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 後期 鄕校의 靑衿儒生과 在地士族의 動向 : 羅州 『靑衿案』 分析을 中心으로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조선후기 향촌사회 권력구조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재지사족 중심의 사회지배체제가 18세기 이후에는 크게 바뀌어 갔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18세기 이후 사족지배체제는 더욱 강화되어 갔다는 견해도 있다. 아직까지는 어떤 견해가 확실히 옳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특정 시기 특정 지역에 대한 보다 많은 지역적 사례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나주의 청금안을 중심으로 재지사족의 실태와 동향 그리고 추이를 사례 연구로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주의 청금안을 살펴보면 1713년 『계사안』에서 1892년 『임진안』까지 입록되어 있는 유생의 총 수는 3,062명이다. 이 중 입록인원이 100명 이상인 주요 성씨는 순서대로 李, 金, 鄭, 羅, 柳, 林, 吳, 崔씨 등이다. 이들 여덟 성씨를 합한 인원이 2,509명으로 전체 입록인원의 81.93%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성씨는 전통적으로 나주를 지배해 왔던 주요 성씨들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결국 나주의 지배층을 이루고 있던 재지사족들이 청금 안에서도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청금유생으로 입록될 수 있는 자들은 나주에서 재지사족으로 상층 지배성관이라는 것이다. 다음으로 19세기 이후의 청금안 자료를 살펴보면 시대가 지날수록 다양한 성관과 인물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향촌사회 지배 세력인 양반 사족의 외연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향촌 사회 지배세력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나주를 본관으로 하는 토성 중심의 전통적 지배성관이 여전히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질적으로 지배 사족의 위상은 크게 흔들리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한편으로 이러한 청금유생과 과거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마시나 문과에 많은 합격자를 배출한 성관과 청금안에 많이 입록되어 있는 성관이 거의 일치하고 있다. 이는 과거 합격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공고히 했던 유력 지배 성관이 조선후기로 갈수록 청금안에 입록하여 향교를 장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국 나주를 지배해 왔던 주요 재지사족의 위세와 비중은 결코 줄어들지도 크게 변화하지도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촌 사회를 지배해 왔던 재지사족들은 시대가 흐르면서 향리층을 비롯한 향족들의 도전 속에서 보다 다양한 세력을 끌어들여 그 지배세력의 범위는 확대하였으나 그 주도권은 잃지 않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were many changes in power structure of country societ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nobility(Yangban) who controlled country society strived to keep their vested rights, and a national country school(HyangKyo) achieved fixed function for their effort. The nobility also made a draft of ‘ChungkumAn(靑衿案)’ of HyangKyo to strengthen their vested rights and solidarity. The study of the country nobility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has antagonism between durability and variability of social position related to a status system. Therefore, certain regional and periodic case study is more demanded than researcher’s subjective opinion. This study tries to grasp existence aspect and transition of the nobility who controlled the vested rights centering around ‘ChungkumAn’ of HyangKyo in Naju area. ‘ChungkumAn’ means list of a student to Confucianism. Therefore, listed in this ‘ChungkumAn’ was the list of the nobility who study to Confucianism in Naju HyangKyo in that time. Analyzed results of 'ChungkumAn' written in 18th century are listed below. This study found that listed individual ages are minimum 22 and maximum 49. When they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ir name was eliminated from ‘ChungkumAn’. and their record of applying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all ‘YouHak'(幼學). Furthermore, government post of their farther who already passed away was recorded as all ‘HakSang’(學生). Analyzed result of references written after 19th century is that number of individual and family name increased as time went by. Record of 1892 listed 233 individuals and 38 family names. After that 430 individuals and 69 family names in 1912, 582 individuals and 75 family names in 1930, and 936 individuals and 97 family names in 1941. This shows that the nobility who controlled power in country society expanded as time went by. This means that there was changes in controlling force in country society. However, in careful examine, there were not much of changes or decreasing of major family which controlled Naju area. After all, The family of nobility which controlled country society expanded their sphere of force structure, but they never lost their leadership.

      • KCI등재

        19世紀 朝鮮 慶尙道 烽燧와 備置物資 硏究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9 No.-

