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박현욱(주저자) ( Hyeon Wook Park ),신소나(주저자) ( So Na Sh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4 No.-

        21세기형 글로벌한 창의인재육성을 위해서는 디자인과 인문학, 사회학, 경영학, 공학등 전문분야에 관한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을 체화한 융합형 디자인 교육과정이 총체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로 양성될 수 있다. 융합교육은 서로다른 분야의 교육을 통해 어떠한 문제나 주제에 대한 해결을 다양한 학문지식을 바탕으로 풀어나가면서 상호 소통의 능력을 통해 독창적인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다. 디자인 교육에 있어 창의 인재육성은 매우 중요하기때문에 융합교육을 통해 넘쳐나는 지식정보들을 신지식으로 재창조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즉,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가진 융합형 디자인 인재양성 교육에 필요성과 교육과정에 대한정책이 수립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융합디자인교육에 대한 의의 및 사례중심으로 체계적인 교육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융합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융합디자인교육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연구 시스템구축을 제시하며 융합디자인 교육을 위한 공감대를 형성하여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융합적 사고의 확장과 창의적 발상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imperative things to nurture a creative talent needed in the global world of 21st century is a convergence design curriculum based on not only the design expertise but also the field related skills combined with humanities, sociology,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ngineering. The curriculum will play a pivotal role to help individuals to be equipped with an comprehens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teaching various fields of expertise, a convergence education aims at finding out creative solutions to a certain problem from different academic knowledg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reativity especially in design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people with an ability to create up-to-date knowledge utilizing lots of exis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verged education. And the need has effects on some principles of the convergence design curriculum. This paper studies a systematic curriculum focusing on the meaning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will make a more systematic and sustainable curriculum model. Also, the paper suggests establishing a more effective system for education and research, building a consensus on the different design education and finally provides basis for fundamental creative thinking available only through the new convergence curriculum.

      • KCI등재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현욱 ( Hyeon-wook Park ),이종호 ( Jong-ho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6 No.-

        3D 프린팅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핵심과제이며 2016년 다보스포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대표기술 중 하나로 제시되면서 제3차 산업혁명을 이끌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산업발전을 위해 3D 프린터기의 성능, 소재, 디자인, 기술특허, 품질관리 등 많은 연구를 통해 3D 프린팅 기술이 산업환경과 소비문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3D 프린팅이 제조기술 영역에서는 고객가치 창출과 모든 제품의 제조 경쟁 우위를 갖춘 제품의 제작방식을 혁신할 기술로 자리매김 할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의 국내외 산업기술 동향, 산업발전 과정의 전망, 3D 프린팅 기술개발을 통해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3D 프린팅 산업은 소비문화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디자인분야와 융복합발전이 필요하다. 3D 프린팅산업은 특정 소비자군의 특정 니즈에 따라서 얼마든지 새로운 수요가 창출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은 제품개발에 있어 디자인의 강점을 살린 분야에서 비즈니스를 시작하는것이 바람직하다. Thomas Frey는 미래에는 20억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거나 대체된다고 말했고 전통적인 제조방식이 붕괴되는 시장의 변화가 발생될 것이다. 연구결과 3D 프린팅 산업은 현재 프린터기의 성능, 소재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교육, 의료, 제품 활용 분야 등 다수의 소비자에게 간접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는 초기 응용분야를 공략하는 것이 적당하며 3D 프린터 사용법과 교과 활용법을 함께 교육할 수 있는 과학, 역사, 건축, 해부학 등의 분야에서 높은 교육 효과와 호응이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문화콘텐츠시장의 키덜트산업 성장과 3D 프린팅 기술의 성장속도를 보면 곧 3D 프린팅은 문화콘텐츠 개발과 시스템 구축이 중요한 산업으로 주목될 것이다. 이에 디자인산업은 3D 프린팅 기술과 디자인 융합을 통한 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제조업에서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소비자들의 개인취향이 반영된 맞춤형 소량제품 생산이 가능해질 것이다. 즉, 생산시스템과 서비스 플랫폼 구축은 매우 중요할 것이고 3D 프린팅 산업과 디자인의 연관성은 새로운 디자인 비즈니스를 형성할 것이다. The 3D printing is the core task in the 3 yeat economy innovation plan and has been one of the representative technologies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being studied as the technology that has unlimited possibility to lead the 3rd industry revolution. In this study, there are many research tasks such as performance of 3D printer, material, design, technology patent, quality management and etc for the 3D printing industrial development but is expecting that 3D printing technology will bring much change to the industrial environment and consumption culture. Also, it is seen that 3D printing will set its foot as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possessing manufacturing competitive predominance and creating customer value in certain field. Therefore, this study is trying to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3D printing industry through 3D print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ecase of industrial development process and domestic and overseas industry technology trend of 3D printing. It is proper for companies to start 3D printing industry in the field that can revive each strength as new demand can be created any time by certain needs of certain consumer group. For example, it is sufficient to aim for early stage application field that can provide indirect experience to many consumers such as cultural contents, education, medical field etc and there is expectancy of high education effect and response in the field of science, history, architecture, anatomy etc. that can educate using the 3D printer using method along with the academic application method. In short, 3D printing need to activate industrial business model through contents development, system establishment and design comb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디자인 강원 프로젝트" 기본계획에 따른

