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莊子』를 통한 도가적 관용론 구성에 대한 연구

        박준웅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3 인간과자연 Vol.4 No.1

        Toleration presupposes denial towards a object of toleration. However, toleration is not limited to a mere act of denial. Tol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act of denial, adds an additional denial of any form of realization of the initial act of denial towards the object of toleration. The peculiarity of the act of toleration lies in the simultaneous practice of these two forms of denials. In other words, the the first form of denial, in the sense that you cannot accept the behavior or ideology of the object of toleration as your own, and the second form of denial, the denial toward the realization of the initial denial, compose the act of tol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denials of these two forms, which the author argues as an element representing the specificity of toleration, in Zhuangzi's work 『莊子』.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s four stories in 『莊子』 as examples. Through this, the author concludes that in 『莊子』, there are ample evidences showing the Daiosm in 『莊子』 should be regarded as a philosophical system qualifying itself as a tolerant. In addition, the author suggests to use the method of tracking the presence of specific elements of toleration within a specific theoretical system as a primary means of identifying whether a specific theory is tolerant. 관용은 특정한 대상을 향한 반대를 전제로 한다. 하지만, 관용은 단순한 반대의 행위에 머물지 않는다. 관용은 관용의 대상에 대한 반대를 유지하면서, 이에 더해 관용의 대상을 향한 반대가 어떠한 형태로든 실현되는 것을 다시금 반대한다. 관용이라는 행위의 특수성은 관용의 대상을 향한 두 가지 형태의 반대가 동시에 실천된다는 데에 있다. 즉, 첫 번째 형태의 반대인 관용의 대상의 행동이나 이념 등을 자신의 행동이나 이념 등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미에서의 반대와, 두 번째 형태의 반대인 관용의 대상을 향한 반대가 실현되어 관용의 대상을 제한하는 것을 거부하는 반대가 동시에 실천되는 행위가 관용인 것이다. 논자는 첫 번째 반대의 속성으로 행위자의 숙고와 자율성에 주목하고, 두 번째 반대의 속성으로 첫 번째 반대에 대한 의존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자는 이를 관용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형식적 요소로 간주하며 이 두 가지 반대를 각각 숙고된 자율적 반대와 의존적 반대가 부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논자가 관용의 특수성을 대변하는 요소로 주장하는 이 두 가지 형태의 반대를 장자의 저작인 『莊子』에서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자는 『莊子』 등장하는 세 가지 이야기를 사례로 그 안에 숙고된 자율적 반대와 의존적 반대가 발견되는지를 검토해보았고, 그 결과 검토한 사례에서 관용의 핵심적인 요소인 두 가지 형태의 반대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논자는 『莊子』가 전개하는 도가 철학을 관용적인 철학으로 간주할 일차적인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莊子』의 사례를 검토하는 데에 사용한 방법, 즉 특정한 이론체계 안에서 관용의 특수한 형식적 요소의 유무를 추적하는 방법을 특정 이론이 관용을 허용하는지를 파악하는 일차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KCI등재

