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주민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 -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해긍 ( Park Haeke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주거환경만족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1인 가구와 다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규명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의 차별적 특성에 부합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실증적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경남 양산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633명으로부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인가구에서는 연령, 교육환경, 문화 및 여가, 복지서비스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다인가구에서는 결혼상태, 거주기간, 주택여건, 교통여건, 보건의료, 문화 및 여가, 복지서비스, 1인 가구 및 다인가구를 모두 포함한 회귀식에서는 결혼상태, 거주기간, 주택여건, 보건의료, 복지서비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주거환경관련 정책이 가구별로 차별화된 지방정책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것, 동네가 소멸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 도시재생 등의 마을 재건사업의 도입, 마지막으로 정주의식의 함양을 위한 복지서비스의 적극적인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양산시라는 제한적인 공간의 범위내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므로, 양산시와 유사한 지역적 특성을 가진 도농복합지역에 제한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며, 향후 전국적 표본을 반영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sought to define the differentiated influence of residents’ satisfaction of living environment upon their consciousness of inhabitant betwee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To that end, 633 residents in Yangsan were survey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an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echniques of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In single-person households, age, educational environment, culture and leisure, and welfare servi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person households, marital status, residence period, housing conditions, traffic conditions, healthcare, culture and leisure, and welfare servi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gression equation involving bo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marital status, residence period, housing conditions, healthcare, and welfare servic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local governments’ policy on residential environment should have a differentiated paradigm by the type of household.

      • KCI등재

        사회적 불평등으로 본 한국과 중국의 도농격차 연구

        박해긍 ( Haekeung Park ),배은석 ( Eunseok Ba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도농 간의 격차를 사회적 불평등 인식이라는 렌즈를 통해 도농 간 격차의 실태를 파악하여, 중국의 도농 격차의 해소를 위한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SSP데이터를 빈도분석, 독립집단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불평등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중국은 한국에 비해,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고, 도시와 농촌이라는 각 지역 내에서도 소득의 격차가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불평등에 대한 인식에서 중국과 한국 모두에서 몇 개의 문항이 도농 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소득격차, 실업, 기초생활보장 등의 해결에 대한 정부의 책임 인식의 차이에서 중국만 도농격차가 확인되었다. 넷째, 계층갈등에 대한 인식에서도 중국은 모든 문항에서 도농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국의 도시와 농촌간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2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소 피상적으로 사회적 불평등을 조명할 수밖에 없었던 점, 둘째, 사회적 불평등 인식을 측정하였으므로, 결과의 해석측면에서 다소 한계가 있다. 향후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spar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the lens of social inequality. For this, ISSP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group t-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China,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Korea. Second, in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some variables were found to show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ird, In china,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government is income gap, unemployment, etc. Fourth, in the perception of hierarchical conflict, China showed differences in rural area in all item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lluminate the social inequality in a somewhat superficial way using the secondary data. Second, since the social inequality is measured, there is a limit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Future research should be done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경상남도 거주 장애인의 체육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임채영 ( Cheyoung Lim ),김새봄 ( Saebom Kim ),박해긍 ( Haekeu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체육활동과 건강의 관계를 장애정도에 따라 경증 장애인과 중증 장애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건강증진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경상남도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에 참여한 등록 장애인 723명의 자료를 활용, SPSS 25.0을 이용하여 장애정도에 따라 체육활동(운동 횟수, 시간, 강도)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증 장애인은 운동 횟수가 증가할수록 건강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증 장애인은 운동 강도가 강해질수록 건강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증과 중증 장애인을 모두 포함한 전체 장애인의 경우 운동 횟수가 증가하고, 운동 강도가 강해질수록 건강수준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경증, 중증 장애인의 건강증진에 더욱 효과적인 체육활동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직업의 유형, 업무의 난이도, 정규직 여부 등에 대한 변수가 반영되지 못하였고, 향후 연구에서는 직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을 반영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the health of people with mild and severe disability focusing on the grading of disability. The Study utilized the data of 723 people from a survey on physical activ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 province of Gyeongsangnam-do at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eople with mild disability achieve improvement in health as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ies increases; second, people with severe disability achieve improvement in health as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ies increases; and third, all those who have mild or severe disability achieve improvement in health as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ies increase. In this study, variables such as job type, difficulty, and regular status were not reflected. In future research,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occupations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