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粉靑沙器 紋樣의 繪畵 表現硏究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박필현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양과 서양이라는 공간적 차이와 과거와 현재라는 시간적 차이에서 발생 되는 문화양식은 각기 독특한 특성을 갖게 되지만 역사 발전을 통해 변형, 발전의 과정을 겪는다. 韓國紋樣은 우리의 문화가 그러하듯 발생문양이 아니고 수용 문양인 관계로 외래의 것이지만 그 표현 양식에 있어선 우리의 생활 감정을 담은 紋樣으로 변화 시켜 독자적으로 발전시키고 창조하였다. 본인의 작품의도도 위와 같이 전통 의식 속에 韓國的 美感을 표현해 보려는 욕구에서 시작되었다. 작품에서 보여지는 질감의 의미는 분청사기의 순수함과 담백함을 나타내려 하였고 그 질감 속에서 느껴지는 자연주의적인 색채관과 순박함은 여유롭고 관조할 수 있는 심상을 나타내기 위함이었다. 작품의 造形美와 色彩表現은 粉靑沙器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는데 분청사기는 서민층의 대중화된 생활용기로서 그들의 자유분방하고 소박한 특색이 반영되어 문양에 있어서도 자유롭고 순수함이 서민 예술로서 韓國的 美感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고 볼 수 있다. 粉靑沙器紋樣의 회화적 구형구조인 단순성, 추상성, 반복성을 고찰해 보고 현대적 시각에 내재된 韓國的 美意識을 표현하기 위해 작업하였고 그과정에서 분청사기의 문양과 색채의 조형성을 재발견하여 화면속에 재형상화 시켜 새로운 조형의식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 분청사기의 자연주의적 색채관과 호방한 공간구성, 담백함, 추상성 들을 채색화의 현대적 기법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조형성을 찾고자 하였고 우리민족의 정신세계가 잘 반영된 粉靑沙器의 自然觀을 통해 우리의 美意識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처럼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간 우리 민족의 동양적 회화관을 현대적 회화의 물결 속에서 어떻게 적절히 풀어 나아가느냐가 본인의 과제로 생각되며 좀더 체계적인 연구 자세로 정진하여 앞으로의 작업에 밑거름으로 삼고자 한다. Each of cultural modes occurring from the spatial difference of the Orient and the West and the temporal on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comes to have its peculiar characteristics, but experienc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its historic development. As our culture is so, Korean pattern is foreign because it is not occurring pattern but accepting one, but it has been independently developed and created by changing it into the one containing our emotion of life in the modes of expressing it. As above, the intention of my works also began with the desire of I trying to express Korean aesthetic senses in traditional consciousness. The meaning of matiere shown in the works tried to indicate the purity and the simplicity of a chinaware with white slip and greyish-green glaze and the naturalistic view of colors and the naiveness felt in the matiere were for indicating free and contemplatable imagery. The plastic beauty and the color expression of my works have been much affected by the chinaware and it can be seen that, as a life vessel popularized in the class of the populace, the chinaware reflects their free and naive features and that it strong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esthetic sense as popular art that it is free and pure also in patterns. I worked in order to express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internal to modern perspectives by investigating simplicity, abstractness and repetitiveness, the pictorial old-fashioned structure of the pattern of the chinaware and I wanted to make new plastic consciousness by rediscovering the pattern and the plasticity of colors of the chinaware in the process and reformalizing them in pictures. For this, in this thesis, in my working, I chose to seek for new plasticity by reinterpreting naturalistic view of colors, vigorous spatial construction, simplicity and abstractness of the chinaware with the modern techniques of colored painting and aimed at looking for our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view of nature in the chinaware in which the spiritual world of our nation is well reflected. Like this, it is considered as my task how the Oriental view of painting of our nation who had lived conforming to nature will be properly solved in the wave of modern painting and I want to make it a base for future working by advancing with somewhat more systematic attitude of study.

