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결합 적응형 어레이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인터넷 시스템 구조 제안 및 성능분석

        박현화,김정호,Park, Hyun-Hwa,Kim, Jeong-Ho 한국통신학회 2007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2 No.5A

        본 논문에서는 4세대 이동 통신의 핵심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WiBro) 시스템에 단말과 기지국에서 상호 결합하여 동작하는 결합 적응 어레이 안테나(joint adaptive may antenna)를 사용하는 WiBro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였다. 단말과 기지국에 적응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각 부반송파의 순시 (instantaneous) SINR이 증가하고 부반송파의 변화가 줄어들므로 시스템에서의 사용되는 전력도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기지국과 단말에서 최적 가중치(optimum weight) 계산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시스템에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계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부반송파를 그룹화하여 응집 대역폭(coherence bandwidth)내에 존재하는 부반송파에 대해서 동일한 가중치를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계산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응집 대역폭 내에 존재하는 부채널을 그룹화 하면 비록 수신 성능의 감쇠가 나타나지만 근소한 성능의 저하를 가져온다. 본 논문에서는 결합 적응적 어레이 안테나를 적용한 무선 인터넷 시스템의 성능을 타 시스템과 비교하여 단말과 기지국에서 상호 결합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은 전력 소비 감소, SINR 향상, 그리고 에러율 감소, 채널 변화 완화 등의 다양한 성능이 향상됨을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WiBro receiver structure employing joint adaptive antenna scheme at the base station (BS) and the mobile station (M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In WiBro system, the joint use of transmit beamforming at BS and receive beamforming at MS can improve the SINR significantly and increase the capac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ystem. Moreover, power allocation level can be decreased because channel variation can be reduced by using the jointly updated weight. However, it needsthe calculation of the antenna weights in every subcarrier for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could imply an enormous computational burden. However,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by using the same set of the antenna weights for the adjacent subcarriers instead of calculating antenna weights for every subcarrier. We have analyzed the impact of subcarrier grouping for weight calculation on the system performance.

