지고 있는 마을과 신규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어지고 있는 마을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선정된 기존마을은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이 진행 중인 ‘청양군 칠갑산권역의 천장리’와, 신규조성계획마을은 농어촌뉴타운조성사업의 대상지인 ‘충북 단양군 단성면 중방리’로 기 형성되어진 마을의 환경색채 재정비 방안 및 새로 계획되어지는 마을의 환경색채계획 방안으로 구분하여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각각 해당마을의 경관권역분석 및 환경색채조사를 실시하였고, 기 작성된 가이드라인 상의 색채를 적용하였다. 다음은 적용된 건축물 및 시설물의 유형을 파악하여 유형별 계획안을 작성하고,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해 최종 적용색채를 선정, 실제 적용 및 보완작업을 통해 현장적용 모델을 검토하였다.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 모델 제작Ⅰ’상의 유형별 색채가이드라인의 건축물 용도별, 시설물 종류별 색채를 실제 마을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실질적인 현장적용모델로 재정립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Recently, attempt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 by using space communication in forms of ‘user-benefit space’ is rising rather than advertisement, sales promotion or PR article and introducing BI color into the space is recommended in constructing an integrated brand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nder premise of idea that in order to convey its brand identity more effectively, communication function of color in space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we proceed field research on how Brand Identity colors are applied into environmental colors in major User-Benefit spaces in Korea. This study can be a fundamental study of interior space color plan for strengthening brand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7 major company that operates ‘User-Benefit space’ were chosen and field research were carried out from July, 2010 to September, 2010. To measure environmental colors, spectrophotometer was used and measuring were proceed in rest spaces which most of the communications and conveniences are provided. As a result, the tendency applying BI colors as accent colors such as furniture or facilities are dominant, and difference between BI environmental color and its surrounding colors are rather outstanding for easy cognition. Based on Ident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 of BI colors, it is expected to increase marketing effect in operating User-benefit space if colors are introduced into customer communication space in various method.

      • KCI등재

        세대에 따른 감성 및 색채선호 경향 연구

        박혜경(Hey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근래, 증가하는 건강, 의료에 대한 관심과 고령화 사회로의 가속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공공보건의료시설의 양적 팽창과 함께 이들 보건의료 색채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장년으로 대변되던 중심세대의 이동이라는 사용자 층의 지각변동이 나타남으로써, 보다 폭넓은 사용자 세대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들을 반영하여 다양한 세대의 사용자 층을 배려하는 새로운 의미의 ‘공공보건의료 환경색채 지표개발’ 연구과제의 1단계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즉,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공공보건의료시설을 지원하는 순기능적 색채환경 구축을 위하여, 보다 폭넓은 세대의 사용자의 감성과 색채 선호성향을 파악하여 향후 공공보건의료시설에 적용가능한 색채 지표를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세대별 건강, 보건의료에 관한 의식조사, 감성이미지 및 색채 선호경향을 조사하고 그 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12월 20일부터 한달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각 300명씩 총1500명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시설에 대한 만족요인에서 환경,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색에 대하여 ‘자연적인’, ‘맑은’과 같은 청량한 이미지들이 선호되고 있으며 20대에서 ‘자연적인’의 이미지가 건강과 가장 연관이 깊다는 의식이 나타났다. 선호색상의 경우. 빨강, 파랑의 원색은 50, 60대에서 회피경향이 있었으나 젊은 세대에서 선호경향이 나타난 것이 주목할 만하다. 명도, 채도의 경우 대부분의 세대에서 밝고, 선명한 정도의 색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보건의료 시설의 성격상 깨끗하고 청결한 이미지가 어울린다는 의식과도 연결성을 보이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ndency of emotion and color preference by the generations as well as a whole. This is to proffer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tandard for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f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This study was carried by questionnaire survey with 23 questions consisting of satisfaction factor for healthcare facility, consiousness about healthcare color and image, color preference tests and image vocabulary examinations. It was carried for one month starting at Dec. 20th 2015, by on-line survey by 1,500 people that collected evenly from 20, 30, 40 and 60 gene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Satisfaction level appeared rather high, but "environment" and "convenient facility" appeared low, and it shows the coincidenc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image vocabulary for "health", the words like "natural", "clear" showed most frequency and 20s" preference for the word "natural" appeared outstandingly. In preference, for Hue, PB is mostly preferred and R and B are remarkably preferred in 20s and 30s whareas they were not preferred in 50s and 60s, and it shows younger generation tends to prefer stronger colors than elder generation. Accordingly, a tendency preferring bright and vivid level appeared in the whole generations, and the results are corresponding to that of image vocabulary in preference for Value and Chroma in Y and G group which are mostly applied in the healthcare facilities such as hospital and public healthcare cent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보건실 색채 환경에 관한 연구

        박혜경(HeyKyung Park),이민재(MinJae Lee),윤지선(JiSun Youn)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1

