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클리닉으로서 윤리상담에 관한 일 고찰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8

        청소년기는 인성형성의 중요한 시기이다. 인성교육의 중핵교과로서 도덕과의 내실 있는 교육은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형성을 위해 특히 요구된다. 도덕과 교사가 학생들의 인성형성에 기여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충실한 도덕과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도덕과 교사들의 수업 시간 내의 역할과 더불어 수업 시간 외의 역할도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도덕과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는 학생들의 인성이 어떻게 형성되며 각각의 발달 단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해 인식하고 학생들과 신뢰 속에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도덕과 교육에서 교사가 상담자로서의 역할도 함께 담당할 것을 요청한다고 할 수 있다. 한정된 도덕과 수업시간과 공간을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인 도덕과 교육을 일구어내기 위해서는 도덕과 교사가 학생들을 만나는 모든 순간과 모든 장소가 곧 도덕 수업의 연장선일 수 있어야 한다. 윤리상담에서 도덕과 교사는 학생들 개개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첫째, 도덕적 사고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이다. 둘째, 학생들의 인성발달 상황에 대한 인지자와 발달촉진자로서의 역할이다. 셋째, 학생과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이다. 넷째, 학생들이 삶의 구체적인 맥락에서 삶의 목적과 가치의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대화를 할 것이 요구된다. 궁극적으로 마음치료자, 도덕적 인격 형성 촉진자로서의 도덕교사의 역할을 통해 윤리클리닉으로서의 윤리상담을 제안하고자 한다.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in personality development. Fruitful moral education is particularly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upright character as a core curriculum of personality education. To contribute to personality development of students and provide them for the more systematic and substantial moral curriculum, it must be significantly discussed about the role of moral education teachers during not only class but non-class times.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recognize how to build the personality of students, and communicate empathically with students under mutual trust. This is also a calling for counselor role of moral education teacher. To surmount the limited conditions of moral class and cultivate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extend their boundaries in every area wherever or whenever they are. Moral education teachers can suggest individual student for the follwings: (1) the role as facilitator, (2) the role as assistant of each development process of each students, (3) the role as a teacher who can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students, (4) the necessity for effective conversation ability about the issues of the meaning, the purpose, and the value from students`` life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ethics consultation should play a part as a ethics clinic through the study of the moral education teachers`` role as a mind therapist and the ethics consultation.

      • KCI등재

        문화코호트로서 탈북학생 민주시 민교육을 위한 윤리컨설팅 프로그램 모듈 개발 기초 연구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3

