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C미술에 있어서의 오브제 개념

        박형주 조선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Since the objet art which was appeared first in the history of modem arts in the middle period of the 20th century was a form of arts which was settled in the painting circles of Europe, it is not fresh to make it a subject of discussion now. Nonetheless many artists employ the objets in their works to produce the artistic concepts which they can express more concretely and clearly. The concept of objet which was originated in cubism was develped to collage technique which pursues the relation of a new shape and an entity by attaching an actual objet to the painting space. And it was a direct chance to foretell the emergence of objet artas a thing itself and in Dadaism, it was replaced with a shocking objet to express an artist's own thought more positiv and innovative way. Especially, ready-made work presented by Marcel Duchamp in 1917 obtained its independent area and suggested a new thought of objet. In surrealism, a symbolized objet can be created through automatism and depaysement techniques as the ways to emphasize eternity and myster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researcher's wish to use objet in the modem arts. The modem art since Dada which tried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life has no change in its basic purport, but it has experienced the various changes in the form and created a lot of Isms and meanings. Assemblage, neo-dadaism, Nouveau Realisme and pop art in the development method of objet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using objet by the artists who applied the products of mass production, ususal things and mechanical civilization to the canvas. And as times go by, it has been presented to the form of complex media such as happening and earth art as the environmental phenomena which combine usual objet with human acts. Further this study investigates a bol innovation which is free from the boundary of man and art life by treating the man as an objet and extending arts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 간이식 수술시 갑상선 호르몬의 변화

        박형주 아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비갑상선질환 증후군은 triiodothyronine (T3)치가 단독으로 저하되어 있거나 T3 와 tyroxine (T4)치가 같이 저하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기아, 패혈증, 심근경색, 심장 혹은 비 심장수술 환자에서 관찰 되며, 어떤 심한 질병과도 동반될 수 있다.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interleukine-6 (IL-6), tumor necrosis factor-a (TNF-a)와 같은 cytokines가 요소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 간이식수술은 cytokines의 급격한 변화를 겪는 수술인데,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 변화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대상 및 방법: 간이식수술을 시행 받는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내분비 질환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으며, 마취 유도후, 무간기, 수술이 끝나기 30분전, 수술 24시간 후, 수술 120시간 후 총 5회에 걸쳐 혈중 T3, T4, free-triiodothyronine(FT3), free-tyroxine(FT4)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농도를 측정하였다. Cytokines들 중 IL-6의 값도 같은 시점에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한 갑상선 호르몬 중 혈중 T3, T4, TSH 농도는 마취유도후 시행한 결과보다 무간기, 수술 끝나기 30분전, 수술 24시간 후, 수술 120시간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혈중 T3 농도는 무간기에 시행한 결과에 비해서도 수술 24시간 후, 수술 120시간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FT3 농도는 마취 유도후 결과보다 수술 120시간 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FT4 농도는 마취 유도후 결과에 비해 수술 24 시간 후, 수술 120 시간 후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IL-6의 값은 마취유도후 결과보다 무간기, 수술 끝나기 30분전 결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결론: 간이식 수술을 받는 환자는 비갑상선질환 증후군을 겪는다고 생각되어지며, T3 등의 갑상선 호르몬 감소는 IL-6의 농도와 역비례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비갑상선질환 증후군의 발생 원인 및 갑상선 호르몬의 투여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 평면영역에 대한 중심축의 곡률

