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선천성 두개안면 기형을 동반한 양막대증후군 1 예

        영길(Young Kil Park),지청수(Chung Soo Ji),홍성연(Sung Yun Hong),박정돈(Jung Don Park),한치동(Chi Dong Han),고석봉(Suk Bong K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12

        The amniotic band syndrome is a collection of congenital deformities presurmably due to rupture of amniotic sac. It appears to cause fetal injury through three basic mechanisms including malformation, disruption, and deformation. The associated anomalies vary firom minor digital defect to major craniofacial and visceral defects. They can be categorized as neural tube-like defects, craniofacial anomalies, limb anomalies, abdominal and thoracic wall defects, visceral anomalies, and constriction bands. We had expericnced a case of severe congenital craniofacial anomaly due to amniotic bands diagnosed by ultrasonogram in the antenatal period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부에서 경구당선별검사의 임상적 의의

        김선동(Sun Dong Kim),영길(Young Kil Park),김영기(Young Ki Kim),한재수(Jae Soo Han),박정돈(Jung Don Park),허창규(Chang Kyu Huh),한치동(Chi Dong Han),고석봉(Suk Bong K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임신성당뇨병은 임신 중에 발생되거나 처음 발견된 다양한 정도의 내당능장애(glucose intolerance)로 정의되며 거대아 출산, 분만 손상, 양수 과다증, 임신성 고혈압 및 신생아의 대사성 합병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산전관리 과정에서 임신성당뇨병의 발견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저자 등은 50 gm , 1- hour 경구 당 선별검사를 이용하여 한국인 임신부에서 임신성당뇨병의 발현빈도 및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96년 9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489명의 임신 24-28주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50 그램 경구 당 선별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 중 1 시간 뒤 측정한 혈당이 140 ㎎/㎗이상이었던 임신부는 100 그램 경구 당부하 검사(10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를 시행하여 임신성 당뇨병을 진단하였다. 결과: 1) 임신성당뇨병의 발생빈도는 2.7%이었다. 2) 연령에 따른 임신성당뇨병의 발생빈도는 연령이 35세 이상인 군에서 12.9%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경산부의 경우에 초산부에 비하여 비정상 GST의 빈도(37.2%, p〈0.001) 및 임신성당뇨병의 빈도(3.5%, 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임신성당뇨병의 위험인자들이 있는 임신부의 경우에 비정상 GST의 빈도는 41.2%로 그렇지 않은 경우의 23.2%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임신성당뇨병의 발생빈도에 있어서도 8.4%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의 0.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5) 각각의 위험인자에 따른 비정상 GST 및 임신성당뇨병의 발생빈도는 고혈압의 기왕력이 있는 임신부들의 경우에 5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27). 6) BMI(Body Mass Index)가 26㎏/㎡이상인 경우에서의 비정상 GST의 빈도(52.92%, p=0.007) 및 임신성당뇨병의 빈도(17.6%, p〈0.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한국인 임신부에서도 높은 빈도에서 임신성당뇨병이 발현되므로 임신성당뇨병의 선별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s defined as carbohydrate intolerance of variable severity first diagnosed during pregnancy. It is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of pregnancy including obstetrical complications such as increased rate of cesarean sections, preeclampsia, and birth trauma, and perinatal morbidities, such as macrosomia, hypoglycemia, hypocalcemia, and hyperbilirubinemia. Therefore, screening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early diagnosis of this condition allows intervention to be carried out, thereby, the reduction of the untoward effects mentioned above can be minimized. Methods: Screening for abnormal glucose metabolism was carried out in 489 pregnant women. A 50-g oral glucose load without regard to time of day or last meal, and a 1-hour plasma glucose determination with a threshold of 140㎎/㎗ were used as a glucose screening test(GST). Patients with an abnormal GST underwent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GTT).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was 2.7%. The occurrence of this disord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ge of pregnant women, parity, or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for gestational diabetes and obesity(Body Mass Index≥26㎏/㎡).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pregnant women should be screened for gestational diabetes.

      • KCI등재

        유도분만의 기준 및 예측 지표로서의 태아 Fibronectin의 유용성

        김영기(Young Ki Kim),김선동(Sun Dong Kim),황진영(Jin Young Hwang),설봉경(Bong Kyung Seol),박정돈(Jung Don Park),한치동(Chi Dong Han),허창규(Chang Kyu Huh),고석봉(Suk Bong Koh)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태아 fibronectin은 혈청과 세포막 외 기질에서 발견되는 고 분자량의 당 단백질이다. 임신 2기와 3기 동안에 자궁경부 및 질 내 에서 검출 된 태아 fibronectin은 조기진통의 예측인자로 인식되어 왔다. 이에 저자들은 만삭의 산모에서 질 내 태아 fibronectin, CRP, Bishop score 등을 측정하여 만삭의 산모에서 분만의 예측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 1998년 3월1일부터 1998년 5월 30일 까지 대구 효성 가톨릭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38주 이상의 산모 중 진통이 없는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 검사와 내진 을 통하여 modified Bishop score를 산정 하였고, 5점 이상일 때 양성 군으로 판정하였다. 질 내 태아 fibronectin의 농도는 자동효소 면역 기에 의해 단일 클론 성 항체 FDC-6를 이용하여 550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검체 는 50ng/ml 이상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연구대상을 태아 fibronectin에 따라 양성 군과 음성 군으로 나누고, 두 군간 의 임부연령, 유도분만 후 분만까지의 시간, 분만 시 신생아 체중, CRP를 측정하였으며, Bishop score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유도분만 후 분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태아 fibronectin과 Bishop score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태아 fibronectin에 따른 임부 평균연령과 태아 평균 체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RP와 유도분만 후 평균 분만 시간은 음성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P=0.018 , P<0.001), Bishop score에 따른 유도 분만 후 평균 분만시간은 음성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P=0.008), 태아 fibronectin과 Bishop score 의 유도분만 후 평균 분만시간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했다.(correlation coefficient=0.695, p<0.005)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질 내 태아 fibronectin의 존재는 만삭 산모에 있어서, 주관성이라는 단점을 지닌 Bishop score에 비해, 객관적인 유도분만의 기준 및 예측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Objectives: Fibronectin is a high-molecular-weight glycoprotein found in the plasma and extracellular matrix.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n cervicovaginal secretion of pregnant women during the second and the third trimester has been suggested as a means of identifying women in preterm labor who be delivered prematurely. Therefore,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n cervicovaginal secretion of patient in full term as biochemical predictor of Time of Induction. Methods: Fetal fibronectin was obtained at external os and posterior vaginal fornix in 30 women in full term who had no uterine contraction with intact membrane. The cervix was assessed by digital vaginal examination and scored with a modified Bishop score. Results: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in delivery time after induction between the fetal fibronectin and the modified Bishop score (r=0.695,P<0.005) Conclusion: The presence of fetal fibronectin is better than Bishop score that is dependent on clinical experience as biochemical predictor of Time of In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