        탈북학생들의 성장을 위한 지원이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들이 개인정체성, 국가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면서 한국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사회통합 노력이 필요하다. 그들의 과거 교육 경험에서 누락되었던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고려가 요청된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 차원에서 탈북학생의 민주시민교육을 돕기 위한 개별 적 맞춤형 접근을 위한 방안으로 윤리컨설팅 프로그램 모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그들에게 이미 내재되어 있는 집단주의, 사회주의 사상 및 가치관뿐만 아니라 가치관의 부재 및 혼란, 탈북경험에 의한 스트레스 등의 문제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민주시민의 가치를 탈북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탈북학생들은 남한 사회 적응교육에서 자유, 민주, 권리 등과 같은 가치의 문제를 다루는 도덕윤리교육을 필요로 한다. 문화이주민으로서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한 상담은 심리적 안정 활동에서 발전된 형태인 윤리컨설팅이다. 북한 출생 탈북학생을 대상으로 한 윤리컨설팅은 민주시민교육으로서 다음과 같은 점을 지향할 수 있다. 첫째, 자유, 책임, 정의와 같은 자유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를 다룬다. 둘째, 자아정체성 형성을 추구한다. 셋째, 탈북학생과 남한학생들 과의 상호소통과 협동의 장을 마련한다. 넷째, 탈북학생들이 남한의 가치문화를 습득할 수 있는 활동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생활문화적 접근 지향으로 맥락형의 주제와 제재를 취급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문제에 천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회기별 진행 모듈로 1회기의 사전준비 소개 활동, 2회기의 도덕딜레마 활동, 3회기의 도덕역할극 활용, 4회기의 자유질문지 활용 자유인터뷰, 5회기의 협업 프로젝트 활동을 제안할 수 있다. Support for the growth of North Korean defectors needs to be to allow them to become members of Korean society while forming and maintaining individual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Especially in the case of national identity, it is necessary to live as a citizen of South Korean society. The research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an ethics consulting program as a way to provide a customized approach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s develop national ident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Ethical consulting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of North Korean defectors requires not only collectivism, socialist ideas and values already in them, but also problems such as lack of values and confusion, and stress from defection experiences. In addition,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acquire the values of democratic citizens that South Korean youths have naturally acquired through school education during their school years. In this regard, North Korean defectors need moral and ethical education to deal with issues of value such as freedom, democracy, and rights in South Korea's social adaptation education. Counsel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go from counseling activities aimed only at psychological stability to counseling activities that include moral values. Ethical counsel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is an ethical consulting that describes South Korea's values and needs to be directed at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program module deals with the core values of liberal democracy, such as freedom, responsibility, and choice. Second, it seeks to form self-identity. Third, it will set up a forum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students so that they can play a role in social integration. Fourth,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acquire the value culture of the South. Finally, by dealing with contextual topics and sanctions with a lifestyle approach orientation,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adhere to the problems of one's own life. Social integration efforts are also needed Each session of the module for Ethical Consulting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s divided into five parts: preliminary preparation for the first session, moral dilemma for the second session, moral role play for the third session, and free interview for the fourth session. It is possible to suggest the implementation of five sessions of collaborative projects.

      • KCI등재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박형빈 ( Park Hyoung-b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복잡계 이론은 새로운 사회 인식의 틀로서 완전한 질서와 무질서를 보이지 않고 수많은 요소들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특징들을 통칭한다. 복잡계에서는 개별구성요소들의 속성보다 구성요소들의 상호작용에 더 관심을 갖는다. 도덕교육에서 복잡계에 주목하는 이유는 인격의 특성과 도덕적 행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창발, 되먹임구조, 자기조직화, 비선형, 카오스, 지향성, 관계지향 등의 복잡계적 속성을 갖기 때문이다.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주체들 간의 관계와 소통이 복잡하게 어우러진 현상이다. 복잡계로서의 인격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도덕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첫째, 도덕수업에서 학생변인 특성, 맥락 특성 등을 고려하기 위한 학생 진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으로의 변화이다. 둘째, 인격은 하나의 고정된 실체나 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그러나 나름의 지향성을 갖는 일종의 경향성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는 인식의 변화이다. 셋째, 보편 처방으로서의 도덕교육뿐만 아니라 학생 개인 특성에 적합한 개별 처방으로서의 도덕교육이 동시에 필요하다는 인식으로의 변화이다. 넷째, 도덕 수업에서 거대 담론이 다루어져야 함과 마찬가지로 학생 개개인의 일상 담론이 다루어져야함에 대한 인식으로의 변화이다. 다섯째, 복잡계로서의 도덕 수업은 학생변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창발 현상의 발생과 학생 개인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창발 현상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학의 기반위에 교육학, 철학, 사회학, 심리학, 뇌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 인지과학 등을 종합하는 융합학문으로서의 도덕교육학으로의 변화이다. Complexity theory is the new cognitive framework of society. It is known collectively as the complexities of numerous components` interaction, not showing perfect orderliness or disorderliness. The reason noticed on moral education is that the process of human or moral behavior has the complexity. Human thinking and behavior is a complex phenomenon harmonized with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among participants. Complexity theory deems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mponents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 properties. The direction of paradigm change based on understanding moral behavior with complexity system could be proposed as follows. (1) It is needed to change the direction to the importance of diagnostic assessment to consider for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xt of student`s variable of moral education. (2) There has to be a change of attitude toward the character which exists as areas of life changed under circumstances, not fixed substance or a dot. (3) It is required to change attitude simultaneously toward individually prescribed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4) As moral education should cover with macroscopic discourse, it should treat with everyday discourse of each student. (5) There needs to be a recognition of emergence phenomena through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variables and interaction within oneself. (6) Mor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a convergence discipline to synthesize pedagogy, philosophy, psychology, neuroscience, psychiatry, and so on, based on ethics.