      • 기혼여성이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현재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미치는 영향

        박필현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which factor influences each sub-factor concretely among sub-factors of Emotional Stability of Family-of-Origin.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Family-of-Origin Experience(8 sub-factors: Overall emotional health of family, Conflict resolution, Acceptance of separation and loss, Permission to others, Harmony of family, Family cooperation, Independence in extended family, Power balance in family) and dependent variable is Family Resilience(9 sub-factors: Making Meaning of Adversity, Positive Outlook, Transcendence and Spirituality, Flexibility, Connectedness, Social and Economic Resources, Clarity, Open Emotional Expression,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 of independent variable on each sub-factor of dependent variable has been looked into concretely by regression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arried women aged 20~60. 43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13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3 universities in Busan and 331 cases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collected data using SPSS Ver. 20.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factors of 'Emotional Health of Family' have had a meaningful effect on Family Resilience which is to deal with adversity. Here are some factors of Emotional Stability of Family-of-Origin that influenc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Second, a mature Family-of-Origin Experience based on 'Harmony and balance' with 'autonomy and intimacy' is needed to promote Family Resilience. Excessively intimate Family-of-Origin Experience is not just enough to get strength to deal with adversity for family. It could be biased toward 'intimacy' on characteristics of nuclear families in Korea nowadays, it is very suggestive to arrange practical plans of family intervention that Family Resilience is promoted by developing 'autonomy' factor in a balanced way. However, the autonomy should not be confused with form of indifference or neglect among family. Preventive family education that promotes autonomy and intimacy in a balanced way and general famil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common family educ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result would be foundation for creating healthy Family-of-Origin environment to promote and develop Family Resilience that is to face down adversity. Next, it would be basis to arrange promotive program of preventive family education and family Resilience on children in the growing period, parents and premarital adult-children. Subject Word: Family-of-Origin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of Family-of-Origin, Family Resilience, Married women

      • 1960년대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양상 연구 : 김승옥·박태순·이청준을 중심으로

        박필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1960년대 소설 작품들에 나타난, 신식민적 근대라는 조건과 환경에 대한 문학적 대응과 그 속에서 발견되는 수용과 저항 및 지배와 억압의 모습을 통해 식민성과 탈식민성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논문의 출발은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이 어떠한 관계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어디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기본적 의문에서 비롯되었다. 현재 우리 사회가 놓여있는 지점이 자본주의적 근대라고 할 때, 근대성은 '동시대적 삶의 성찰을 위한 기본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정치·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현재 우리 사회를 규정하고 있는 근대기획은 1960년대에 형성된 것으로, 1960년대는 자본주의적 근대라는 전세계적 메커니즘 속으로 우리 사회가 본격적 편입을 시작한 시기이다. 세계적 지형 속에서 한국이라는 나라는 제3세계 주변국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근대 우리 사회의 문화를 살피는 데에는 1960년대라는 시기와 더불어 특수한 근대 문명에 주목하여 서구 중심의 근대를 상대화하려는 탈식민주의적 관점이 그 중요성을 지닌다. 1960년대는 이미 영토적 식민시대가 종결된 시기이지만 권력을 통해 내재된 자본의 원리에 따라 비가시적인 형태로 식민화가 지속된다. 분단하의 산업 자본주의 체제가 정착되면서 경제 발전 메커니즘은 신식민을 위한 하나의 규율권력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논리 아래에서 국민 개개인은 새로운 근대화의 적극적인 주체가 되어야 했다. Ⅱ장에서는 60년대 소설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바탕으로 작중인물에게 내재화된 이와 같은 신식민적 규율권력의 양상과 그에 대한 문학적 수용양상인 근대성에 대한 인식 및 성찰의 서사를 다루었다. 이때, 자아와 세계에 대한 성찰성은 근대적 사유의 주요원리이기도 하다. 인간은 무수히 많은 인간들에 의해 형성된 세계 속에 존재하며 따라서 '나'라는 존재 역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비로소 확인된다. 이러한 지점에 주목하여 Ⅲ장에서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각 작품 내의 관계 속에서 중심과 주변에 놓인 것은 어떤 인물들이며 이들은 어떠한 형태로 관계맺는가를 분석하였다. 각각의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인물들은 근대화의 논리를 수용하고 이에 부합하는 인물군과 그러한 논리에서 소외되어 있는 인물군으로 양분되거나 근대화의 사회를 살아가지만 그 부정성을 인지하고 회의하는 인물군과 역시 당대의 시대 논리로부터 비껴나 있는 인물군으로 나뉘어졌다. 