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리포 사빈의 시계열 3차원 지형 변화 분석

        박한산 ( Han San Park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1

        만리포 사빈에 대하여 지상라이다(Terrestrial LIDAR)로 2008년 1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6회 조사된 3차원 정밀 지형을 이용하여 정량적 지형특성과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만리포 사빈은 해발고도 0m에서 1.5m사이에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평균고조위인 해발고도 2.25m 이상에서는 사빈의 면적이 급격이 줄어든다. 지형변화 특성으로는 침식과 퇴적이 해안선을 따라 선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북쪽 지역이 남쪽 지역보다 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계절적 변화 특성으로는 봄에서 가을까지는 전반적인 침식이,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침식과 퇴적이 발생하였으며, 조사 시작과 종료시점의 체적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troduces an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and topographical changes based on precise 3D topography through 6 times surveys from December 2008 to January 2010 using Terrestrial LIDAR on the Malipo beach. The Malipo sand beach is mostly located between 0m to 1.5m MSL. The area of the beach above 2.25m, the Mean High Water, is very small. It hav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ical change of erosion and deposition along the entire coast line which more apparently appear in the northern beach than the southern part of the beach. Erosion prevails from spring to autumn, while during winter both erosion and deposition largely occur. Volumes from first and last survey were almost equal.

      • KCI등재

        해수면 상승과 관련한 적도 태평양 도서 국가의 연안 재해 발생과 분포

        박한산 ( Han San Park ),김대식 ( Dae Sik Kim ),이광률 ( Gwang Ryul Lee ),권문상 ( Moon Sang Kwon ) 한국지형학회 2014 한국지형학회지 Vol.21 No.2

        해수면은 플라이스토세 이후 빙기와 간빙기를 거치면서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며 변화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해수면 상승 속도는 인간의 활동에 기인한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점차 가속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 다. 특히 서태평양 지역은 해수면 상승 속도가 가장 빠르며, 태평양 도서 국가들은 연안 재해의 위험에 노출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서부 및 중앙 태평양에 위치한 13개 도서 국가들을 대상으로, 연안 재해의 현황, 분포, 횟수와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13개 국가에서는 지난 50여 년 동안 총 175회의 연안 재해가 발생하였으며, 사이클론에 의한 재해가 전체 연안 재해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피지, 바누아투, 솔로몬 제도, 파푸아 뉴기니가 재해 발생 빈도 및 규모가 큰 나라들이며, 공간적으로 남위 10°~20° 부근의 남서 태평양 해역의 환태 평양 화산대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해수면 상승 속도가 높아지는 1970년대 이후로 연안 범람 및 폭 풍 해일의 발생 횟수가 함께 높아지고 있으며, 발생 시기는 강한 라니냐가 발생한 시기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다. Sea level has been changed with repeated fall and rise through glacial and interglacial ages since Pleistocene. But recent tendency of sea level rise rate shows gradual increase due to climate change resulting from human activity. Especially, sea level rise rat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is faster than any other regions, and island countries are exposed to coastal disaster accordingly. In this study, coastal disaster status, distribution, frequency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on 13 countries located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During the past 50 years, a total of 175 disasters were occurred, about 70 percent disasters caused by tropical cyclone. Fiji, Vanuatu, Solomon Islands and Papua New Guinea are the largest countries in the disaster frequency and scale. These countries located in latitude 10° ~ 20° and the circum-Pacific volcanic belt of the southwest Pacific Ocean. The frequency of coastal flooding and storm surges is rising since the 1970s, and occurrence time partly coincides with a strong La Nina.