      • KCI등재

        도덕성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3 초등도덕교육 Vol.0 No.43

        오늘날 도덕, 도덕성, 가치 등은 윤리학, 철학의 전유물이 아닌 신경과학, 신경윤리학, 신경철학 등의 주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 행동과 의식, 본성, 심적 작용에 대한 통섭적 연구들에 대한 깊은 숙고 없이 도덕교육은 가능하지 않은 듯 보인다. 그러나 현재의 뇌신경과학은 인간의 심적 작용과 행동에 대한 원인과 결과를 온전하게 설명해 낼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한 것이 아니다. 감각질의 존재, 두뇌 현상에 대한 일인칭적 시점과 삼인칭적 시점의 차이, 현상과 설명 사이의 간극의 존재 등은 아직까지 신경과학과 심리철학의 논의에서 완전한 합일점을 찾지 못한 과제로 남아있다. 뇌 영상 촬영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러한 뇌의 작용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신의 신경과학적 논의에 대한 맹신, 확대 재생산, 혹은 거부와 비난보다는 이것이 인문학적 사고의 주제들에 주는 진정한 함의를 보다 냉철하게 숙고해야 한다. 신경과학은 지난 세기 동안 상당한 경험 연구의 성과물들을 내놓았다. 인간의 심적 작용과 도덕성의 근원에 대한 보다 분석적인 해명이 제안되었다. 처칠랜드는 인간의 도덕적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도덕성의 인자로서 옥시토신을 제시한다. 뇌과학의 최근 논의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다. 첫째, 도덕 판단의 상황에 따라 두뇌의 작동영역이 다르다. 둘째, 도덕적 자율성 강화는 도덕적 동기를 강화하게 한다. 셋째, 감정적인 상황을 의식적으로 직시하는 노력은 전두엽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1. 학생들의 도덕적 정서 자극과 두뇌 발달 고려 : (1) 이론식 수업의 보완 - 프로그램 중심의 체험 활동 수업, (2) 도덕적 두뇌 형성을 위한 반복적 연습의 필요성 인지, 2. 도덕적 내적 동기의 강화 : (1) 학생들의 전두엽 발달에 대한 관심, (2) 학생들의 내적 동기의 발현 유도, 3. 지필 위주의 평가 지양과 정신적 가학의 위해성 인식: (1) 맥락을 고려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평가 방안 모색, (2) 정신적 학대의 폭력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유대감 형성을 위한 노력 그리고 도덕성에 있어서의 남녀성차에 대한 고려이다. 기존의 합리성과 같은 이성의 작용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도덕적 판단은 뇌신경과학적 차원에서 새롭게 이해되어 도덕교육 현장에 재구성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도덕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에 더하여 과학적, 합리적 근거 지움이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The recent study of neuroscience suggests the followings: (1) Feelings, intuition. and the subconscious do important work in moral judgment. The acts of orbitofrontal cortex. which makes feeling connected with decision-making processes. playa major role in human choice. The reason presents a variety of alternatives. and the feeling helps us get a choice of them. (2) The source of feeling is (the acts of) dopamine. It exerts significant influence to moral capacity. The important point of it is that it requires some training. (3) Feeling and reason have both pros and cons in making a decision. The right decision demands different recognition strategies on the situation. Training or practice is also important for right recognition strategy, Moral education can borrow usefully from accumulated and related knowledge on brain development and function of neuroscientific research: first. the active areas of brain are different in each situation: second. strengthening moral autonomy reinforces moral motivation: third. the brain`s frontal lobe is activated by the efforts of facing the emotional situation consciously. Based on these, the implication for moral education can be suggested as below: 1. the consideration for students` emotional stimulation and brain development. 2. the reinforcing moral intrinsic motivation. 3. the sublating evaluation mainly with written exams and the recognition for the injury of psychological maltreatment. Existing moral judgement has depended entirely on reason`s activity. But the moral judgement should be understood on a neuroscientific basis: it should be restructured and applied to moral education in school by standing on the basis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motion and intuition.