        레싱의 『현자 나탄』에 제시된 다종교 간 관용의 근거 분석 : 존 로크의 『관용에 관한 편지』에서 제시된 논증과의 비교를 통해

        박준웅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9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Gotthold Ephraim Lessing, 이하 레싱)은 그의 희곡 『현자 나탄』을 통해 다종교 간 상호 관용의 근거를 제공한다. 다종교 간 상호 관용의 근거는 희곡 안에 등장하는 반지 이야기에서 집약되어 제시되는데, 반지 이야기는 예루살렘의 군주인 살라딘이 던진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극중 등장인물인 나탄에 의해 제시된 것이다. 살라딘이 제시한 난제란 유대, 이슬람, 기독교 중 어떤 종교가 합당한 근거에 기초하여 진실된 종교인지를 묻는 것이었다. 레싱은 반지 이야기를 통해 특정한 종교를 유일하게 진실된 종교로 만드는 합당한 근거란 인간의 인식 능력 너머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특정한 형태의 인식적 회의주의 안에서 구성되며, 이러한 인식적 회의주의는 다양한 종교 간의 상대적 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인식적 능력을 이성이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을 주장하며 다종교 간 상호 관용의 자세를 종용한다. 논자는 본 연구를 통해 레싱의 희곡 『현자 나탄』에서 등장하는 반지 이야기가 함축하고 있는 종교적 회의주의의 태도를 분석하고 이를 계몽주의 철학자인 존 로크의 『관용에 관한 편지』에서 제시되는 종교적 회의주의의 주장과 비교하고자 한다. 논자는 이러한 비교작업이 『현자 나탄』의 문학적 의의를 철학적 성과로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관용의 구성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박준웅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4 No.-

        It is fair to say that there is a shared common understanding among the philosophers studying the topic of toleration of what is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practice of toleration. That is to say that there is a common understanding of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e of toleration, and of what actions we call them as the examples of toleration. Concurrently, however, there is an intriguing fact that there is a lack of common understanding of what is the legitimate motive justifying the practices of toleration; we know what is a practice of toleration, yet we don't have any shared understanding of by what motive a practice of toleration can be actualized. This is a serious obstacle for defining a universal concept of toleration as the task for establishing the universal concept of toleration inevitably requires the presence of a commonly shared understanding of motive for toleration. Thus, every philosophical labor intending to deduce a universal concept of toleration necessarily needs to present the answer for what strategy it will be used in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lack of common understanding of the motive. This article hopes to deliver one solution to this problem by suggesting a specific way of approaching the topic; analysi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oleration. Close analysi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oleration reveals several noteworthy knowledges of toleration, which I believe not has been received proper attention. As a result, the analysis will deliver an answer to the possibility of a universal concept of toleration. 관용의 기술적 설명에 대한 합의는 충분한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 우리는 어떠한 행위를 관용이라 부르며, 관용의 행위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충분한 공통된 이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관용에 대한 기술적인 설명 외에 관용의 동기, 즉 어떠한 이유로 우리는 우리가 명백히 반대하는 사상이나 행위, 혹은 특정한 대상의 존재를 간섭하지 말아야 하는 가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전무하다. 이러한 관용의 동기에 대한 합의의 결여는 관용의 보편적 정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시도에 커다란 장애물이 아닐 수 없다. 관용의 보편적 정의, 다시 말해 관용의 다양한 예들을 모두 포괄하여 설명해 줄 수 있는 정의의 가능성은 관용의 동기에 대한 특정한 공통된 이해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용의 보편적인 정의의 작업은 이러한 관용의 동기에 대한 합의의 결여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해야 한다. 본 논문은 관용의 구성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관용의 보편적 정의의 가능성에 대한 특정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의 인구문제와 경제발전

        박준웅 군산대학교 1969 群山水産專門大學 硏究報告 Vol.3 No.1

        The population problem confronting the world to day is overwhelmingly pressing not so much because of underpopulation as because of overpopulation. Overpopulation gives rise to food shortage as well as economic poverty,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unemployment problem. Popuation in Korea already surpassed 30,000,000 in 1967, and is increasing at the annual natural growth rate of a whopping 2.7 percent. This kind of drastic population growth rate in the underdeveloped contrg largely accounts for the food shortage, poverty, and unemployment, economically as has been counted up above. Since this constitutes a strong factor of impeding economic development, it is desirable to work out policy in the following manner : 1. A thorough birth control measure should be implemented as regards unborn infants fetus. A long-term measure against population growth such as a positive emigration policy, and export of manpower should be promoted. 2. Surplus population in rural community should be channeled into secondary industry· to rectify the existing imbalance in industrial structure. 3. Employment opportunity should be provided to temporary unemployees in agricultural sector, a phenomenon common to all underdeveloped countries in terms of employment and unemployment, in order to promote increased production, the formation of capital, and to enhance the living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