김승옥 작품 속의 초점화된 인물들은 근대화에 순응한 인물군들에 동조하며 이로부터 소외된 인물군과의 관계를 부정하거나 억압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비하여 박태순의 경우는 근대화와 도시화에 적응한 인물들에 대한 동화를 시도하는데 이러한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가며 이후 초점화된 인물들은 주변적 인물군들과의 긍정적 관계맺기를 시도하게 되었다. 이청준 소설의 인물들은 후자들의 모습에 주목하면서도 이에 대하여 일정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거나 혹은 끝내 근원적 소통을 이루지는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즉, 이 장에서는 초점화된 인물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하위주체들에 주목하며 인물들 간의 관계 양상을 통하여 각 작품들이 인물들 간의 서로 다른 식민적 위계 관계를 드러내고 있음을 보았다. 인물들 사이의 관계 양상 속에는 권력과 이해관계의 문제가 얽혀있다. 작품 속 인물들이 보여주는 억압과 수용의 관계상을 통해 인물들 사이의 권력과 억압 및 인물들의 특성 등을 확인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인물들의 관계상은 근대에 대한 양가적 감정의 분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주변적 인물들에 대한 부정과 억압을 나타냈던 김승옥의 경우 이는 도시적 일상에의 합류에 대한 욕망을 갖으면서도 그 안에서 복잡한 갈등과 분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태순의 경우 근대적 인물에 대한 동화의 욕구처럼 당대 사회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동화의 실패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근대화 사회의 긍정적 수용에 대한 욕망은 오히려 이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노력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비해 이청준은 현실 논리에서 비껴난 인물군들을 탐지자적 위치에서 관찰하는 형태를 보였었는데 이는 현실의 수용이 아니라 현실을 탐색하며 소멸된 가치에 대하여 침잠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는 근대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기본으로 하는 것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청준의 작품에서 부정적 근대를 적극적으로 거부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현실 그 자체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인정하는 태도가 보였다. 즉, 근대성과 관련하여 이들 작품에는 근대성 내부의 모순과 긴장을 보여주는 복합적·다층적 욕망이 내재하며 작품 속 인물들은 당대 현실 속에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강요된 근대화의 시대 속에서 이들 각각의 작가들의 작품들은 공히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를 고민하고 있으며 이러한 고민들을 통해 당대 사회의 모순점과 그 속에서 소외된 인물들의 모습을 발견하고 있다. 이러한 고민과 발견은 근대화라는 보이지 않는 식민 논리가 교묘하게 작동하는 사회 현실과 그 속을 살아가는 인간의 총체적 삶의 양상에 대한 깊이있는 재고찰을 가능하게 했다. 지배주체는 이분법에 근거해 근대화를 시켜준다는 논리로 억압과 착취를 윤리로 포장한다. 그러나 식민지 담론은 그같이 봉쇄된 것이 아니라 균열과 틈새와 주름의 양가성을 가진다. 이들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양가성 역시 부정적 근대에 대한 저항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은근한 모방을 저항으로 보는 논리는 지배 세력의 비호를 위해 오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김승옥 소설이 공모적 탈식민주의의 문제점을 지닌다면 저항적 탈식민을 지향하고 있는 박태순의 경우는 그 안에서 대표와 재현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청준은 소설 속의 독자적 세계로 현실을 끌어들여 깊이있는 고민을 하고 있지만 보다 현실적인 지점에서의 접근이 미흡하다. 여전히 근대화의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는 대항·대안의 전략 역시 필요하다. 비록 문학이 이에 대한 직접적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하여도, 한 시대 및 사회를 보는 관점으로서의 이론과 인간의 총체적 삶의 모습을 담아내는 문학 양자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사유와 삶의 방식을 찾아가려는 노력을 지속할 때 우리의 삶은 더욱 풍요로워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thesis intends to investigate a variety of aspects of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efforts by examining : (1) a literary behavior as a reactions to the neo-colonial modernism, and (2) the description of acceptance, rebellion, domination and oppression as appeared in novels produced in the 1960s. The motivation of the current study stems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of "In what manner and based on which relationships was our society formed where is it ultimately headed?". Considering the fact that our present society is characterized by the capitalistic modernism, modernism is certainly the "premise for the reflection of comtemporary life". In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the modernism of our present society began its formation in the 1960s, an era in which the Korean society started its progress into the capitalistic modernism, a then universal phenomenon. Form an international point of view, Korea holds its position as a border country of the Third World.