        이 연구는 이제까지 확인된 총 10개소 봉수의 비치물목 이외에 새롭게 확인되는 경북지역 봉수의 비치물목을 중심으로 19세기 조선시대 경상지역 봉수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봉수 연구에 활용되지 않았던 重記 자료 통해 19세기 봉수의 실상을 파악해 보고자 한 것이다. 重記는 관아에서 보유하고 있는 물품의 현재 상태를 기록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重記 자료는 특정 시기의 지역 상황을 가장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女東鎭의 『重記』 속에 들어 있는 안동의 「六山烽坮汁物」, 풍기의 「烽坮汁物」, 의성의 「五烽坮汁物」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경상도 女東과 義城 그리고 豊基 지역의 『重記』 자료에서 烽遂의 비치물목을 확인하였다. 이 자료들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제까지의 연구에서 밝혀졌던 내용들을 재검토하고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역적으로 경상북도 봉수와 내지봉수의 연구를 보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ignal-Fire and Equipment on Kyungsang Province in 19th Chosun Dynasty. In particular, I wanted to identify the Equipment of the Signal-Fire. There are a total of 10 place in which the Equipment of the Signal-Fire have been confirmed so far.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situation of the Equipment of the Signal-Fire in 19th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Jung Gi’ data.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Jung-Gi’ data that can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Signal Fire at that time. The ‘Jung-Gi’ data is a statement of the financial records and materials of the local government register and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e of possession and expenditure of various items, and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sent state. ‘Jung-Gi’ data can be said to be very valuable because it can grasp the local situation at a certain time in the most detailed way. Among the Materials of ‘Jung-Gi’ used in this study, there are 「Yuksan Bongdaezupmul」 of Andong and 「Bongdaezupmul」 of Punggi and 「OBongdaezupmul」 of Uiseong.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quipment of the Signal-Fire in Andong, Punggi, Uiseong on Kyungsang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allowed us to review and verify the content of existing studies.

      • KCI등재

        朝鮮 末期 ‘重記’ 資料를 통해 본 安東鎭과 그 屬邑의 軍備 實態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5 No.-

        이 연구는 조선 말기 지방의 군비 실태를 ‘重記’ 자료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조선 말기 조선은 세도정치의 폐해와 민중의 저항이라는 대내적 문제와 외세의 침략이라는 대외적 문제에 대응해야만 했다. 이러한 대내적·대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 군사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조선왕조가 대내외적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일제의 식민지가 될 수밖에 없었던 여러 원인 중의 하나는 바로 군사력이 미약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당시 조선의 현실을 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군비 실태가 어떠했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고는 당시의 지방 군비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서 ‘重記’에 주목하였다. 조선시대 重記 자료는 관아에서 보유하고 있는 금전 및 여러 물품의 수납, 지출 등의 변동 상황과 그 현재 상태를 기록하는 회계장부 또는 물품조사서이다. 重記는 특정 시기의 지역 상황을 가장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어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重記 속에는 군비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重記 자료를 활용하여 조선말 지방의 군비 실태 중에서도 특히 慶尙道 安東鎭과 그 屬邑의 軍備 實態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당시 지방에는 궁시류, 화약무기, 창검류, 기타 무기류, 기치류, 취타류 등 다양한 군비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 군비는 어느 정도 규정에는 부합하게 갖춰져 있었다고 보여 진다. 하지만 이는 형식적 측면이었고 그 실제는 부실한 상태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실제 보유 숫자가 줄고,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 것들이 많아지고 있었다. 이렇듯 군기 실태가 부실해지고 있다는 것은 지방군의 상태가 부실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국방력 전체의 약화를 의미함과 동시에 국가의 지방통제력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조선정부가 조선 말기로 갈수록 커져가는 민란과 외세의 침략에 대응할 수 있는 힘을 상실해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방군의 약화가 결국 체제유지기능의 상실로 이어지면서 조선왕조는 무너져갔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내부 변란과 외부 침략을 막을 수 있는 군사적 힘을 상실한 국가가 유지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situation of armaments in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Jung Gi" data. At that time, the ChoSun Dynasty had to deal with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The most basic way to resolve thes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was military response. In the end, one of the many reasons why the ChoSun Dynasty could not overcome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and became a colony of Japan would be the weak military power.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ChoSun Dynasty right now, there is a need for empirical research on what the actual situation of armaments was.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Jung-Gi’ data that can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local armaments at that time. The ‘Jung-Gi’ data is a statement of the financial records and materials of the local government register and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e of possession and expenditure of various items, and the record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sent state. And ‘Jung-Gi’ data is abundant contents in the ‘Jung-Gi’ data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rmaments related to this paper. This study explored the actual situation of armaments in Andongjin and the other towns in Kyungsangdo. There were various armaments such as bows and arrows, gunpowder weapons, spears and swords, other weapons, and flags in the region at that time. These armaments are believed to have been equipped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formal aspect and the fact was in a poor state. Especially, as time passed, the number of real possession was decreasing. Also, there were many things that were not able to be used because they were not properly managed. The fact that the armaments are in such a bad condition shows that the status of the provincial army is becoming poor. This means a weakening of the whole national defense force and also a weakening of the state "s local control power.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 Chosun government was losing its power to cope with grow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blems as the country became closer to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end, as the weakening of the provincial army led to the loss of the system maintenance function, the ChoSundynasty could be said to have collapsed.