      • KCI등재

        뇌신경과학과 Adler 단기치료(ABT) 기반의 상담 심리치료 프로그램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교사는 학교 안에서 학생들의 인격 형성에 있어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지위를 차지한다. 도덕과의 목표를 온전히 달성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게 논의될 필요가있다. 인간의 심리적 역동성을 지향하며 상담과 심리치료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아들러의 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들러는 인간의 의식이 지닌 힘, 자유의지, 선택을 중요하게 여긴다. 개인심리학은 인간이 환경을 주관적으로 파악하고 주관적 믿음에 따라행동하며 창조적 힘을 가진 존재로 본다. 자아는 열등에 대한 보상과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상정하며 사회적 관심을 강조한다. 아들러학파 단기치료기법(ABT)은 내담자의 인식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줌으로써 생겨나는 동기의 수정을 포함한다. 한편, 최근의 뇌신경과학 연구 성과들은 아들러의 열등감으로 인한 정신병리 발생, 결정적 시기의 뇌의 기억과 정서의 변화 가능성, 상담활동에서 치료자의 내담자에 대한 공감 형성의 중요성 등에 의미 있는 과학적 해명을 내놓고 있다. 즉, 초기 사회경험의 뇌 구조의 변화 가능성, 스트레스로 인한 뇌의 코르티솔의 증가와 해마 및 전두엽 기능의 저하, 뇌신경 가소성, 거울 신경세포계의 활성화 등이다. 따라서 뇌신경과학과 아들러 단기치료를 기반으로 한 상담 프로그램 전략은 첫째, 학생들의 상황에 대한 진단 방법으로 심리학적 상담 방법과 뇌신경과학 측면에서의 진단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상태진단에 있어 문제 상황이 물리적 뇌의 이상의 문제인가 또는 심리적 기능의 저하 문제인가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 셋째, 공감, 사회관심, 공동체 의식, 내담자에 대한 심리적 지지 등이 중요한 핵심 개념으로 상담 활동에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1)사전 준비, 2)관계형성, 3)탐색, 4)자기이해 및 통찰, 5)재교육, 6)재정립, 7)면담정리의 상담프로그램 영역을 제안할 수 있다. 교사는 뇌신 경과학과 아들러의 단기치료 기법을 활용한 상담프로그램을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적용하여 학생 상담심리치료에 적극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eachers hold an important place to have an influence on developing students`` character in a school. To achieve the goals for moral education soundly, there is, above all, a need to discuss the role of the teache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Adler``s theory to pursue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humans and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Adler puts a premium on the power of human consciousness, free will, and choice. Individual psychology sees humans as beings to understand their environment subjectively, to act out of subjective belief, and to have creativity. It assumes that the self has a tendency to compensate for and perfect inferiority. It puts emphasis on social interest. Adlerian Brief Therapy(ABT) includes the modification of motives which is built by leading client``s cognition to a new direction. Meanwhile, the results of neuroscience proffer scientific explanations of the inferiority complex-based psychopathology of Adler, the potential for change of the brain``s memory and emotion system in the critical period, the importance of forming the therapist``s empathy for a client in counseling activites, and so on: the possibility of brain structural change by early social experience, the increase of cortisol in the brain and the hypofunction of frontal lobe and hippocampus induced stress, neuroplasticity, theactivation of mirror neuron system, and others. Thus, first, the strategy of the counseling psychotherapy program based on neuroscience and adlerian brief therapy (ABT) can use both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neuroscientific metho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brain abnormalities or mental malfunction in diagnosis of students`` condition. Third, empathy, social interest, community spirit, psychological support, and others should hold an important core concepts. Based on the strategy, it can be suggested as follows: 1) advance preparation, 2) relationship building, 3) exploration, 4) self-understanding and self-insight, 5) reeducation, 6) reestablishment, 7) finish. Teachers can take advantage of the counseling psychotherapy program based on neuroscience and adlerian brief therapy (ABT) flexibly for the counseling psychotherapy of students,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 KCI등재