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culture of the Korean society, it is imperative to examine the 1960s in which post-colonialism efforts to confront the modernism of the West by means of focusing on its modern civilization. Although the 1960s came long after the demise of the territorial colonialism in Korea, invisible colonialism of capital and power had continued its existence all the while. As the industrial capitalism established its system in the post-Korean War era, the mechanism of economic development started forming itself as a new regulating authority, and individuals were called to become active elements of modernization. As a framework to approach the novels of the 60s, on Chapter 2, I will discuss the internalization of the aforementioned neo-colonial regulating authority, and its expression in literary works, most often as perception and reflection of modernism. Reflection on the world and self are also important principles of modern philosophy. Humans exist in a world full of other human being, thus their presence can only be affirmed by the existence of other individuals. Bearing this in mind, in Chapter 3, I will analyze which types of characters are centralized or decentralized in literary works and how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formed and sustained. It will be noted that in each of the works analyzed, character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as follows : first, those who accept modernization and adjust to the new social paradigm, second, those who are isolate from the modernization, third, those who do reluctantly mold into the modern world but with skepticism for the change, and finally those who ar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new logic of modernization. The central characters in the works by Kim Seung-Ok, for instance, show their compliance with the individuals who successfully accepted modernization and therefore deny their relationships with individual who failed in their adjustment of the modern society. The characters in Lee Chung-Joon's works, on the other hand, do attend to the aforementioned "failures" of the modern world but nevertheless keep distance or fail to achieve genuine communication with them. In a similar manner, the central characters of Park Tae-Soon attempt the assimilation with the individuals who successfully adjusted to the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however these attempts result at the end. Subsequently, these failed efforts are followed by another attempt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decentralized characters. In short, in Chapter 3, I will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characters of different hierarchical positions and reveal the presence of colonial system withi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ach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intertwined with the issues of power and interest. Through the analyses of oppression and acceptance behavior of the characters of literary works under investigation, the power dynamics among individuals and their personal traits will be revealed, an observation which is highly related to their dichotomous positions toward modernization. The denial and oppression central characters demonstrated toward their decentralized counterparts in Kim Sueng-Ok's works, for instance, seem to be the consequence of a desire for modernized urban life and a simultaneously appearing inner conflict against it. On the other hand, Lee Chung-Joon's characters take an aloof observer's stance for those who failed to join the modern life, which signals a passive acceptance to the lost values rather than the acceptance of the reality. This stance is certainly based upon the denial of modernism, nevertheless Lee Chung-Joon never explicitly dispalys the characters' denial of modern society by revealing its negativism. Rather Lee chooses to reluctantly admit the reality as the inevitable. As for Park Tae-soon, his characters exert their effort to accept the contemporary society with a positive stance as shown by their desire to assimilate with modernized individuals. Their desire for modern and urban life after the initial failure to adjust to the novel society is later realized as their determination and effort to overcome their previous failure. In other words, the aforementioned characters consistently exert active efforts to overcome the tension and inner conflict lf the modern society which is characterized by complexity and multi-faceted desires. In an era of modernization which was forced upon with haste, the works under investigation in the present thesis provide serious contemplation on the social conflict of the 60s and its inhabitants who are isolated from the modernization. This contemplation and its subsequent discoveries enabled a reflection on a society in which modernization, an invisible form of colonialism, function as a regulatory authority, and the reaction of the human beings who lived through the 60s. The ruling classes lure the ruled into oppression and exploitation using modernization. However, the truth of colonialism is not a simplistic element as such but rather a two-faceted existence equipped with fissure