        박형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심축(medial axis, MA)과 그 의미가 같은 골격(skeleton)은 생물학자인 H. Blum(1967)에 의해 미생물의 분류를 위한 방편으로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수학적으로 더욱 엄밀히 최대 원 모형으로 정의되어 중심축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 모형은 영역을 닫힌 집합으로 생각하고, 이 영역에 포함되는 모든 닫힌 원판에 대하여, 다른 어떠한 원판에도 포함되지 않은 원판을 최대 원판이라 부르고, 최대 원판의 중심의 궤적을 중심축으로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중심축 구현 알고리즘은 서로 가까이 있는 두 최대 원판으로부터, 각각의 원판에서 경계와 만나는 두 점을 찾아 각각 경계의 접선의 방향으로 중심축이 진행되어가는 방향을 구하여 중심축 곡선을 부드럽게 잇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평면 영역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계의 곡률과 중심축의 곡률과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심축과 중심축 변환의 정의를 엄밀하게 다루고, 평면 영역의 중심축과 중심축 변환의 중요한 성질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중심축을 구현하는 알고리즘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최대 원판을 찾는 방법을 공부하였다. 그리고, 포락선(envelope)을 이용하여 중심축 변환으로부터 그 영역의 경계를 어떻게 유도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최대 원판을 구했을 때, 이 원판이 경계와 만나는 점에서의 경계의 곡률로부터 중심축의 곡률을 유도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H. Blum who is a biologist first introduced the skeleton which has the same meaning as the medial axis which is defined as the maximal disk model. For a compact connected domain, we now denote the core of the domain to be the set of the maximal inscribed disks and define the medial axis of the domain to be defined the set of the centers of the disks in the core. In general, the implementation to the medial axis is generally based on the approximation from the discrete maximal disks using the tangent of the medial axis. In this thesis, we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curvatures of the boundary curve and the medial axis. To do this, we first deal with the precise definitions of the medial axis and then observe the medial axis transform and the important results of the medial axis for plane domains. We next study how to find the maximal disks which is the important part of algorithm. Finally, we study how to derive the boundary curve from the medial axis using the envelope formula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curvatures of the boundary curve and the medial axis.

      • 스마트 자동 피아노 튜닝 시스템

        박형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아노는 가장 인기 있고 사랑받는 악기 중 하나이다, 또한 악기 중 가장 음역대가 넓고 표현력이 풍부하다. 피아노 조율은 피아노조율기능사 자격증이 있어야 할 정도로 전문 지식이 필요하며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복잡하고 어려운 조율을 전문가의 도움 없이 피아노 이용자가 빠르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게 스마트 자동 피아노 튜닝 시스템을 개발했다. 시스템은 피아노에 탈부착할 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저장된 위치 데이터를 통해 자동으로 위치를 이동하며 조율을 진행한다. 사용자는 건반을 치는 작업만 반복하며 편리하게 조율을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스텝모터, 알루미늄 프레임, LM 엑츄에이터, 라즈베리파이,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라즈베리 파이가 스텝모터를 제어하여 LM 엑츄에이터의 위치를 조정하고, 마이크로 수음된 음성 데이터를 폐 루프 제어로 핀을 자동으로 조율한다. 실험에는 영창피아노 u-108 모델을 이용했다. 주파수 분석에는 자체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상용화된 기타 조율기와 성능을 비교했고 조율 부분은 분석된 주파수를 토대로 조율이 풀린 핀을 정상 주파수로 맞추는 시간과 조율 정확성을 실험했다. 실험결과 핀 하나 조율하는데 평균 4.5초 소요되었고 10센트 이내의 결과를 얻었다. 이는 단순계산으로 핀이 230개라고 가정하면 전부 조율하는데 17.25분 소요되는 결과로 조율사 평균 조율시간 1~2시간에 비하면 꽤 빠른시간 내에 조율을 마치는 것을 볼 수 있다. 현재 시중에 판매중인 동일 기능의 제품은 없어 2020년 8월3일에 특허 출원을 성공했다. The piano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beloved instruments, and it has the widest range and expressiveness among the instruments. Piano tuning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enough to have a piano tuning technician license. We have developed a smart automatic piano tuning system that allows piano users to perform tuning quickly and easily without the help of experts. The system is designed to be detachable from the piano and automatically moves and tunes through the stored position data. The user can only repeat the task of playing the keyboard and tune it conveniently. The system was developed using a step motor, aluminum frame, LM actuator, raspberry pi, and microphone. The Raspberry Pi controls the step moto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M actuator, and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is automatically tuned to the pin through closed loop control. The Youngchang Piano u-108 model was used for the experiment. For frequency analysis,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other tuners commercially available through the development of our own algorithm, and the tuning part was experimented with time and tuning accuracy to set the untuned pin to the normal frequency based on the analyzed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took an average of 4.5 seconds to tune one pin, and the result was within 10 cents. This is a simple calculation, and assuming that there are 230 pins, it takes 17.25 minutes to tune all of them. It can be seen that tuning is completed in a fairly quick time compared to the average tuning time of a tuner in 1 to 2 hours. Currently, there is no product with the same function on the market, so the patent application was successful on August 3, 2020.