      • EV 구동용 WFSM의 최대 효율 제어를 통한 효율 개선

        박진철(Jin-Cheol Park),차경수(Kyoung-Soo Cha),채승희(Seung-Hee Chai),홍정표(Jung-Pyo H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5 No.11

        This paper presents a control method in the main drive section to improve efficiency of Wound Field Synchronous Motor (WFSM) for electric vehicle (EV) traction. However EV is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nd innovative, short mileage of the EV is a big problem. To overcome this weakness, the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raction motor is in progress. The efficiency of motors can be enhanced using two methods, optimal shape design method and control method. Although optimal shape design method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raction motor, there is a limit in shape change of motor due to its restricted space. For this reason, it is essential to improve efficiency using the control method. This paper compares two methods for advanced efficiency, Maximum Torque Per Ampere (MTPA) control and maximum efficiency control method using efficiency map. As a result, maximum efficiency control method promotes the better efficiency of EV traction motor than MTPA control method, while satisfying the rated output of WFSM for EV traction in the main drive section. This paper especially shows enhancement of efficiency in low speed range.

      • KCI등재

        19世紀 朝鮮 ‘解由文書’와 ‘重記’를 통한 慶尙道 陜川郡의 軍備 實態 硏究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3 No.-

        19세기 조선시대는 위기의 시대였다. 국내적으로는 민란과 같은 저항이 계속되었고, 국외적으로는 서양세력의 외압이 가중되고 있었다. 이러한 국내외적인 위기 속에서 조선이 갖고 있던 군사적 대비 실태를 정확히 아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이 논문은 19세기 조선시대 지방의 군비 실태를 解由文書와 重記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구체적 사례 연구로서 1827년 「陜川郡守解由」 문서와 1886년 『陜川郡各房都重記』를 검토하였다. 당시 그 지역에는 다양한 군비들이 있었다. 이러한 군비들은 규정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그것은 형식적인 측면이고 실제 상황은 좋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군비 상태가 이처럼 좋지 않다는 것은 지방군의 위상이 나빠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당시 조선의 국방력과 지방통제력이 약화되어가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ilitary situation in the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Haeyu documents” and “Jung Gi” data. The 19<SUP>th</SUP> century Chosun Dynasty was a time of crisis. Domestically, resistance such as civil turmoil continued. Outside the country, external pressure from Western forces was building up. Military response is the most basic way to solve thes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Th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Chosun, the need for empirical research on what the military situation was like emerg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aeyu Document’ and ‘Jung Gi’ as data that could identify the status of local military expenditures at the time. ‘Haeyu Document’ and ‘Jung-Gi’ data can be said to be very valuable because it can grasp the local situation at a certain time in the most detailed way. In particular, the ‘Haeyu Document’ and ‘Jung-Gi’ data contain a wealth of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state of armaments related to this paper.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paper explored the actual situation of armaments in Hapcheongun in Kyungsangdo. What can be seen through this was that there were various armaments in the provinces at the time. These military equipment were, to some extent, found to have been in compliance with the regulations at the time. However, this was a formality, and we could confirm that it was in poor condition. This also means that Joseon’s defense and regional control were weakening at the time.

      • KCI등재
      • KCI등재

        人物史 敎育을 위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分析 硏究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8 No.-

        이 논문은 인물사 교육을 위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를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다 인물사란 역사적 . 인물을 통해 그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문제 제1회~31회까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분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시대별, 분야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시대는 선사시대, 고조선시대, 연맹왕국시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 일제강점기, 현대로 나누었다. 분야는 크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통합 문제로 나누었다. 유형별로는 왕과 왕족, 정치가, 군인, 민족운동가, 학자, 예술 문화인, 종교인, 외국인, 일반인, 여성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검토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역사인물 선정 기준과 방법을 탐구하였다. 이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등장하는 여러 역사인물들을 분석함으로서 인물사 교육을 위한 구체적 내용과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paper is study on Korean history Competence Test. This is for teaching of personage. History of the personage is intended to identify those epoch through a historical figure. I analyzed the Korean history Competence Test for this study. First of all, I was setting standards to this study. And I divided them by epoch, sector and type. The Age is divided Prehistoric Age, Gochosun Age, the kingdom League Age, Three Kingdoms, North-South States Period, Later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Choson Dynasty, Modern Age, Japanese occupation, Present age. I divided into sector with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integration issues. And I divided the social status that is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politicians, soldiers, ethnic activists, academics, the arts, culture, religion, foreigners and the general public, women. I provide standards that selected the historical personang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nally, I found the specific information and plans for teaching of personage and learning of personage.