and layers. The multi-faceted stance of the aforementioned characters toward the modern world can also be regarded as their rebelling strategy for the negative modernism. However, the behavior of perceiving assimilation as rebellion can be dangerous since it can be easily taken advantage of by the ruling class. If Kim Sueng-Ok's works have problems of conspiratorial post-colonialism, Park Tae-Soon's works show potential risk of representative and readvent. Lee Chung-Joon meanwhile, does succeed in engaging the reality with his creative dimension, but still lacks the utmost sense of reality. Living in a society where modernization continues, we need on-going reaction or strategies to deal with it. Although literature might not locate direct solutions for the acceptance of modernization, as a theoretical persepctive with which we observe the contemporary and human life, literature will certainly bring prosperity in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 해방기 문학 비평에 나타난 민족담론 연구

        박필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tried to confirm the agonies on diverse aspects of the plan of composition of group identity which was raised on the pretext of nation in the literary criticism during independence period, as well the form of its literary expression. The literary criticism during independence period which advocated 'National Literature' as literary ideology planned nation in order to build up a nation-state and new culture of its own. Meanwhile, it tried to find a way for literary figuration amid continuity along with the plan of national composition. First off, through close review of theories related to nation and nationalism, the researcher tried to confirm the fundamental reasons why nation was able to be used as a single shared identification code in the literary critical circle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in spite of the extreme difference in ideology. Nation is the whole of social relationships of which meaning has been secured amid the changes in history called modernity. And nationalism is secondary ideology that doesn't have self-sufficient logical structure. Hence, this shows that it shall be inappropriate to evaluate national concept by arguing that this concept is right, therefore, other concepts are not right. Approaches to nation and nationalism should be carried out in correlation with modern times, and then it has to be an attention to the changing process amidst the social dynamics, not an attempt toward essential regulations. In case of Korea, the term such as, 'Minjok' (民族, Nation) appeared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mid the crisis whether the nation could survive the risk of collapse. The national concept that showed signs of change from the reign of King Yeongjo revealed opposing and com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ional concept as an ideology in politics of the democratic republic and the concept of nation as in a nation-state since Sino-Japanese War. 'Minjok' emerged for the first time in 1900 when the national concept had kept changing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under the situation in which the concept of nation and of nation-state were in disagreeing, the concept of 'Minjok' was created having added the concept of 'nation-state' which was passed down through China to the conventional concept of nation. Getting through 1930s and 40s, on top of this early discourse of national, a logic of colonial empire was overlapped. And, having relieved from the power of the empire called Japan, the aggregation of people who had to face the issues of planning a country was the nation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Therefore, in the term of nation that emerged again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there were already a lot of meanings overlaid passing through adaptive processes in the interim period. Apart from differences in ideology, the nation which was the hard core shared in literary criticism was the starting point of fight for hegemony by advocating the n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n expression that released in terms of such a question as who were the main agents required to seek alternatives for the given task. Passing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e term epitomized as nation had to be more segmented geared with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toward the modernity upon reaching the independence period. In Chapter Ⅲ, the researcher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ritical