      • 창의성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박형주 전주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것으로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1] 창의성은 남녀간 형제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문제 2] 창의성은 가정환경과는 어떠한 상관이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 선행연구 결과들을 참고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창의성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가설 1-1] 창의성의 하위영역간에는 남녀별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의성은 출생순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1] 창의성의 하위요인은 출생순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창의성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보다 심리적 환경이 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창의성의 하위요인과 가정의 심리적 환경의 하위요인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 5] 창의성의 하위영역들의 상하집단간에는 가정의 심리적 과정의 하위요인에 있어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산간지역(장수군) 5학년 아동 200명 (남자 106명 여자 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도구는 가정환경 진단 검사(정원식, 1989)와 간편 창의성 검사(이영덕, 정원식, 1991)지이며 자료의 통계처리는 SAS program을 사용하였고 연구의 가설의 가설 검증을 위해 상관관계와 t-검증의 통계기법을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별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창의성은 남녀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창의성의 하위영역간의 남녀별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유창성에서는 (P<.05)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융통성에서는 남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P<.05). 개방성과 독창성에서는 의미있는 차가 없었다. 2) 창의성은 출생순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창의성 하위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창의성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보다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창의성의 하위영역 중 독창성이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독창성은 가정의 집단성격 중 태도, 자율성과 유창성은 가정의 심리적 과정 중에서 성취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창의성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간에는 가정의 심리적 과정 요인의 차이가 없었으며, 유창성은 성취, 독창성은 친애만이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통합 교육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 STEAM 교육을 중심으로