        박현욱 ( Hyeon Wook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6 No.-

        세계화·지방화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각 지역들은 공간상의 상대적 역학관계의 급속한 변모를 경험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보다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한 지역간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강원도도 대내외적인 변화속에서 각 지역의 고유한 역사화 문화는 지역활성화 전략의 핵심적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특성과 정체성을 보전하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쇄신하고 창의적인 강원도의 이미지를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확보, 지역사회 통합을 이루려는 ``디자인 강원 프로젝트`` 전략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강원도의 ``디자인 강원 프로젝트`` 전략을 분석해 보았으며, 수립된 전략을 지속적인 발전 가능 형태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산업과 문화디자인 행정시스템의 개선 및 창의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는 의식구조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In the stream of times of internationalization and localization, each district is experiencing rapid transfiguration of the relative dynamics in space, and in such a transition, the competition between districts for taking an advantageous position is becoming ever fiercer. Gangwondo is also perceiving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each district as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ty revitalization strategy in internal & external transitions. Accordingly, Gangwondo established ``Design Gangwon Project`` strategy for the purpose of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securement of cultural identity of community, and integration of local community by reforming its negative image and creating original Gangwon image while preserv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tried to analyze the ``Design Gangwon Project`` strategy like this, and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t`s necessary to improve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design industry and cultural design and turn the current structure of consciousness into that of looking at things from a creative perspective so that the established strategy can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orm of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디지털콘텐츠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현욱 ( Park Hyeon-wook ),이종호 ( Lee Jong-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디지털콘텐츠 산업에 대한 연구발전은 지속적으로 증가해가고 있으며 글로벌 IT기업들의 참여로 자유로운 행동과 오감을 통해 소통하는 미래 컴퓨팅 환경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들의 개발 및 일부 기술의 변화, 확산, 그리고 관련 기술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대되면서 이들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기술개발의 범위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 플랫폼으로서의 기술개발 전략에 필요한 융합교육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융합발전을 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으로 산업체 수요에 부응하는 기술개발, 기술이전, 인재육성을 핵심으로 하는 신산학 협력정책 비전 및 추진전략을 수립해야한다. 21세기 사회의 환경적 변화가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그에 호응하는 차원에서 인재 양성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신산학협력의 새로운 방향의 교육시스템은 실용화, 상품화 중심으로 디자인과 신기술의 교육 분야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교육 자원의 분배와 인문사회학적 교육의 심화를 통한 인재 양성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글로벌형 창의 인재의 육성을 위해서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적 콘텐츠 기획자 육성, 글로벌 스토리텔링 소양을 기반으로 미디어간 영역을 아우르는 컨버전스형 전문가 양성, 통합형 기획개발자 육성이 필요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and it is developing into a future computing environment technology that communicates through free action and five senses through participation of global IT companies. The scope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not limited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but it is becoming important to build convergence education necessary for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as an industrial platform that can affect various industries. The education system of the new direction of the new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hould be construct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harmonious and balanced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fields of design and new technology centered on commerc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the training system of humanities and sociology by intensifying education for humanities and sociology. In order to cultivate global creative talents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reative content planners with problem-solving abilities, foster convergence-type experts to encompass the inter-media area based on global storytelling, and foster integrated planning and development developers.