theories during this period which was liable to be interpreted as confrontations merely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rough the aspects where the issues of planning national composition were raised in the correlations with the view of modernity. Above all, having eyes on the uppermost limit of modernity,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e critical trends having advocated the nation in order to build a new country being in a position to overcome such a limit. This appeared largely in two types again; one was to concentrate on pure and oriental or spiritual value, and the other was to keep an eye on hierarchical struggle. In case of the former, putting the purpose on "World Renowned Literature" that intended to overcome harmful effects brought about by rationalism and scientism, and also that had "spatial universality including permanence in time", they planned 'Humanity-Nation' having made ethnicity equivalent directly to universal human nature. In case of the latter, aiming to accomplish private ownership and merchandise economy, as well as to overcome capitalist modernity which formed new hierarchy, they planned the nation as have-nots that show hierarchical propensity in order to build an ideal state, to wit, 'Avant Garde Groups Hierarchy - Nation'. Obvious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of modernity which had been established as the task to accomplish, however, they indeed tried hard to seek methods for conquering hardships beyond the limits of past and present. Suppose that the former had tried to accomplish something in literary genre having emphasized the non-historical and intrinsic group that shares a common destiny, the latter attempted to transcend the reality exposing their yearning for united strength centering around single entity by means of proletarian class theory. There were arguers who showed their view of modernity as a historical process of transition that continues dismantling and recycling without interruption carrying ambiguity, while the previous arguers pursued conquering hardships with their singular view of modernity. First of all, amid self-awareness as an individual, there were discussions in which arguers agonized over building a state, and, in some discussions, people argued that nation is aggregation of people. The former paid attention to individuals who featur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will constitute a nation raising questions about the fight for hegemony having advocated the term, such as nation. They recognized the contradictions in reality, however, they, above all, revealed behaviors being anxious to explore more about 'Now and Here' instead of suggesting hasty and half-baked alternatives for the issues. The latter planned 'People-Nation' that included intellectuals as well as most of the bourgeois, while putting focus on laborers and farmers, having set an aim of construction of new culture by clearing off pro-Japanese vestiges, and breaking down feudalism and chauvinism.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organic integration of riskiness and diversity shown in uniform homogeneity, it can be said that loss of partisanship which was once pointed out critically would be rather an advantage carried by their discussions. In Chapter Ⅳ, the researcher reviewed the literary figuration of the plan of national composition. In the position of arguing that although humans accept society and reality in which they live, humans have an ability to go over it,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universal literature will be feasible through this very lofty human spirit in setting the spiritual domain into another domain which is superior to the reality domain. These people who planned the nation as universal humans advocated "Pure Literature of True-bred upholding Fundamental Doctrine" having pursued protection of humanity ultimately. Different from such standpoint, in the position of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former between reality and literature, to accomplish an ideal future was regarded as priority rather than agonizing over literary completedness and language. In this case, literature becomes closer to the "Literature as a Tool" from the point that literature should render services for an ideal future. These people who planned the nation as avant-garde groups hierarchy aiming to get rid of capitalistic modernity showed its extreme tendency through reinforcement of revolutionary romanticism or noble realism. These discussions indeed suggested a refusal of or conquering