        박형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STEM 교육은 미국에서 국가 경쟁력 하락의 원인을 교육에서 찾으면서, 학생의 흥미와 성취도를 떨어뜨리는 과학, 수학, 기술 교과에 대한 인식 부족과 잘못된 이해, 공학 진학률 저조와 공학 프로그램 참여가 저조한 교육을 하고 있다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통합적 STEM 교육이 시도되었다(이동윤, 2010). STEM 교육에 예술(Arts) 영역을 추가하여 탄생한 STEAM 교육은 Yakman(2006)이 새로운 융합 교육의 형태로 제시한 용어이다. Yakman은 한 가지의 주제에 대하여 과학, 기술, 공학, 수학, 예술적 측면으로 접근해 통합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면 학습의 효율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흥미유발과 동기유발이 쉽고 학습자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STEAM 교육은 새롭게 만들어진 교육형태가 아니라, 오랫동안 논의되어 온 통합교육의 한 형태이다. 우리는 미국의 전국 교사 협의회(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에서 발간한 보고서들과 한국의 교육과정을 고찰하면 수학 교육계에서 타 학문과의 통합적인 시도를 한 것을 볼 수 있다. NCTM(1995, 2003)은 수학과 타 교과 사이의 연계가 다양한 응용을 통하여 가능하다고 하였다. 수학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실생활 상황과의 연결이라고 설명하며 특히, 기술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7차 개정교육과정(2002)을 살펴보면, 수학의 내용이 최대한 실생활 소재나 인접 교과와 관련된 것에서 도입되어야 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수학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교육과학인적자원부는 올해부터 창의적 융합인재와 과학 기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STEAM 교육을 추진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교사 연구회를 조직하여 STEAM 교육 자료를 개발하려는 중에 있다. 그러나 여러 분야에서의 접근이 가능하면서도 현장에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학문간의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며 학생들을 이끌어야 하는 교사의 다양한 역량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STEAM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 개발이나 모형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현재의 수학 교과서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학적 연결성 및 공학적 도구의 활용을 강조하는 7차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현재의 수학 교과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타 교과 및 실생활과의 연결을 시도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따라 편찬된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서 Fogarty(1998)가 제안한 교과 간 통합 수업 유형 5가지를 찾아볼 수 있는가? 2. 연구문제1에 의하여 선별된 통합 부분은 STEAM 교육을 바탕으로 하였을 때, 어느 교과의 영역과 관련이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정의, 유형, 필요성과 수학적 연결성과 더불어 STEAM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후에, 중학교 1학년 제7차 개정 검정 교과서 27종(익힘책 포함)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과서에서 통합교육의 학자인 Fogarty(1998)가 제시한 교과 간 통합유형 5가지에 따라 타 교과와의 통합 형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는 STEAM 교육에 근거하였을 때, 어떤 교과의 영역에 연결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후, 간학문적 통합 모형 중 가장 높은 수준인 통합형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학자인 Forgery(1998)가 제시한 교과 간 통합 유형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병렬형(sequenced), 공유형(shared), 연계형(threaded), 거미줄형(webbed) 순으로 많았으며 통합 정도가 가장 높은 통합형(integrated)은 찾아볼 수 없었다. Jacobs(1989)와 Fogarty가 정의한 바에 따르면, 병렬형에서 통합형으로 갈수록 통합 정도가 높아지는데, 교과서에서는 비교적 통합정도가 높은 형태들을 찾기 어려웠다.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술공학의 도구의 사용과 실생활을 소재로 한 문제의 사용을 강조하고 있으나, 여러 교과를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의 교육은 구체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둘째, 통합 교과의 영역을 분석한 결과, 기술공학, 문화예술과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 순으로 많았다. 주로 수학 이외에 한 교과만을 연계시키려하고 있었으며, 거미줄형을 제외하고는 세 교과 이상의 통합을 시도한 부분은 찾기 힘들었다. 거미줄형은 한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의 소재를 통합적으로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통합 유형과 통합 교과의 영역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병렬형에서는 자연과학의 내용이, 공유형에서는 기술공학의 내용이, 거미줄형에서는 자연과학의 내용이, 연계형에서는 문화예술의 내용이 가장 많이 연계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나, 앞으로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를 각각 분석하여 학년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또한 교수차원에서의 통합 수업 모형에 관한 논의뿐 아니라, 구체적인 통합적 수학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교사들이 현장에서 통합 교육을 실시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STEAM education was started in the course of finding out the cause of national competitiveness's decline in the education, in the raising of the problem of lack of 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the subject of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which deteriorate students' interest and accomplishment, in the bring up the poor results of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the next stage of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public program.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ynthetic STEAM education was attempted.(Lee dongyoon, 2010) The term 'synthetic STEAM education', which adds the domain of arts to the STEAM education, was at first presented in the G. Yakman's thesis assuming the form of new synthetic education in Virginia. G. Yakman argues that STEAM education is a relatively new matrix in education which enables to instruct students through many branches of science and that it doesn't only promotes the students' learning effectiveness but also makes it easy to trigger interest and motive, having an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development. For this reason,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lans to carry out STEAM education from this year to cultivate systematically creative fusion talents and technical talents. It is on the way to develop STEAM materials with organizing of teachers' research groups. But it's not easy to develop a model available in many subjects and suitable for field curriculum. It's due to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and teacher's talents. Developing concrete materials or a model for the integrated STEAM education claims a comparative analysis of math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hich emphasizes mathematical relation and utilization of technical mea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today's textbooks are to be related with other subjects and real life. Therefore this study set up following questions. 1. In certified math textbooks for middle school freshmen, are there any patterns if we classify them with regard to Fogarty's five integrated curriculum patterns? 2. Is the integrated materials sorted by the above question related any subject matter? For these questions, after investigating precedent studies for STEAM education with mathematical relation and definition, pattern, and necessity of integrated curriculum, this study has done a comparative analysis on 27 publishers' certified textbooks and workbooks for middle school's freshmen from the viewpoint how the introduction and ending parts of each unit are related to any other subject matter. This study analyzes integration pattern on the basis of Fogarty's five patterns.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analysis based on Fogarty's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models shows that 'sequenced model' is most frequent, followed by 'shared', 'threaded', and 'webbed' model. The 'integrated model'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can't be found in any books.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higher integration level is, the less the examples are. The reason is that interdisciplinary lesson is not being done despite the emphasis of utilization of technical tools and cases in real life. Secondly, the analysis of interdisciplinary subjects shows that engineering & technology is most frequent, followed by culture & arts,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 studies. Mainly only a subject is linked with mathematics. It is hard to find the integrated materials over three disciplines except in 'webbed model'. It is because 'webbed model' itself is the one which integrated several subjects with math. Thirdly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integration model and subject or sphere shows that 'sequenced model' is most frequent in natural science, 'shared model' in engineering & technology, 'webbed model' in natural science, 'threaded model' in culture & arts. This analysis suggest further study as following. First of all, the study of not only middle school's textbooks but also high school's ones and comparative analysis is to be done. Secondly, objective criteria for integration level should be set up. The criteria for integration scope considering interdisciplinary relation is required because class design vary along the degree of integration in integrated education. Moreover a specific suggestion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Thirdly, not only the discussion about integrated class design but also the developing detailed textbooks for integrated class are urgently needed. The framework about how integrated textbooks are to be written on the basis of any model should be arranged. Fourth, full-scale attempts to integrate class are needed besides STEAM program of activity-oriented curriculum. Most of curriculum is limited to technical engineering activities because STEAM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from engineering subjects. Finally, student's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urse of integrated class and the type of false notion are to be analyzed. The research is required whether the more subjects are blended in, the higher integration level is, the more effective students' learning is or not.

