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외교문서의 종류와 형식 -5세기 남북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찬우(Park, Chanu)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9

        이 글에서는 5세기 백제와 남북조의 관계를 중심으로 백제 외교문서의 종류와 형식을 검토했다. 백제왕 책봉에 있어 발급된 임명문서로는 冊封詔書와 冊書, 誡勅의 3종이 있다. 이 중 책봉조서는 그 자체가 아니라 尙書省의 符에 첨부되어 백제에 전달되었다. 한편 백제와 남북조가 평상시에 주고받은 왕래문서로는 慰勞詔書와 表文이 대표적이며, 중국왕조의 물품 사여에 있어서는 勅이 발급되기도 했다. 이상의 외교문서는 명분상 君臣關係와 관련된다. 백제가 남북조와 군신관계와 관련된 문서를 주고받은 배경으로 당시 국제관계에서 통용된 일반적인 문서가 조칙과 표문이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백제가 일찍부터 중국 세력과 접촉한 결과 형성된 중국계 관인이나 한자·유교문화도 내적인 배경으로 거론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diplomatic document itself was examined, which is a premise for investigating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Baekje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using diplomatic document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plomatic documents such as biǎowén and zhàoshū(詔書) that Baekje exchanged with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re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the vassals(君臣關係).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Baekje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ctually formed a political hierarchy, but that Baekje intentionally took a low stance towar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order to achieve its intended purpos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Baekjes low attitude towar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and the actual intention of Baekje should be noted.

      • KCI등재

        백제 동성왕대 대남제 외교전략

        박찬우(Park, Chanu)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5

        이 글에서는 동성왕대 대내외 정세를 고려하면서, 당시 백제가 어떠한 방식으로 남제에 접근하였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남제서』 백제전에 실린 표문을 중심으로 외교전략의 문제에 주안점을 두었다. 표문을 살펴보면, 동성왕은 신하들에게 임의로 수여한 관작을 남제로부터 승인받고자 하였다. 그 요청 사유는 대중사행 및 獫狁을 물리친 공로였다. 獫狁의 실체에 대해서는 그간 북위 혹은 고구려로 보는 등 많은 논의가 있었다. 그렇지만 표문은 남제 황제가 읽을 것을 전제로 하여 작성된 것이며, 당시 남제는 북위를 獫狁에 비견하였다. 이를 감안하면 그 실체는 차치하더라도 표문에서 獫狁은 북위를 지칭한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당시의 국제정세나 『위서』에 관련 사실이 전무하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표문에 기록된 북위의 침입이 사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신하들이 세운 모종의 공로가 북위와의 전투에서 세운 전공처럼 분식되었다고 생각된다. 동성왕은 표문에서 신하들의 대중사행의 공로를 거론하였는데, 이는 백제가 남제의 충실한 번국임을 강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獫狁의 침입 격퇴에 관한 것도 남제의 번국으로서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여 왔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라 생각된다. 당시 백제는 북위에 대한 대항의식을 드러내면서 남제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자 했다. 이를 통해 남제로 하여금 백제를 중시하게 만들고,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려 했을 것이다. 남제는 북위와의 관계에서 열세에 놓여 있었고, 남북조의 대립도 다년간 지속되었다. 백제는 이러한 국제정세를 이용하여 남제에 접근하는 외교전략을 구사했던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diplomatic stratergy with the diplomatic documents of Paekche Annals of Nan Ch’i shu as the center, considering th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 during King Tongsǒng’s period of reign(479-501). As the diplomatic documents have shown, Tongsǒng desired Southern Ch’i to recognize the temporary chinese titles of his loyal retainers, which was granted by Tongsǒng. The reason for request was brilliant exploits by Tongsǒng’s envoys to Southern Ch’i and generals who win a war against Xiǎn Yǔn(獫狁). There were many opinions about Xiǎn Yǔn, and some research regarded Xiǎn Yǔn as Koguryǒ or Northern Wei. But it’s most likely Northern Wei in the diplomatic documents putting aside arguments about the true nature of Xiǎn Yǔn, because the diplomatic documents was written for the emperor of Southern Ch’i and Xiǎn Yǔn was an opprobrious word about Northern Wei in Southern Ch’i. However, as a matter of fact, it’s not quite sure about the Northern Wei invasion of Paekche in the late 5th century, because there is no mention about it on Wei shu, Northern Wei’s history book, and it’s difficult to find the main cause of the invasion judging from the circumstances at that time. It’s also doubtful about the lacks of specific war situation and dates on the diplomatic documents. To sum up, regarding the Northern Wei invasion of Paekche on Nan Ch’i shu as a fact can be doubtful, instead of that, it seems that some of the merits made by Tongsǒng’s retainers has been fabricated as if they distinguish themselves in a battle against Northern Wei. Tongsǒng mentioned merits made by envoys to Southern Ch’i on diplomatic documents to emphasize Paekche as a loyal feodary of Southern Ch’i. It is also believed that Northern Wei(Xiǎn Yǔn) invasion of Paekche on diplomatic document was a symbolic indication that Paekche engaged in military duty as a loyal feodary. Paekche attempted to establish a close relationship with Southern Ch’i by showing overt hostility to Northern Wei, which led to make Southern Ch’i value the relationship with Paekche and by doing so Paekche can accomplish the intended goals, because Southern Ch’i is weaker compared to Northern Wei in Chinese continent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Paekche used a diplomatic strategy to gain access to Southern Ch’i.