        교과교육학 :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1

        최근 다문화의 논지 안에서 민족주의는 다문화주의와 대치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민족통일을 배제한 채 통일의 당위성을 실용주의적인 측면에서만 논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민족통일에 대한 염원은 통일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갖게 하는 동력으로서 작용한다. 북한 이탈 주민들은 다른 다문화 주체들과 민족 정체성의 부분에서 차이가 있다. 통일교육에서 그 어떤 용어의 형태를 차용하더라도 민족주의의 개념을 배제하고서 통일의 당위성을 논하기 어렵다. 다문화의 사조 속에서 통일의 당위성의 주된 논거인 민족통일의 개념이 희석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통일교육에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각각이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인정하며 이 둘이 상호 모순 없이 만날 수 있는 접점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통일 시대의 통일교육에서 다문화 구성 주체를 북한 이탈주민 그룹과 이주민 그룹 등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에 적합한 민족 정체성 교육과 국민 정체성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에서 이주민들에게는 시민 민족주의, 국가 민족주의로서의 민족 정체성 교육 즉, 국가와 시민 정체성으로서의 민족 정체성 교육을 제공하고, 남북한 주민과 한민족 디아스포라들에게는 주로 종족에 기반한 민족 정체성 교육 즉, 동일한 역사, 인종, 문화, 상징과 신화 등을 공유함으로써 형성되는 민족 정체성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통일과 다문화 시대에 우리가 추구해야 할 다문화주의의 지향점이며 민족주의이다. 이를 한국식 다문화주의, 발전된 시민권적 다문화주의 그리고 변용된 구성주의적 민족주의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통일교육에서 건전한 민족주의의 기반 아래 민족 정체성 교육과 국민 정체성 교육이 적절히 제시될 때 통일에 대한 의지와 신념을 혼란 없이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is confronting each other in the debate on multiculture. It is, however, debatable whether the appropriateness of Korea`s reunification is discussed in terms of pragmatism without national reunification. The wish for national unification works as an engine for the strong belief of the reunification. North Korean defectors have clear differences of ethnic identity, compared with other multicultural bodies. It is very difficult to discu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unification, even though any form of term is borrowed, without the concept of nationalism. The concept of national unification, which is the main argument of the justification of reunification, should not be diluted in the midst of the trend of multiculture. It is needed to recogniz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which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have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to seek the noncontradictory contact point between two. To achieve this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era of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ism, following assorting members of forming multicultural society into some kinds of groups; North Korea defectors, immigrants, and so on, it should provide education of either ethnic identity or national identity to each group. Ethnic or national identity education should be as follows in unification education of multicultural age: (1) immigrants should have the education for national identity as civic and state nationalism that is the identity of citizen and state; (2) the South and North Koreans and Korean diasporas should have the education for national identity based on ethnic roots that is formed by sharing the same history, race, culture, symbol, and myth. This is the aim of multiculturalism and nationalism which we should be pursuing in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ism age. This can be called as Korean multiculturalism, advanced citizenship multiculturalism, transformational constructive nationalism, or Korean nationalism. When the education of national and regional identity is provided on the wholesome nationalism basis i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will and belief of reunification can be derived without confusion.