      • KCI등재

        학습자 선호 인물 분석을 통한 한국사 교육 개선 방향 연구

        박진철(Park, Jin-Cheo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2 No.-

        이 논문은 인물사 학습을 통한 바람직한 한국사 교육 방향을 탐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사 속 인물들 중 학습자가 선호하는 인물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한국사 관련 수업을 들은 대학생 2,430명이 제출한 보고서를 연구의 바탕으로 삼았다. 2015년 2학기부터 2017년 1학기까지 한국사 관련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에게 한국사 속 인물 중 한 명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이 그 역사 인물을 선택하게 된 이유와 그 인물의 업적을 설명한 후 그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도록 한 보고서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선호하는 한국사 인물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보고서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시대적으로는 조선시대 인물들이 주로 선택되었다. 분야별로는 정치 분야 인물이 가장 많이 선택되었으며, 유형별로는 왕과 왕족 그리고 정치가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학생들이 특정 시대와 특정 분야, 특정 유형의 역사 인물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학생들의 선호에 TV나 영화와 같은 대중매체와 지금까지의 역사 교육의 편중성이 작용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역사 인물 선호와 인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다각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hrough historical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was based on a report submitted by 2,430 college students who took classes related to Korean history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o the first semester of 2017. First of all, I asked student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Korean history to choose one of the people in Korean history. Then he have to try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character, the achievement of the figure, and the revaluation. Through this report, I was able to understand what students preferred which history characters. The analysis result of these reports is as follows. In the times, a people of the Chosun Dynasty were mainly selected. By sector, politics were the most popular. By type, king, royal, and politician were the most popular. These results show that students prefer a specific age, a specific field, and a particular type of historical personality. The preference of students" historical personages was influenced by TV, movies, and history education. Therefore, we sought ways to improve the problem of students" historical personages preference. The wa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and educate people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along with political figur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history of the general public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ruling class and women. And then,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and educate foreigners related to Korean history. In conclusion, diversity of learners" preferences should be more actively sought and reflected in education.

      • KCI등재

        朝鮮時代 郡縣重記와 等內重記, 解由重記와 解由文書의 比較 檢討

        박진철(Park, Jin-Ch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80 No.-

        이 연구는 중기(重記) 중에서 지방 군현에서 작성된 자료들을 살펴본 것이다. 지방의 중기자료는 크게 군현중기(郡縣重記) · 등내중기(等內重記) · 해유중기(解由重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군현중기는 특정 군현에서 규정에 따라 일정 시기에 작성되었다. 이는 각 직임의 향리들이 군현의 재정과 각종 물품 현황 등을 파악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등내중기는 군현중기 중에서 특정 수령의 재임 시기에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해유중기는 관리의 교체 시에 해유(解由)의 목적을 가지고 작성된다. 이는 이미 작성되어 있는 군현중기를 토대로 향리(鄕吏)들이 작성한다. 이 해유중기를 가지고 후임관은 전임관의 해유문서(解由文書)를 작성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중기는 각 군현에서 매년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속적으로 작성된다. 이것이 군현중기이다. 그리고 이 군현중기를 특정 수령의 재임기에 한정하면 등내중기가 된다. 이 등내중기는 수령의 교체 시에는 해유중기로 기능하게 된다. 이 중기는 각 군현에서 향리들이 작성하고 관리하였다. 그렇기에 중기(重記)는 각 군현에서 향리들이 정기적으로 작성하여 보관하는 원본(原本)에 해당하는 것이 있고, 이를 바탕으로 군현중기 · 등내중기 · 해유중기 등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다. In the Joseon Dynasty, ‘Junggi(重記)’ is a very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situation of local administration and finance and for understand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state. This study examines the materials prepared in the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during this Junggi. Regional Junggi data can be broadly divided into Gunhyeon-junggi, Deungnae-junggi, and Haeyu-junggi. First, the Gunhyeon-junggi was written at a certain period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in a specific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is is written by the Hyangri of each office after grasping the finances and the status of various goods of the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Second, Deungnae-junggi is a summary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enure of a specific leader among the Gunhyeon-junggi. Third, the Haeyu-junggi i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haeyu in the case of a change of management. These are written by the Hyangri based on the already written Gunhyeon-junggi. The successor officer will write the resignation document of the previous officer with this Haeyu-junggi. In conclusion, the Junggi is continuously written annually or at regular intervals in each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is is the Gunhyeon-junggi. And if this Gunhyeon-junggi is limited to the term of office of a specific leader, it becomes a Deungnae-junggi. This Deungnae-junggi will function as a Haeyu-junggi when the leader is replaced. This Junggi was written and managed by Hyangri in each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Therefore, there is a thing that corresponds to the original book, which is regularly prepared and kept by hyangri in each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based on this, the Gunhyeon-junggi, Deungnae-junggi, and Haeyu-junggi were cre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