      • KCI등재

        전남지역의 옥수수 및 콩 재배지에서 멀칭 종류별 잡초 발생과 개체간 생장차이에 의한 잡초 우점 양상

        박현화,김희권,국용인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mulching types affect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in 35 maize and soybean fields in Jeonnam province,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variation within the same species and dominant levels of weeds based on important values. In June and August of 2020, we determined that maize fields had 27 and 21 different weed species, respectively. In June, August, and September of 2020, we found 28, 33, and 31 different weed species in soybean fields, respectively. In maize and soybean fields, the rankings of the top six dominant species differed slightly by survey period and crop, but the kinds of weed species were similar. The ten most dominant species at all survey periods in both maize and soybean was Digitaria ciliaris>Acalypha australis>Eclipta prostrata >Chenopodium album>Amaranthus lividus >Abutilon theophrasti >Cyperus microiria >Echinochloa crus-galli >Bidens frondosa>Mollugo verticillata. Weed occurrence in maize fiel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egardless of mulching type. However, in soybean fields in June, August, and September, 28, 28 and 31 different species of weeds were detected in areas using non-mulching methods and 12, 18, and 20 species were detected in areas using black vinyl mulching methods, respectively. In both maize and soybean fields, the order of rankings of the top ten dominant species by mulching types was different, but the kinds of species were similar. In maize and soybean fields, it was determined that the variation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hoot fresh weight in weeds of the same species was greater in June than in August and September. In addition, most of the weeds with the greatest variation between minimum and maximum shoot fresh weight in both maize and soybean fields were the same weeds that were most dominant in terms of important values, although the order of ranking varied slightly. Thus, weeds with the greatest shoot fresh weight variation are likely to become dominant weeds due to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본 연구목적은 전남지역 35개 지역의 옥수수와 콩 밭을 대상으로 멀칭 종류별 잡초 발생 분포와 동일 초종내에 개체간 생장 차이 정도와 중요도 값에 기초한 잡초 우점도와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6월과 8월에 옥수수 재배지에 발생한 초종은 각각 27종과 21종이었고, 8월에 비해 6월에 피도가 높았다. 6월, 8월 및 9월에 콩 재배지에 발생한 초종은 각각 28, 33, 및 31종이었고, 6월에 비해 8월과 9월에 피도가 높았다.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 조사시기와 작물별로 상위 우점 6종의 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초종은 유사하였다. 옥수수와 콩 재배지의 전 조사시기에 공통적으로 발생한 상위10초종의 우점 순위는 바랭이>깨풀>한련초>명아주>개비름>어저귀>방동사니>돌피>미국가막사리>석류풀 순이었다. 옥수수 재배지에서 멀칭 종류별 잡초 발생수는 유사하였다. 그러나 6월, 8월 및 9월 콩재배지에서 잡초 발생수는 무멀칭과 흑색비닐멀칭에서 각각 28종과 12종, 28종과 18종 및 31종과 20종으로 차이를 보였다.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멀칭 종류별 상위 우점 10초종의 순위는 다르나, 초종은 유사하였다.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 동일 초종내에 개체간 생장 차이는 8월과 9월에 비해 6월에서 컸다. 또한 옥수수와 콩 재배지에서 동일 초종내 개체 간 생장 차이가 큰 잡초종 순위와 중요도 값에 의한 우점 순위는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주요 우점 초종의 종류는 유사하였다. 따라서 동일 잡초중 개체간에 생장 차이가 큰 초종들이 기후변화와 같은 요인들에 의해 우점 잡초로 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맥종별 주산지와 재배한계지 수집종자의 활력, 초기생장 및 이차화합물 차이

        박현화,국용인,Park, Hyung Hwa,Kuk, Yong In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맥종별 주산지 및 재배한계지에서 수집한 종자에 대한 종자활력과 이들 수집종에 대해 다른 온도조건(25, 13℃)하에서 발아율 및 생장과 저온 조건(13℃)하에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효율, 이차화합물(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컬 소거능력)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전기전도도 값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자간에는 전기전도도 값에 차이를 보여 종자활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5℃의 조건하에서 맥종별로 주산지와 재배한계지 수집종간에 발아율, 초장, 근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저온조건하에서도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출현율,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겉보리 수집종은 파종 후 5일째에 출현하였고, 맥주보리와 쌀귀리는 파종 후 7일에 출현하여 맥종별 차이를 보였다. 맥종에 상관없이 수집종간에 엽록소와 광합성의 효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컬 소거능력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맥주보리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강진>창원>해남=전주>나주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기후 변화에 따른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및 쌀귀리 등은 동일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종자활력 뿐만 아니라 생장 및 이차화합물의 함량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how changes in temperature affect germination rates and growth of hulled and dehulled barley, malting barley, and naked oat plants, and to measure ch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secondary compounds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lants grown at 13℃ or 25℃). Various types of barley seeds were collected from areas with ideal conditions for barley cultiv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A, and also from areas where barley cultivation is more difficult due to lower temperat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TA. Seeds were tested for seed vigor.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between seeds collected from certain specific a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between IA and LTA seeds,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seed. When plants were grown at 2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rates,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shoot fresh weight between plants originating from IA and LTA.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sured parameters of some specific seeds. Similarly, under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 of 13℃, no differences in the emergence rate, plant height, and shoot fresh weight were evident between plants originating from IA or LTA,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me specific seeds. One parameter that did vary significantly was the emergence date. Hulled barley and malting barley emerged 5 days after sowing, whereas naked oats emerged 7 days after sow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tic efficacy,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etween plants originating from IA and LTA,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me specific seeds. In particular, for malting barle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differed in the order of Gangjin > Changwon > Haenam = Jeonju > Naju. The results indicate that crop growth, yield and content of secondary compounds in various types of barley may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