      • KCI등재후보

        언어분석과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관한 연구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인간은 언어라는 도구를 통해 사고하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와 판단을 토대로 행동한다. 이러한 점에서 언어는 인간 삶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도덕이라는 삶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은 언어라는 매개를 통해 도덕적 문제 사태를 인식하고, 도덕적 판단을 내리며 행동한다. 도덕규범 또한 학생들에게 언어로서 전달되고, 언어로서 그들의 두뇌 깊숙이 자리 잡게 된다. 도덕적 논의에서 언어의 문제에 대해 깊이 논의한 학자로 우리는 헤어와 윌슨을 들 수 있다. 언어분석철학자로서 오스틴은 수행문이란 개념을 통해 행동하는 언어에 대해 논한다. 헤어는 오스틴의 의미론을 수용하여 ``보편적 처방주의``로 대변되는 도덕언어가 지닌 특성을 제시한다. 헤어에 있어, 도덕언어는 자기 자신에 대한 명령이며 구속의 역할을 한다. 윌슨은 헤어의 ``보편적 처방주의``를 기반으로 도덕성 요소를 통한 도덕적 사고하기를 제안한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 안에서 도덕판단은 자기 자신에 대한 하나의 명령으로 작용하는 실천적 기능을 갖는다. 동시에 도덕성 요소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절차와 방법으로서 하나의 ``방법론``이 된다. 결국, 오스틴의 수행론에서 나타난 수행발화의 의미, 헤어의 처방성,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모두 도덕판단 안에 이미 도덕적 행위를 위한 도덕적 동기가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에게 있어 도덕판단은 궁극적으로 발언자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실천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언어가 주된 매개체로 작용하는 도덕교육 현장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동시에 도덕판단이 도덕적 실천을 담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로써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룬다는 점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Humans think and make a decision through language. And their behaviors are based by this kind of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On this score, Language set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area of the moral life. J. L. Austin discusses the active language through the concept of the performative sentence. R. M. Hare accepts Austin`s semantics, and presents the attribute of moral language called ``universal prescriptivism``. In his viewpoint, moral language plays a role as the command and restraint to him or herself. J. Wilson suggests ``moral thinking`` through ``moral components`` which have their roots in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In J. Wilson`s moral components, moral decision gets practical function to do its works a kind of order to him or herself. At the same time, it becomes methodology as a series of process and method to solve a problem. J. Wilson takes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affected by J. L. Austin`s philosophy of language; he develops this once more in terms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In the end, the meaning of performative utterances in J. L. Austin`s speech act theory, R. M. Hare`s prescriptivity, and J. Wilson`s moral components, all of them, show us that the moral motive for moral behavior is already inherent in moral judgment. According to their opinions, moral judgment ultimately helps utterer to practice morally. So J. Wilson`s moral elements indicate not only the meaning as methodology about the moral education field in which language primarily serves as a medium but the possibility that moral judgment can be a guarantee of moral practice. From this, there are significant points that moral components deal with the cognitive, definitive, behavioral side of morality in a unitive manner, and that make sure of the justice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행복에 대한 신경심리학적 해명의 도덕교육적 함의