      • KCI등재

        동,서,남해안 25개 초지사구의 고도 분포 특성

        박한산 ( Han San Park ),채진호 ( Jin Ho Chae ) 한국지형학회 2013 한국지형학회지 Vol.20 No.2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의 25개 사빈과 초지사구를 대상으로 단면측량을 하였으며, 각 해안의 초지사구 고도 분포 특성과 조위 특성을 함께 분석하였다. 초지사구의 평균 해발고도는 동해안에서 4.01m, 서해안에서 5.65m, 남해안에서 3.32m이었다. 해양성 기구인 조석이 초지사구의 고도 분포에 영향을 주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지사구 고도에서 조위를 뺀 초지사구의 ‘조위 비고’를 계산하였다. 초지사구의 약최고고조위 비고는 동해안에서 평균 3.85m, 서해안에서 1.99m, 남해안에서 1.37m로서, 서해안과 남해안이 서로 유사하였다. 특히 사구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사초 출현지점 조위 비고의 경우, 서해안과 남해안의 평균 차이가 약최고고조위를 반영하기 전과 후에 각각 1.83m, 0.12m로서 열 배 이상 감소하였다. 아울러, 지역적 특성이 더 강한 약최고 고조위를 적용했을 경우의 서해안과 남해안의 평균 비고 차이가 평균고조위나 대조평균고조위를 적용한 평균 비고 차이보다 적었다. 따라서 서해안과 남해안의 초지사구 고도는 해당 지역의 조위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동해안의 초지사구 조위 비고는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해 큰 편차를 보이며 구분되며, 파랑 관측 자료로부터 얻은 최대 유의 파고와 사초 출현지점 평균 고도와의 차이가 19cm에 불과하여, 파고가 동해안 초지사구의 고도 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Characteristics of elevation distribution of grass-covered dun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tid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cross-section measurement at 25 sites in Korean coast. Average elevations (from mean sea level) of the grass-covered dunes in the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coast were 3.32, 4.01 and 5.65 m, respectively. To understand whether tidal level influences on the elevation distribution of grass-covered dunes, we calculated relative height of the elevation subtracting tidal levels. Average heights of the grass-covered dunes from Approximate Highest High Water Level (AHHWL) were 1.37, 3.85 and 1.99 m in each coast, respectively, showing comparatively smaller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 Difference of average elevation of the places where herbaceous vegetation occurred, the starting point of sand-dune development, between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 were 1.83 m, while relative height of from AHHWL were only 0.12 m in average. The differences of their relative heights from AHHWL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from Mean High Water Level, Mean High Water Springs Level or Mean High Water Neaps Level, suggesting grass-covered dunes of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 are much influenced by tidal properties in the regions. In the eastern coast, difference of average elev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herbaceous vegetation and maximum significant wave height was only 0.19 m. It is also suggested that grass-covered dunes in the eastern coast are mainly affected by wave height.

      • KCI등재

        청송군 옹점리 일대 암설 사면의 분포와 지형 변화

        이광률(Gwang-Ryul Lee),박한산(Han San Park)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옹점리 동부의 암설 사면을 대상으로 암설 사면의 분포, 요인, 식생 피복 및 암설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지역에서 암설 사면 발달의 중요한 요인은 기반암이 단애 형성과 암설 공급에 유리한 규장암이라는 점과 기계적 풍화작용을 촉진시키는 기온의 영하일수가 비교적 길다는 점이다. 암설 사면의 분포 면적은 일사량이 높아서 수분 증발이 활발하여 식생 피복이 불량한, 남사면과 서사면이 북사면과 동사면에 비해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옹점리 동부의 가 지역에서 식생 피복으로 인해 암설 사면의 면적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평균 431.0㎡/yr의 식생 피복 면적 증가 속도를 보였다. 그리고 지상라이다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 지역에서는 1년 동안 1~2개의 암설 입자들이 사면 내에서 변위 또는 이동되었다. The distributions, factors, and vegetation covers of debris slopes and changes of debris at the eastern Ongjeom-ri, Cheongsong-gun are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velopments of the slopes are felsites having advantages to the developments of cliffs and supply of enough debris, and the relatively long days below zero temperatures promoting the physical weathering processes. The distributional areas of the slopes at southern and western slopes are more extensive than those of northern and eastern slopes due to the active water evaporation by high insolation. The Ga area at eastern Ongjeom-ri has experienced the steady decreases of area of the slopes due to the vegetation covers and shows the increasing rates of vegetation covers of 431.0㎡/yr as averaged values. However, it is estimated at the Na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that 1 or 2 debris were moved or displaed per year in slope.