modernity, meanwhile, this reveals modern view of arts that separates arts and reality. A series of streams of agonizing over the nation amid developments of individual self-awareness showed a position that emphasized exploration of reality reflected in the writer's eyes, rather than expression of the political position through literature as an attempt to avoid extreme confrontation. Together with this, these individuals too who responded to the task of the contemporary reality with 'People-Nation', different from the logic of partisanship, revealed the aspects in which aesthetic autonomy and politics of literatures were mixed. The great premise dubbed progressive realism and revolutionary romanticism put so called leftist party as a whole together, however, understanding thereof and the points being emphasized revealed a subtle difference. These individuals who planned the nation as universal people and agonized over criteria thereof showed doubts and ruptures between what they pursued as objectives and its realistic methods concerned with the issues of creative writing. In Chapter Ⅴ, the researcher tried to investigate what can be gained from the discourse of national appeared in literary criticism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and what the thresholds are. The critics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all together spoke of new culture and the nation as principal agent of the culture having faced such unprecedented events as in the nonexistent state and sovereignty. Even though they advocated same identification code, their position was conspicuously different. This was not only caused by external theory but also it was based on different logics one another in relation to modernity and literature therein and its role fundamentally. Diverse discourses of national they showed are a starting point toward the problems we are now facing in today's world. However,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the given time under the rapid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was too short to inquire into such problems in a deeper and more intensive manner. Discussions about nation appeared in literary criticism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can be epitomized as group identity, that is to say, planning entity of sovereignty. In this time, group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nd the members of these groups will build a state leading the critical discourses. This will incline to pursue the entity of sovereignty which will be converged into a single body, that is, individual sovereignty, rather than seeking for itself in a realistic sense amid such emergent situation. In fact the literature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 is like "a state of thing where many a literary meaning have been submerged while missing the shape of genuine literature, but having revealed the thickly grown shoots that should have been represented in literary terms, rather not standing as by a literary work already completed." Nevertheless, in this time of changing world when creation of new structure has become desperate under the universal terms that everyone is alone, their discussions that showed fierce agony in order to build a new state and culture have great implications for us. Because those critical minds that discovered in the arguments raised in those days will not only be connected with major agenda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future but also their expectations for acceptance of modernity and overcoming thereof, including their agonies over commonality can be confirmed through their attempts to seek the main agent for building a new state and culture which had been carried out in the name of nation, as well as through ruptures or impairments, etc. occurred in such processes. 본고는 해 방기 문학 비평 속에서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제기된 집단 정체성 구성 기획의 다양한 양상과 더불어 그 문학적 표현 양식에 대한 고민을 확인해 보고자 했다. 문학 이념으로 ‘민족문학’을 내걸었던 해 방기 문학 비평은, 민족 국가와 새로운 문화건설을 위해 각기 나름의 민족을 구상하는 한편 이러한 민족 구성 기획과의 연속성 속에서 문학적 형상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했다. 우선 민족 및 민족주의에 대한 이론들의 검토를 통해, 극단적으로 다른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해 방기 문학 비평 계에서 민족이 하나의 공유된 약호로 사용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를 확인하고자 했다. 민족은 근대라는 역사적 변화 속에서 의미를 확보하게 된 사회적 관계의 총체이다. 그리고 민족주의는 자기 완결적 논리 구조를 갖지 못한 2차적 이데올로기이다. 따라서 어떤 특정의 민족 개념은 옳은 것이고 다른 것은 옳지 못하다는 식의 평가는 부적절함을 알 수 있다. 민족 및 민족주의에 대한 접근은 근대와의 상관관계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본질적 규정에 대한 시도가 아닌 사회적 역학 관계 속에서의 변화 과정에 대한 주목이어야 한다. 