        박형빈(Park Hyoung 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현대 긍정심리학에 이르기까지 웰빙, 행복은 쾌락주의(hedonia)와 행복주의(eudaimonia)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이해된다. 행복, 웰빙의 신경기저는 즐거움(pleasure), 기쁨(joy) 같은 감정의 작용에서 찾을 수 있다. 즐거움의 경험 예를 들면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 향기로운 냄새를 맡는 것, 음악 듣기, 사랑하는 사람을 보는 것 등은 각기 독특하고 서로 다른 것처럼 보이지만, 뇌신경 측면에서 즐겁다는 공통의 신경심리적 특성을 갖는다. 이들의 신경기저는 측좌핵(NAc), 뇌기저신경절(VP), 편도체(amygdala), 선조체(striatum) 등과 관련 있다. 친밀감 역시 행복과 관련이 있다. 친밀한 인간관계는 도파민, 옥시토신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게 하여 우리에게 행복감을 준다. 신경심리학에서의 행복 이해가 갖는 도덕교육의 함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교육을 통해 도덕의 추구가 개인에게 행복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쾌락주의(hedonia) 행복만이 아닌 궁극적으로 행복주의(eudaimonia) 행복을 추구하도록 한다. 셋째, 도덕적 삶, 도덕적 사고, 도덕적 행위 등은 뇌신경학적으로 학생들에게 행복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이는 즐거움과 참여를 통해 가능하다. 넷째, 사회적 즐거움은 기본적인 감각 즐거움만큼 즐겁다. 다섯째, 감각쾌락, 사회적 쾌락, 고차원적 즐거움이 있으며 고차원적 쾌락은 주로 학습에 의존한다. 여섯째, 사람을 사랑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신뢰, 결속과 같은 도덕적 정서와 관련된 정서를 북돋게 할뿐만 아니라 뇌신경 작용을 통해 실제로 학생들에게 행복감을 준다. 결론적으로 도덕교육은 학생들에게 만족, 보람, 즐거움, 행복감을 주고 이들을 행복한 삶으로 인도할 수 있다. From Aristotle to modern positive psychology, well-being or happiness is understood to be composed of two elements, hedonia and eudaimonia. The nervous base of happiness and well-being can be found in the actions of emotions such as pleasure and joy. Experiences of pleasure, for example eating delicious food, taking a fragrant smell, listening to music and seeing loved ones, seem to be unique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y have a common neuropsychological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pleasure in terms of cranial nerves. Their nerve bases are related to the lateral nucleus (NAc), the basal ganglia (VP), amygdala, striatum, and the like. Intimacy also has to do with happiness. Intimate relationships lead to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such as dopamine and oxytocin, which give us happiness. The implications of moral educ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happiness in neuropsychology are as follows. First, in moral education, the pursuit of morality allows individuals to feel happiness. Second, in moral education, teachers lead not only to hedonism happiness but ultimately to eudaimonia happiness. Third, moral life, moral thinking, and moral behavior can make students happy by neuroscience. This is possible through pleasure and participation. Fourth, social enjoyment is as good as basic sense pleasure. Fifth, there are sensual pleasures, social pleasure, high level enjoyment, and high level pleasure. In particular, high level pleasure depends mainly on learning. Sixth, loving people not only encourages students to feel emotions related to moral emotions such as trust and solidarity, but also gives students happiness through cranial nerves. In conclusion, moral education can bring satisfaction, reward, joy and happiness to students and lead them to a happy life.

      • KCI등재

        도덕성 성차 논의의 도덕교육적 함의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도덕적 태도의 구조에 대한 연구는 여성과 남성의 경향이 다름을 보인다. 여성은 보살핌에 기초한 도덕적 평가를 남성은 정의에 기반 한 도덕적 평가를 한다. 이는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에 대한 지향성 연구를 통해 논의된 바 있다. 도덕성에 있어 성차의 존재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표명하는 연구들이 있는 한편, 최근 이러한 경향이 남녀의 뇌 영역에서의 작용의 차이임을 입증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제기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옥시토신이 도덕적 성향의 근원 즉 도덕적 행동의 기저가 된다고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인간의 폭력성은 유전학적으로 타고난다는 주장이다. MAOA 유전자의 움직임에 따라 감정 폭발이 제어되지 않아 각종 폭력이 행사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남성에게 더욱 두드러진다는 것이 연구자들의 견해이다. 콜버그와 길리건의 견해를 뇌신경과학적 측면에서 상기해 볼 때 나아가 처칠랜드와 잭의 옥시토신에 대한 제안과 신경과학자들의 연구들을 되새겨볼 때,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논리적, 추상적인 두뇌의 영역이 발달한 반면,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관계적인 두뇌 영역이 더 발달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일련의 연구들은 뇌신경과학적 측면에서 도덕성에 있어서의 남녀 차이의 존재 가능성을 이야기하며 도덕교육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다름을 고려한 교육을 숙고하게 한다. 결국, 도덕성에 있어 남녀의 성차가 존재 한다면 도덕교육에서 보다 전문화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남녀 차이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이며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moral attitudes shows that the tendency of women`s and men`s is different. While women`s moral evaluation is based on consideration, men`s is built on justice. This is also discussed in the study on directivity for morality of Kohlberg and Gilligan. The recent research proves that this tendency is due to the difference of brain activity. Neuroscientists say that oxytocin provides a foundation for moral behavior, or a root of moral tendency. Meanwhile, there are also arguments that human being`s violence is innate genetically. They explain that people commit aggressive behavior because of their uncontrolled emotional outburst dictated by the activity of the low-activity form of MAOA(MAOA-L) which has a slightly shorter than usual promoter - the region that controls the gene`s activity. They agre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variation in MAOA and aggression is more accentuated for male. Gender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discreetly in school moral education because the difference exists like this. While female students should be drilled to take a more objective view of the problem, male students need to receiv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put themselves in another`s place and empathize other`s emotions. It should be needed to devise moral education plan more specialized and considered for gender difference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사회신경과학에서의 사회적 고통 및 도덕성에 대한 이해와 도덕교육