      • 나노 프로브를 이용한 나노 구조 제작

        박형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fabricated nanostructures of various shapes by nanoprobe which was covered with organic molecules, ODT (1-octadecanethiol), HDT (1.6-hexanedithiol), and MHA (16-mercaptohexadecanoic acid). This method (Dip-Pen Nanolithography) that allows the chemistry to be controlled on the 1-100 nm length scale is a fundamental and exciting challenge on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because it opens new possibilities in fields ranging from molecular electronics to catalysis. In this study, we did three works with using this method. First, controlled patterning of hexanedithiol was formed on Au surface using a direct patterning with SPM (Scanning Probe Microcope). A pattern of nanoparticles was fabricated using the ends of hexanedithiol molecules in which one makes a stable chemical bond onto Au nanoparticle whereas the other end does onto the substrate. Second, we did the generation of multicomponent nanostructures by DPN and show that chemically pristine patterns of multiple different materials can be generated with near perfect alignment and 100 nm separation. Finally, arbitrary molecular patterns defined by the DPN were used as a mask against a series of chemical etching to produce various nanostructures on a solid surface. Line-width of thus generated nanostructure was about a few tens of nanometers, which was strongly dependent upon the DPN parameters like molecular weight of the mask molecule, writing velocity, and the number of repetition, while the humidity and temperature during the DPN only had a minor effect. By this method, gold and silicon nanowires with a line-width of around 20 nm were readily formed on semiconducting or insulating surfaces, which should be useful in generating nano-scaled transistors and sensors.