      • KCI등재

        디자인공모전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주)미래엔이 주최한 교과서 표지디자인 공모전을 중심으로 -

        박현욱 ( Park Hyeon Wook ),이종호 ( Lee Jong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기업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시행하는 기업 활동 중 공모전이라는 이벤트는 실제 많은 사람들의 주목과 관심을 받는 활동이지만, 그에 대한 효과는 크게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공모전에 대한 대학생의 높은 관심을 기업들은 참신한 아이디어 발굴 및 기업의 홍보 활동으로 연결시키려는 시도로 이어져 대다수의 기업들이 자체 이름을 건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민간기업뿐 아니라 정부부처, 공공기관에서도 시행하고 있다. 공모전은 미래의 고객인 고등학생, 대학생층을 고객으로 삼고, 기업 이미지를 좋게 하려는 의도가 있는 홍보의 한 수단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이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시행한 공모전에 출품한 학생들과 공모전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 지도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업 이미지와 인지도, 행동의도의 조사 분석을 통해 기업이미지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를 제시하고 조사 분석결과, 공모전 실행 후 기업의 이미지와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다. 공모전은 기업의 인지도와 기업이미지 제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공모전에 참여했던 응답자는 공모전을 개최하는 과정 속에서 기업정보의 습득, 참여로 발생하는 높은 관심, 기업구성원들과 친밀도 증가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과정 속에서 기업의 이미지에 호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모전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공모전의 포스터를 보고 기업에 대한 이미지와 인지도가 더욱 호의적으로 변한 변화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많은 기업들이 공모전을 통해 기업이미지나 기업에 대한 행동의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특성에 맞는 공모전 개최와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공모전 개최가 필요하다. The competition is a 'process of public recruitment of works and ideas' and corporations are using them as a place to secure innovative ideas and talent through competition. As the competition is used as a career opportunity for employment and recruitment, both students and corporations are interested in hosting the competition. As a company, it is being used as a place to find novel ideas, enhance corporate image, and secure talent.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the contest leads to attempts to connect novel ideas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companies. Most companies are conducting competition for their own names, and they are also being implemented not only by private companies but also by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orporate image through the competition for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the competition, and the guidance teach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problem, the professional image and awareness of the company were high after the competition. Competition has been proven to influence corporate recognition and corporate image enhancement. In particular,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ntest seem to have been influenced by acquiring corporate information, high interest in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and increasing familiarity with company members. In the process, it seems to have had a favorable and positive impact on the corporate image. Although I did not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I saw the posters of the competi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company and the image of the company are more favorabl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corporate image and corporate intention through the competition, many companies are required to hold a different competi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ompany through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KCI등재

        목재문화체험장 조성에 따른 창의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박현욱 ( Park Hyeon-wook ),최광춘 ( Choi Goang-ch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4 No.-