우리의 경우 ‘민족(民族)’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국가의 존폐 위기 속에서 등장했다. 영조(英祖) 대에 이르러 변화의 조짐을 보였던 국민 개념은, 청일전쟁 이후 민국 정치 이념으로서의 국민 개념과 네이션(nation)으로서의 국민 개념 사이의 길항․경쟁 관계를 보였다. ‘민족’은 국민 개념이 역사적 맥락 아래에서 변화를 거듭하고 있던 1900년에 처음으로 출현하였으며, 민족과 국가가 불일치 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국민 개념에 중국을 거쳐 전유된 네이션 개념이 합해지면서 생성되었다. 193,40년대를 거치며 이러한 초기 민족 담론 위에는 식민 제국의 논리가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일본이라는 제국의 권력에서 놓여나 국가건설 기획에 직면하며 부각된 것이 해 방기의 민족이다. 따라서 해 방기에 다시 부각된 민족 속에는, 이미 그간의 수용과정을 거치며 많은 의미들이 덧씌워져 있었다. 사상적 차이를 떠나 해 방기 문학 비평에서 공유된 핵심어였던 민족은, 문학에 있어 민족을 내세운 헤게모니 싸움의 출발점이자 주어진 과제에 대한 대안 찾기가 어떤 주체인가에 대한 물음으로 표출된 것이기도 하다.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수용․변모되었던 민족이라는 용어는 해방 기에 이르러 근대에 대한 인식 차이와 맞물려 더욱 분화된다. Ⅲ장에서는 좌우의 대립으로만 읽히기 쉬운 이 시기 비평 논리간의 차이를, 서로 다른 근대 관(近代觀)과의 상관관계에 속에서 민족 구성 기획이 제기되는 양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근대의 한계점에 착 목하여 이를 극복하려는 입장에서 새로운 나라 만들기를 위해 민족을 내세운 비평적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하나는 순수 및 동양적 혹은 정신적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계급적 투쟁에 주목하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 합리주의와 과학주의가 가져온 폐해의 극복 및 “시간적 영구성을 포함한 공간적 보편성”을 가진 “세계적인 문학”에 목적을 두고 민족성을 곧장 보편적 인간성으로 등 치 시켜 ‘인간-민족’을 기획했다. 후자는 사적 소유와 상품 경제를 성립시키고 새로운 계급을 형성한 자본주의적 근대의 극복을 목적으로 하며 이러한 목적을 이룰 이상적 국가 건설을 위해 계급적 성향을 가진 무산자로서의 민족 즉 ‘전위계급-민족’을 구상했다. 극복해야 할 과제로 설정한 근대의 면모는 분명한 차이를 갖지만 이들은 공히 과거 및 현재의 한계를 넘어 그 초극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했다. 전자가 비역사적이고 본질적인 운명공동체를 강조하며 문학에서 시간을 지워냈다면, 후자는 단일한 중심으로 결속된 힘에 대한 열망을 프롤레타리아 계급 론 으로 드러내며 현실을 뛰어넘고자 했다. 앞서의 논자들이 단수적 근대 관으로 그 초극을 지향했다면, 끊임없이 해체․재생하며 모호성을 지닌, 변환의 역사과정으로서의 근대 관을 보여준 논자들도 있다. 우선 개별 자로서의 자기인식 속에서 국가 건설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논의들이 있으며 대중적 결합체로서의 민족을 주장한 논의도 있다. 전자들은 민족이라는 용어를 내세운 헤게모니 싸움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민족을 구성하고 있는 특수성을 지닌 개인에 주의를 기울였다. 이들은 현실의 모순을 인식하고 있었지만 그에 대한 섣부른 대안 제시보다는 우선 ‘지금, 여기’에 대해 더 탐색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후자는 친일잔재 청산과 봉건주의 및 국수주의 타파를 새로운 문화건설의 목표로 삼고 노동자와 농민을 중심으로 하되 지식인은 물론 대부분의 부르주아까지도 포괄한 ‘인민-민족’을 구상했다. 획일적 균질 성이 가진 위험성과 다양성의 유기적 통합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비판적으로 지적되기도 했던 당파성 상실은 오히려 이들 논의가 지닌 장점일 수도 있다 하겠다. Ⅳ장에서는 민족 구성 기획의 문학적 형상화 문제를 살펴보았다. 인간이 발 딛고 있는 사회․현실을 인정하지만 인간에게는 그것을 넘어설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현실 영역 보다 우월한 영역으로 정신의 영역을 설정하는데 바로 이 고매한 인간 정신을 통해 보편적 문학이 가능하다고 본다. 보편적 인간으로서의 민족을 기획했던 이들은 인간성 옹호를 추구하는 “본령정계(本領正系)의 순수문학”을 주창한다. 이러한 입장과는 달리 현실과 문학 중 전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이상적 미래를 성취하는 것이 언어를 고민하고 문학적 완성도를 고민하는 것 보다 우선시된다. 이 경우 문학은 이상적 미래를 위해 복무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구적(工具的) 문학”에 가까워진다. 자본주의적 근대 극복을 목적으로 전위계급으로서의 민족을 구상했던 이들은 혁명적 로맨티시즘의 강화나 고상한 리얼리즘 등을 통해 그 극단적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논의는 공히 근대 거부나 초극을 말하였으나 한편 예술과 현실을 분리하는 근대적 예술관을 드러내고 있다. 개별자적 자기인식 속에서 민족을 고민했던 일련의 흐름들은, 극단적 대립을 피하려는 시도로 문학을 통한 정치적 입장의 피력보다는 작자의 눈에 비친 현실의 탐색을 강조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당파성 논리와는 달리 당대 현실의 과제에 대해 ‘인민-민족’ 으로 대응했던 이들 역시 미적 자율성과 문학의 정치성이 혼재된 양상을 보였다. 진보적 리얼리즘과 혁명적 로맨티시즘이라는 대전제는 소위 좌파 전체를 아우르는 것이지만 그 이해와 강조점은 미묘한 차이를 갖고 있다. 보편적 인민으로서의 민족을 구상하고 그 범주를 놓고 고민했던 이들은 문학 창작의 문제에 대해서 역시 목적으로 지향하는 바와 그 현실적 방법론 사이에서 회의와 균열을 보였다. Ⅴ장에서는 해 방기 문학 비평에 나타난 민족 담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며 그 한계는 무엇인가 하는 점을 검토하고자 했다. 해 방기 비평가들은 부재하는 국가와 주권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직면해 일제히 새로운 문화와 그 주체로서의 민족을 말했다. 동일한 약호를 내세웠음에도 그 입장은 확연히 달랐는데, 이는 외적 논리에 기인한 것만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근대와 그 속에서의 문학 및 그 역할에 대한 서로 다른 논리에도 기반하고 있었다. 이들이 보여준 다양한 민족 담론들은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문제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다만 문학과 현실의 관계 속에서 그 문제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천착하기에는 급변하는 정세아래, 주어진 시간이 너무 짧았다. 해 방기 문학 비평에 나타난 민족 논의는, 국가를 건설하고 비평 담론을 선도해나갈 서로 다른 집단적 주체성 즉, 주권 체(主權體)의 구상으로 정리된다. 이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그 자체에 대한 현실적 모색보다는 하나로 모아지는 주권 체 즉, 일자 주권(一者 主權)의 추구로 기울어지게 된다. 사실 해방 기 문학은 “씌어진 문학이 아니라 씌어지고자 하는 싹을 무 성히 보여준, 부재하는 문학에 많은 의미가 고여 있는 형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혼자라는 보편적 조건 아래에서 새로운 구조 창출이 절실해진 현재, 새로운 국가 및 문화를 구성하기 위한 치열한 고민을 보여주었던 이들의 논의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당시 제기된 논의들 속에서 발견되는 문제의식들은 이후 문학사 속에서도 주요 의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진 새로운 국가와 문화 건설을 위한 주체의 모색이나 그 과정에서의 균열 등을 통해 근대의 수용과 극복에 대한 기대 그리고 공통성에 대한 고민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