        박형빈(Park Hyoung B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근래 뇌 과학 연구들은 인간의 뇌가 사회적 기관이라는 인식으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사회신경과학은 뇌신경과학의 시각 안에서 사회적 동물로서의 인간 삶을 규명하고자 하며 사 회적 뇌를 인간발달의 핵심으로 파악한다. 사회적 관계의 결핍 즉 사회적 거부와 사회적 상 실로 인한 사회적 고통은 실제 고통을 느끼게 만든다. 사회적 고통과 관련된 뇌의 영역 즉 전대상피질, 전측 섬엽 등의 영역은 도덕성 및 도덕성 발달과도 밀접하다. 뇌의 상태에서 볼 때 도덕성 발달에 있어 교육환경을 포함한 사회적 환경은 중요하게 작용한다. 뇌신경과학, 신경생물학, 교육학, 철학, 윤리학 등 학문들 간의 상호참조는 도덕교육의 방법 론을 논함에 있어 무엇을 고려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유의미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사회 신경과학의 논의에서 다음과 같은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환대는 온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시작이 된다. 둘째, 도덕성 발달의 출발은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이다. 이것 이 점차 가족, 친족 그리고 자기 삶의 테두리 밖의 누군가로 도덕 범위의 확대가 일어난다. 셋째, 사회적 외상은 도덕성 발달에 큰 영향을 주기에 이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 상실, 사회적 거부 등으로 야기된 사회적 고통은 신체적 고통 이상의 것을 유발하며 도덕성 형성 및 발달에 영향을 준다. 다섯째, 대인관계의 장애는 뇌의 상태와 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섯째, 사회적 자각, 사회적 고통, 타인의 마음 읽기, 감정이입 등과 관련된 뇌 부위는 이성적 추론을 하는 뇌 부위와 다소 다르다. Recently neuroscience researches are changing to the social neuroscientific perspective, which recognizes a human brain as a social organ. Social Neuroscience is trying to find human lives as social animals in a neuroscientific perspective, and understands that the social brain is a core of human development. Human sociality is due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brain which is socially structured. Brain Areas such as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Anterio Insula which are the part of the brain related to empathy to cause moral behavior are closely connected with morality and moral development. There is our brain in the center of underlying causes of social behaviors such as caring, consideration, empathy, and so on. Social environmen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r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brain states. The social neuroscientific perspective suggests the considerations of mo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moral education must consider human beings within the relationship. Second, social rejection, exclusion, and loss cause social pain and physical, mental and moral deficiency. Third, The brain region related to social pain is somewhat different from it of raional reasoning. Fourth, compassionate hospitality and formation of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an be the start of mo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