      • 생체 내 형광 분자영상에서 잡음제거를 통한 영상대조도 향상기법 개발

        박형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발광영상에 비해 형광영상은 상대적으로 대조도가 낮지만 가시광영역에서 쉽게 관찰 할 수 있는 특징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광을 조직, 세포, 생체물질에 조사할 때 발생하는 자연형광인 자가형광은 형광영상 획득에 가장 큰 잡음요소이다. 그리고 검출기의 고유잡음 등 하드웨어 잡음도 대조도와 분해능에 영향을 주어 형광 신호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생체 내 형광영상을 획득할 때 대조도가 높은 고품질의 형광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형광신호와 잡음을 분리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대상 및 방법: 형광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형광영상장비(animal fluorescence imaging system, AFIS)를 사용하였다. 잡음제거를 위하여 광원과 필터의 파장을 다르게 획득하는 하드웨어적인 방법과, 형광영상신호와 잡음을 주성분분석방법으로 분리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광원과 필터를 이용한 방법은 453 nm 파장대역의 광원과 365 nm 파장대역의 광원을 사용하였으며, 525 nm 필터를 이용하여 광원에 따른 형광성분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525 nm 필터를 사용했을 때의 형광영상에서 더 낮은 파장대역의 필터를 사용한 형광신호를 획득하여 잡음을 비교 분리하였다. 주성분분석방법을 이용한 형광신호 분석은 노출시간과 광원의 세기를 달리한 연속획득 영상으로부터 분석하였다. 제안한 잡음제거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박테리아 실험으로 S. typhimurium ppGpp 박테리아를 6.5배 확대한 형광영상을 사용 하였다. 그리고 동물 실험에서 피하조직의 형광영상으로부터 잡음분리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광원과 필터를 이용한 방법은 전후 대조도 차이가 다소 낮았으나,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한 잡음제거 기법에서는 잡음영역의 값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한 잡음제거 방법은 광원의 세기와 노출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연속 획득한 8개의 영상에서 잡음분리결과와 2개 영상에서의 잡음분리결과가 차이가 없었다. 고유영상을 획득 후 보정 한 평균포톤의 값은 약 ±5.4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나, 배경신호의 감소로 전반적으로 대조도가 높은 형광영상을 획득하였다. 결론: 제안한 잡음제거 기법을 통하여 형광영상의 대조도가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형광신호의 잡음 제거 알고리즘 개발의 기본 틀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잡음제거 기법에 대한 형광영상 시스템 적용연구를 통해 향후 형광영상 분석에 대한 신뢰성과 최적화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소동물 분자영상연구에서 신약개발이나 질병 진단, 혹은 추적물질의 이동경로를 파악하는데 효율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방위산업체 중소기업의 성장요인에 관한 연구 : 환경, 전략, 기술력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박형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 주도 하 추진된 방위산업 육성정책으로 방위산업체들은 양적&#8228;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방위산업체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에 비해 적은 매출액 및 낮은 가동률 등으로 인해 취약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환경, 전략, 기술력 측면에서 방위산업체 중소기업의 성장요인을 도출하고자 했다. 3개 업체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3가지의 성장요인을 도출했다. 첫째는 방위산업의 환경특성으로 인한 안정성 확보이다. 역동성과 적대성이 낮은 방위산업부문 환경은 수요 예측가능성을 높여주고 지속적인 수요창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정성을 제공했다. 이는 민수부문 진출 및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위험부담을 감소시켜, 기술력 향상 및 매출증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는 높은 기술력이다. 방위산업부문의 수요는 군(軍)의 요구성능 충족을 전제로 하며,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은 방위산업부문의 경쟁력을 지속&#8228;강화시킴은 물론 향후 기술력 향상의 토대가 되었다. 셋째는 민수부문으로의 확장이다. 민수부문 비율이 높은 업체는 방위산업부문의 생산량이 적은 시기에 민수부문에 집중함으로써 가동률을 높임은 물론 매출규모도 신장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