      • 해양 모델 결과에 대한 GIS 데이터 변환 및 가시화 연구

        장원석(Won-Seok Jang),박한산(Han-San Park),오세웅(Se-Woong Oh),종민(Jong-Min Park),서상현(Sang-Hyun Suh)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추계

        해양 분야에서는 현재 해양 생태계 모델이나 수질모델, 그리고 해수 유동모델과 같은 다양한 모델들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해양 모델들의 결과 값은 사용자가 한눈에 알아보기 어려운 수치 데이터의 나열로서 출력되어 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분석하기 어려운 모델링결과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GIS의 기법을 적용하여 이 데이터를 보다 직관적이고 가시적인 형태로 변환하고 표현하는 기술을 개발, 적용하였다. A great variety of models including marine ecology model, water quality model, marine fluid model have been used in the marine research. The results of marine model is presented as a numerical value that is difficult for researcher to understand.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 for conversing and presenting results of marine models to visual form to improve the visualization of modelling results that is difficult to analyze and applied the method in actual practice.

      • KCI등재

        한국 남동해안 경주-울산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 해안단구 지형발달

        황상일(Sang-Ill Hwang),윤순옥(Soon-Ock Yoon),박한산(Han-San Park)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4

        한반도 남동해안의 감포와 중부 동해안 정동진에서 발견된 해안단구 고고위I면과 고고위Ⅱ면을 울산-경주 경계지역 지경리 일대에서 재차 확인하였다. 특히 이곳에는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해발고도가 가장<br/> 높은 해안단구인 구정선고도 140m보다 한 단 더 높은 해발고도 155m인 고고위 지경(HH JK)면이 분포한다. 따라서 지경리지역 고고위면의 구정선고도는 해발고도 155m, 140m, 115m로 측정되었고, 형성시기는 각각 MIS 17(72~69만년 BP), MIS 15(63~56만년 BP)와 MIS 13(51~48만년 BP)으로 편년되었다. 또한 고고위면의 규모가 매우 큰 것은 기반암과 고고위면 형성시 해안 지형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동해안 중부와 남부에서 고고위면을 비롯한 고위면, 중위면, 저위면의 구정선고도체계가 같으므로, Pleistocene 중기 이후 동해안에는 남북간 지반융기량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해안단구 고고위 지경면, 고고위 I면, 고고위 II면, 고위 I면, 고위 II면의 구정선고도와 형성시기와의 관계로부터 얻은 동해안지역 지반 융기속도는 0.23mm/y로 거의 균일하다. The existence of coastal terraces, HH(High higher) surfaces found at Gampo of southeast coast and at Jeongdongjin of the central east coast were confirmed at Jigyeong-Ri, the areal border between Gyeongjuand Ulsan cit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Peninsula. Especially this study reports HH JK-surface located on the 155m a.s.l., which is the highest altitude among the ancient shorelines of the coastal terraces in Korea. The HH surfaces on the study area are classified into HH JK at 155m, HH I at 140m and HH II at 115m, and each formation stage is related to MIS 17(720~690ka BP), MIS 15(630~560ka BP) and MIS 13(510~480ka BP) respectively. The HH-surfaces remain to be larger than those of H- and L-surfaces. The reason is caused by the unique factors of the coastal geology and morphology on the study area during the formation stage. And also the areal difference by the magnitude of upheaval doesn’t exist from north to south because the altitude system of ancient shoreline on each coastal terrace is same along the east coast. The upheaval rate of the eastern coastal areas was measured in the relation to the ancient shoreline and formation stage among the coastal terraces such as HH JK-, HH I-, HH II, H I- and H II surface, and was almost same as 0.23m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