        지구온난화 방지에 기여하는 목재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다양한 목재문화체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의 목적을 두고 전국에 목재문화체험장이 조성되고 있다. 목재문화체험장은 목재문화의 진흥과 목재교육의 활성화 및 주변자연휴양림과 연계한 다양한 체험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기 조성 운영되어지고 있는 목재문화체험장 및 조성 중인 곳 모두 기본계획 및 프로그램등이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조성되어 지고 있어 개장 후 체험 및 운영에 많은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목재문화체험 운영프로그램 분석 후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 그리고 교육방법에 있어 디자인의 사고과정에서 어떤 영감으로 주어지는 개인의 창의적 능력을 차별화된 창의교육 프로그램으로 목재문화체험장에 적합한 합리적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재문화체험장이라는 공간을 고려한 학습자의 활동, 학습자와 공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구축되어져야 하는 메이커 교육과 같은 창의적 교육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목재문화체험관의 설계 및 구축에 있어 창의적 교육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며 메이커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하나의 문화 공간 또는 커뮤니티로 개발되어야 한다. Wood culture experience centers are being created nationwide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importance of wood and creating a space that can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wood culture experience. The Wood Culture Experience Center provides a variety of experience opportunities in connection with the promotion of wood culture, activation of wood education, and the surrounding natural recreation forest. Both the timber culture experience center and the experience site under construction are being built without considering the basic plans and programs. Therefore, after opening, it is experiencing a lot of difficulties and trial and error in experience and operation. This study studied the educational program after analyzing the operation program of wood culture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ational educational program suitable for the wood culture experience center as a differentiated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r the individual's creative ability. It should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of the wood culture experience center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space. As a result, creative education programs such as maker education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quir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creative educational elements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wood culture experience hall. In addition, it should be developed as a cultural space or community that promotes the interaction of makers.

      • KCI등재

        도시자원 전략을 활용을 위한 도시재생 기초생활 인프라 분석에 관한 연구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을 중심으로-

        박현욱 ( Park Hyeon-woo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도시재생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 특성에 맞게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의 도시지역 쇠퇴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 기초생활 인프라 분석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성과 달성을 위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유형별 지역주민의 지역역량강화 사업의 정책과 교육관련 사업의 동향을 살피고 기초생활 인프라 분석의 중요성에 대해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에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토성면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의 쇠퇴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기초생활 인프라의 국가적 최저기준 미달 여부를 분석하여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한 DB자료를 구축하고 분석하였다. 도시의 쇠퇴분석 결과 고성군은 토성면을 비롯하여 전체 지역이 인구감소, 사업체감소, 노후건축물 밀집 등 도시재생 활성화 지정 세부기준을 2개 이상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성면의 전체 기초생활 인프라 종합 분석결과 강원도의 평균 및 고성군 평균보다 유치원, 초등학교, 어린이집, 경로당, 노인교실, 의원 등의 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도서관, 경로당, 약국, 생활체육시설, 도시공원, 소매점, 공영주차장 등은 상대적으로 강원도 및 고성군의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쇠퇴자료와 기초생활 인프라의 국가적 최저기준 미달 관련한 DB자료 등은 지역의 대상 범위를 확대하여 도시재생 사업의 전략적인 방향수립과 효율적인 연구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Urban regeneration refers to the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revitalization of a city that is in decline due to a decrease in population,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indiscriminate expansion of the city, and aging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local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achieve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through urban regeneration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nalysis research using urban area decline analysis of Toseong-myeon, Goseong-gun, Gangwon-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ies of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s for each type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nd the trends of education-related projects, and to enhance professionalism on the importance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analysi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gree of urban decline in Toseong-myeon regions.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the national minimum standards for basic living infrastructure were met, and constructed and analyzed a database related to urban renewal project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ntire basic living infrastructure of Toseong-myeon, it was found that facilities such as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daycare centers, senior citizens' centers, senior classes, and clinic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average of Gangwon-do and Goseong-gun. On the other hand, libraries, senior citizens' halls, pharmacies, sports facilities, city parks, retail stores, and public parking lot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e averages of Gangwon-do and Goseong-gun. The decline data and basic living infrastructure DB data analyz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valuable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c direction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establishing an efficient research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