      • KCI등재

        한성기(漢城期) 백제의 장군호(將軍號) 활용 배경과 정치적 의미

        박찬우 ( Chanu Park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한성기 말 백제왕은 신하들에게 장군호를 假授하고 이를 劉宋에 알려 정식으로 승인받았다. 이러한 假授 및 除正 요청은 백제왕이 책봉을 통해 장군호를 지니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것은 중국에서 장군호를 수여받은 인물들이 開府하여 府官을 두고 그들을 장군으로 加官하거나 郡縣 장관직에 보임시킨 것과 흡사하다. 물론 백제에서 軍府가 실제로 설치된 것은 아니었다. 다만 백제왕은 ‘장군’이라는 대내외적으로 공인된 지위를 능동적으로 활용하였을 뿐이다. 이 같은 假授·除正을 통한 장군호 활용은 당시 중국 주변국 중에서 백제와 倭에서만 확인되며, 백제의 장군호 활용이 倭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백제는 중국 왕조의 책봉을 계기로 장군호를 활용했지만 그것은 백제가 중국 왕조의 제후국이기 때문은 아니었다. 백제에는 이미 고유의 관제가 있었기 때문에 北魏의 ‘承制假授’權 부여 사례와 같이 책봉을 계기로 중국의 관직을 설치한 것은 아니었다. 백제왕은 자신의 ‘장군’ 책봉을 계기로 내부적 필요에 의해 장군호를 활용했다. 백제에서 장군호는 한성기 말에 활용되기 시작했다고 판단된다. 왕권이 약화되었거나 혹은 정국이 불안정했던 시점에 국왕의 위상을 높이고 그 지지세력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이유 등 주로 왕권강화와 관련하여 장군호가 활용되었다. 백제에서 중국의 장군호를 정치적으로 활용한 것은 백제사회 전반에 중국제 물품 및 중국 관작에 대한 우호적 인식이 있었던 점과 관련되며, 또한 중국 관작이 정치적으로 효용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King of Baekje temporarily appointed his courtier as general(將軍), which is chinese public office, and received formal approval from the Liu-Song(劉宋) after reporting of the appointment of his courtier to the Chinese dynasty during the last stage of Hanseong Period(漢城期). The temporary appointment of courtier(假授) and the formal approval(除正) by the Chinese dynasty was related to general-title(將軍號) of king of Baekje. King of Baekje got the title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with the chinese dynasty.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was very similar to the appointing general(將軍) and Taishou(太守) of subordinates(府官) by the lord(high ranking general) who``s the chief of general division(軍府). Of course, the general division did not exist in Baekje. Merely, king of Baekje utilized general-title in the capacity of his general-title that was recognized officially by the chinese dynasty.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through the temporary appointment of courtier and the formal approval appears only in Baekje and ancient Japan(倭), and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Baekje’s influence to ancinet Japan in utilizing general-title. Although the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was possible thorough the Tributary System, it doesn’t mean that Baekje was royal class nation of Chinese dynasty. There was a unique public office system in Baekje. Because of that, there’s no need to accept chinese public office system through the Tributary System. King of Baekje utilized general-title only under the internal necessity. In Baekje, general-title was utilized from the last stage of Hanseong Period. General-title was mainly utilized in connection with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in a very difficult time that royal authority was weaken or political situation was unstable. In that hard times, general-title was utilized with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status and of supporters group of the kingship. The political utilization of general-title in Baekje had a connection with the traditional sense of closeness about chinese goods and public office system in Baekje society at large, and it was possible under existence of the political usefulness of the chinese public office in Baekje socie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