        초등학교는 성장기 아동들이 사회적으로 처음 적응하게 되는 교육공간으로서 학생들의 정서적 발달과 더불어 인격 형성이 이루어지는 생활의 장소이다. 최근 아이들에게 있어서 지나친 교육열로 인한 경쟁심이나 폭력, 따돌림, 성문제 등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가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예방교육이 보건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아동으로서 쉽게 질병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예방 교육과 함께 상담을 통한 보건교육의 중요성은 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인식한 교육부는 2003년부터 전국의 각 학교를 대상으로 ‘보건실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보건실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보건실 현대화사업’이 지속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건실 색채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 진행되었으며, ‘보건실 현대화사업’이 진행된 보건실의 색채 현황 및 특성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학교보건 및 보건실의 현황과 아동 색채선호 경향에 대한 문헌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보건실 색채 환경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도출하였다. 다음 단계로서 2014년 8월초에서 9월초까지 부산지역 ‘보건실 현대화사업’의 수혜 대상 10개 초등학교 보건실을 방문하여 사진촬영, 기록, 현장측색 등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환경색채 적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측색된 총 89개 환경색채에 대하여 색표계 및 배색에 의한 분석, IRI(Image Research Institute) 색채 이미지스케일 분석을 실시하여 보건실 색채환경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보건실 색채선호도 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초등학교 보건실 관련 시설계획 및 리모델링 시, 색채계획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lementary school is where the social adaptation occurs for the first time as an educational space and is a place of life where the student"s emotional development and formation of personality are formed. However, various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of today are emerging socially like violence, shunting, sexual problems, and so on to the children. As an effort to solve this situation, the health sector of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performing the health sector modernization business since 2003 till now. ‘health sector modernization business" is a study about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health care rooms in elementary school by improving the interior colors.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care room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school health and health rooms was comprehended through the survey and consideration of the literature as the theoretical basis and criteria about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olor environment of the health rooms was derived. Second, as the basic data for this study,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environmental color to the health rooms of the 10 beneficiary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rea of the health room modernization business was surveyed. The site survey was performed between August 2014 through September. The site coloring has performed the manufactured colors, auxiliary colors and emphasis colors using the spectrum coloring machine(Minolta Spectrophotometer CM-2600D). Lastly, analysis of the color system of the preferred color, brightness and chroma about the total 89 environment colors collected from the field study. And, the color systemic analysis and the image vocabulary analysis based on IRI(Image Research Institute) color image scale were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environmental colors of the health rooms of elementary schools and enhance the psychological approach which enhances the use rate of the health rooms by children by using appropriate environmental colors.

      • KCI등재

        생태 전시공간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분석연구

        박혜경(Park, Heykyung),오지영(Oh, Jiyoung)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1

        급속한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른 환경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됨에 따라 생태, 에코, 친환경 동의 어휘는 21세기 디자인의 중요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이와 발맞추어 생태, 자연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생태 환경에 대한 자각과 인식 전환을 이끌어 내는 노력의 한 형태로서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생태전시관의 설립이 이어지고 있다. 전시의 사회교육적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효과를 제고하는 공간적 지원이 요구됨 에 따라 전시 내용과 연관된 이미지 색채는 관람객들의 관심 집중과 내용 전달에 기여하는 중요한 공간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공간에서 전시컨텐츠와 관련된 이마지 색채의 제공이 전시와 관람자 사이의 소통에 기여한다는 전제 하에, 국내 주요 생태전시관의 주요 환경 색채를 조사하고 이들의 이미지 어휘를 친환경 이미지 어휘와 비교분석함으로써 생태전시관에 도입된 색채들의 친환경 이미지 표현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현장조사는 국내에 신설된 8 개 주요 생태전시관을 직접 방문하여, 2011년 8월부터 9월 사이, 전시공간 구성요소인 바닥, 벽, 전시대 등을 중심으로, 분광측색기(Minolta spectrophotometer CM -2600d)에 의한 측색으로 이루어 졌으며, 색채 이미지 분석은 I.R.I(Image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한 이미지 스케일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 연구 결과, 친환경 이미지와 관련이 적은 보수적인, 세련된, 조용한, 중후한 등의 이미지를 가진 색채가 많이 도입되고 있어 전시주제나 내용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고 동시 대 의 보편적 실내 공간 트랜드를 그대로 도입하는 안일하고 보수적인 태도의 전시공간 색채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생동적인 친환경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색채군의 도입을 통하여 전시 공간의 메시지 전달 효과를 제고하고 관람객들에게 감성적 습득의 기회를 제공하는 색채 계획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environmental topic became on the rise,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words like "Eco", "Environment Friendly" have been becoming a major part of design paradigm of 21st Century. Domestically, that issue beca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and the eco museums being expected as an effective public educator continuously opened by local governments. Color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space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audience" s attention and helping communicate the messages in exhibition spa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building "environment-friendly image" by finding out the matching vocabularies for "environment-friendly image", and drawing out the image vocabularies of the colors applied to the spaces of eco-museums collected by field research for color measurement under premise of idea that providing a spatial image related to the contents being exhibited is enhancing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hibit and the audience, For this study, 8 major eco-museum in Korea were chosen and field research were carried out from August, 2011 to September, 2011. To measure environmental colors, spectrophotometer(Minolta, CM-2600d) was used and measuring were proceed in those areas such as floors, walls, columns. and display cases. To analyze the color image, I.R,I Image Scale was used. As a result, the tendency applying environmental colors imaging "conservative", "sophisticated", "calm", and "dignified" which are not related with the adjectives such as "lively", "clean", "vigorous" or "natural" indicating "environment-friendly image" were dominant. Therefore, color scheme for future eco-museum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 exhibit spaces and audiences" chances acquiring emotional knowledge by applying the colors with environment-friendly images more lively or energetic close to the image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